-
-
작은 파티 드레스
크리스티앙 보뱅 지음, 이창실 옮김 / 1984Books / 2021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지난 명절에 잔뜩 읽겠다고 공언했던 크리스티앙 보뱅 제 2탄이다. 아주 얇은 팜플렛 수준의 책으로 모두 7개의 책과 관련된 그런 이야기들이 오롯하게 담겨 있다. 금방 읽을 수 있을 거라고 생각했는데, 역시나 보뱅이 직조한 밀도 높은 문장들을 계속해서 곱씹느라 그리고 이해 못하는 자신을 자책하느라 시간이 제법 걸렸다. 그래도 이번달을 넘기지 않고 읽는 것으로 위로를 삼으련다.
지난 토요일 호매실 어느 편의점에서 가방에 든 책의 서문을 읽다가 그야말로 눈물이 펑 터질 뻔했다. 제목만 보고는 무슨 드레스에 대한 이야기인가 싶었는데 아니었다. 이 책은 우리 책쟁이들을 위한 그런 책이었다. 오 마이 갓!
우리는 도대체 왜 책을 읽는가에 대한 보뱅 스타일의 성찰과 조우하는 순간, 나의 불안정한 감정은 그냥 폭발해 버렸다. 그에 따르면, 이 세상은 책을 읽는 사람들과 책을 읽지 않는 사람들로 구성되어 있다. 책을 읽지 않는 사람들에게는 전혀 상관없는 일이겠지만, 정말 명쾌한 이분법이 아닌가. 책읽기에 얼이 빠진 우리 같은 이들에게는 진리의 복음 같은 말이 아닐까.
세상에 돈이라는 가치로 환산된 물질주의가 판을 쳐도, 우리 책쟁이들은 아랑곳하지 않고 소설을 펴든다. 아니 어쩌면 10분 내에 우리 지구별이 멸망한다고 하더라도, 마지막 순간까지 어떤 책을 살지, 읽기 시작했지만 못 다 읽은 책을 읽어야 하는데라는 생각을 할 지도 모르겠다. 오늘은 또 어떤 신간이 나왔는지, 온라인 서점에서 찔끔찔끔 주는 적립금 천원을 쓰겠다고 돈 만원 이상을 쾌척하는 게 우리들의 모습이 아닌가 말이다. 바로 이런 시답잖은 책쟁이들의 일상을 보뱅 작가는 무척이나 고상한 표현으로 환원해서 우리의 독서욕을 또 자극한다.
보뱅은 또한 편견일 지도 모르겠지만, 가난한 마음을 가진 자만이 글을 쓸 수가 있다고 한다. 결핍을 모르는 부자들이, 권력자들이 글쓰기의 원천에 도달할 수 없다고 그는 생각한 걸까. 잠시 고통을 잊을 수 있게 해주는 진통제나 화려하게 포장한 당의정으로 가난한 마음을 치료할 수 없다고 나는 생각한다. 그런 이유로 나는 자기개발서 부류의 책들에는 아예 눈길조차 주지 않는다. 자기계발서를 읽는다고 해서 자기계발이 되나? 나에게 숨겨진 재능이 있기는 한지도 궁금하다.
성서에 등장하는 요나 이야기의 다시쓰기도 신선했다. 참, 책의 어디선가 우리 인간에게 적용되는 신의 중력은 공정하다고 했던가. 아니 정확한 인용이 아닌 이미 나를 통해 적용된 개념일 지도 모르겠다. 니느웨에 가서 신의 징벌이 임할 것이라는 메시지를 전하라는 신의 명령을 거부하고 선지자 요나는 배를 타고 엄한 곳으로 튄다. 아니 신으로부터 도주할 수 없다는 걸 잘 알면서도 요나는 땡깡을 부린 게 아닐까. 모두가 알다시피 요나는 바다에서 풍랑을 만나고, 제비뽑기(보뱅의 책에는 나오지 않는다)로 뽑혀 신의 분노를 잠재우기 위해 바다에 내던져진다. 지나가던 고래 뱃속에 삼켜져 있다가 살아남아 결국 니느웨로 가게 된다. 요나가 원수처럼 생각하던 아시리아의 수도 니느웨는 회개하고 결국 구원을 얻게 된다는 게 전체 줄거리다.
요나가 받은 신의 메시지는 지금도 어디선가 글쟁이들이 열심히 검은색 잉크로 만들어내는 새로운 이야기들의 은유가 아닐까. 그 안에는 어쩌면 자기 구원의 서사가 담겨 있을 지도. 다만 그것의 수령을 거부하고 읽지 않음으로써 우리는 거저 얻은 구원의 기회를 냅다 걷어차 버렸는지도 모르겠다. 이 정도면 무슨 이유가 되었던 간에 책을 읽을 만한 충분한 이유가 되지 않을까. 그런 점에서 내가 매주 사는 로또와 책읽기는 유사점을 공유하고 있다. 전자가 경제적 구원이라면, 후자는 영혼의 구원이라는 점에서.
아서왕의 기사로 알려진 페르스발(파르지팔 혹은 퍼시벌)도 전설이 아닌 12세기 창작품이라고 하는 점도 눈길을 끈다. 문학의 세계에서 다채로운 변용은 디폴트가 아닐까라는 생각이 들었다. 어느 군주나 마찬가지지만 나이든 아서왕 역시 마찬가지였나 보다. 나이 들어 판단력이 흐려지고 실의에 빠진 왕과 눈부시게 아름다운 왕비의 존재감, 거기에 성배의 전설까지 덧씌우면서 기사 페르스발은 전설의 영역에서 현실 세계를 넘본다. 확증 편향까지 간다면 지나친걸까.
보뱅의 <작은 파티 드레스>는 책에 영혼을 송두리째 털린 이들에게 보내는 러브 레터다. 돈이 많은 이들에게 부족한 것은 결핍이라고 한다. 우리 책쟁이들 역시 결핍이 존재한다. 채울 수 없는 책에 대한 결핍이 그리고 읽기에 대한 결핍이. 그러니 책쟁이 동지들이여, 그 결핍들을 채우기 위해 오늘도 책을 사고 읽고 또 그것을 반복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