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젠가 매스컴에서 아이들이 놀 시간이 따로 없어서 노는 것도 학원을 다닌다는 기사를 본적이 있다. 정말 놀랄 노자다. 내가 어릴 때라면 상상조차 할 수 없는 일이다. 얼마나 배우는 학원이라는 것의 영향이 커지면 놀기위해 학원을 다닐까 싶기도 하면서, 한편으로는 우리때에 비해서 요즘은 아이들이 밖에서 뛰어놀지를 않는구나 싶기도 했다. 어릴 때부터 경쟁체제에 놓이다 보니 다른집 아이들보다 조금이라도 덜 배우면 완전히 뒤쳐지는 것 마냥 공부하기에 여념이 없는 것이다.
요즘 세태에 맞춰 본다면 <노는 게 공부야!> 라는 책은 공감대를 벗어나는 것일 수도 있다. 하지만 잘 노는 게 공부 잘 하는 방법이기도 하다. 즉, 잘 노는 사람이 공부도 잘하는 법이다. <노는 게 공부야!> 는 놀기 좋아하고 호기심은 많으나 책은 검은 개미가 기어가는 것만 같다는 그래서 주의 결핍 덜렁이라는 얘기를 듣는 종백이와 책만 읽고 밖에 잘 나가 놀지 않는 기범이의 이야기이다.
겉으로 보면 전형적인 모범생류인 기범이와 요주의 인물인 종백이. 하지만 과연 두 아이를 모범생과 문제아라고 우리는 단정지을 수 있을까...
책만 보면서 놀지는 못하고 혼자만의 테두리안에 있다면 그 또한 문제가 아닐까.
종백이 역시도 자신들의 시선과 관점에서 본다면 문제아일 수도 있으나 실제로 자세히 들여다 보면 자신의 관심이 있는 분야에 대해서는 누구보다도 더 열정적이다. 그것이 어른들과 또는 다른 관점의 아이들 입장에서는 종백이를 문제아로 비추게 하는 것이다.
하지만 종백이는 자신의 분야에 대해서는 세심한 관찰과 고찰을 하는 모습을 보여주며, 나아가 그 분야에 대해서는 그렇게 싫어하던 책을 찾아보기까지 한다.
그러면서 진정한 배움과 공부의 즐거움을 알아가는 것이다.
어느 순간 즐겁게 노는 것은 공부안하는 딴 짓이 되어 버렸다.
잘 노는 것을 통해서도 분명 배우는 것들이 있는 법이다. 노는 것도 공부처럼 할 것이 아니라, 놀이를 통해서 자연스럽게 배움을 익히도록 방법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나 역시도 나중에 아이에게 너무 공부하라고 말하지 말아야 겠다. 나또한 앞으로 아이가 걸어갈 그길을 겪어 왔지만, 아이는 지금 현재진행형인 것이다. 세상에 나와 처음보는 것, 처음 듣는 것, 처음 만나는 것들에 아이는 무한대의 호기심을 느끼고 있는 중이며, 그러한 과정에서 아이는 자신의 호기심을 넘어서서 진정한 자신의 호감을 찾아가고 있는 것인지도 모른다. 그리고 엄마의 지나친 참여와 관심이 아이의 자기계발을 혹시나 막지나 않을까하는 걱정이 생긴다.
놀고 있는 아이는 마냥 노는 것이 아니라, 그 속에서 뭔가를 배우고 있을지도 모른다. 그러니 그만 놀라고 하지 말자. 그건 그만 공부하라고 말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다만 잘 놀고 제대로 놀 수 있도록 그 길을 잘 이끌어 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