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그들의 집은 이렇게 시작되었다 - 우리가 기억해야 할 ‘제2의 건축가’들
김광현 지음 / 뜨인돌 / 2025년 4월
평점 :
-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받아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리뷰를 작성했습니다.

가끔 집(건축) 소개를 하는 프로그램을 보면 아파트나 빌라처럼 이미 만들어진 형태의 다세대가 사는 집이 아닌 소위 건축주의 의견이 반영되었다는 집들이 나올 때가 있다. 이런 경우 건축주의 건축 지향점을 볼 수도 있어 굉장히 독특하고 흥미로운 집들이 많은 것도 사실이다.
건축주가 자신이 원하는 요소들을 구체적이고도 적극적으로 의견을 내어 지어지는 경우다보니 애초부터 건축주만의 목적성에 의거해 집들이 지어지고 이런 집들은 보통 유명 건축가를 만나 건축주의 의견과 건축가의 재량과 창작, 건축비까지 더해지면 그야말로 하나의 작품이 탄생하기도 한다.
『그들의 집은 이렇게 시작되었다』는 바로 이런 집(건축), 건축주, 건축가를 모두 아우르는 건축 이야기를 담아내고 있다.

책에서는 굉장히 유명해서 학창시절 미술시간에 배웠던 집들도 소개되고 이후 건축 관련 도서들을 통해 본 적이 있는 집들도 소개되는데 단순히 건축가가 추구하고자 한 목적이나 건축가의 표현방식, 집의 특징 등을 이야기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그 집을 통해서 그곳에서 무엇을 실현하고자 했는지를 알 수 있어서 흥미롭고 건축주가 건축을 의뢰할 당시의 이야기도 만나볼 수 있지만 건축 과정과 함께 현재 그 집은 어떻게 되었는지를 알 수 있는 부분도 좋았던것 같다.

아마도 미술시간 '낙수장'이라고 들어보았을 것이고 설령 이름은 물론 마치 집 아래에서 계곡물이 흘러 폭포수를 이루는 것 같은 집의 외관은 본 적이 있을텐데 책에서는 바로 이 낙수장을 의뢰했던 카우프만 가(家)의 이야기도 실려 있다.
어떤 의도로 이 집을 지었는지 건축가가 어떤 식으로 여기에 자신의 이상을 반영했고 최종 건축 후 이 집을 카우프만 가족은 어떻게 사용했으며 그 이후에는 어떻게 되었는지를 알려주는데 특히 가장 최근의 소식이라고 할 수 있는 이야기는 생소했던 내용이라 신기하기도 했다.
색다른 분위기의 주택부터, 그 자체로 건축사의 획을 그은 건축은 물론 건축에 분명한 주제가 있는 경우도 있다. 또 기존의 생김새와는 확실히 차별화된 건축도 있고 많은 이들의 헌신 내지는 참여가 있었기에 완성된(여전히 건축되고 있는-사그라다 파밀리아-) 건축물도 있다.
보통의 경우 이런 도서는 건축물 그 자체, 아니면 그 건축물을 지은 건축가의 시선과 입장, 이 둘을 중심으로 쓰여지는 경우가 많은데 이 책은 이색적이게도 건축주의 관점에서 해당 건축물을 살펴본다.
건축주의 어떤 생각과 상상, 바람이 그곳에 반영되었고 어떻게 발현될 수 있었는지를 보는 재미가 있는 책이며 이런 사연을 알고 다시 바라 본 건축은 이전과는 또다른 느낌으로 다가와 색다른 멋을 선사하는 것 같다.
#그들의집은이렇게시작되었다 #김광현 #뜨인돌 #리뷰어스클럽 #건축 #건축주 #건축가 #건축이야기 #책 #독서 #도서리뷰 #책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