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프로듀스101>을 눈여겨보는 이유
_'플랫폼화된 (예술적) 신체'에 관하여

1. <프로듀스101> 같은 프로그램은 사람이 얼마나 자신의 특색 있는 컨텐츠를 갖고 있냐는 기준으로 보기 쉽다. 하나 매주 에피소드를 챙겨 보면서 101명 중 자신의 신체 감각을 고유의 컨텐츠가 아닌, 하나의 플랫폼으로 보는 몇몇 캐릭터들이 마음속에 맴돌았다.

2. 아이돌도 엄연히 문화노동자임을 감안할 때 그 개인은 자신의 미적 감각, 신체에 내재된 그 취향의 채널을 어떻게 활용하는가, 어떻게 자신의 목표를 이루기 위해 인적 자원을 배치하는가. 

3. <프로듀스 101>에서 트레이너는 있지만, 그들이 목표를 이루기 위해 도와주는 범위는 지정된 에피소드의 성과에 부합하는 '조직화 생성'까지 나아가진 않는다. 이것을 수행하는 사람은 걸그룹 데뷔를 이루려는 101명이다. 본 프로그램은 센터, 메인보컬, 서브보컬, 랩, 서브랩 등 대중적 성공을 위해 일시적으로 모여야 하는 임시 공동체에 필요한 역할을 분명히 보여준다. 그 분업 형태를 인식한 101명 중 김청하나 전소미, 임나영(물론 이들은 주어진 미션에서 뛰어난 컨텐츠를 보여준다)은 101명의 캐릭터를 나름 하나하나 살펴가면서 매 프로젝트에 주어진 목표를 위해 다른 동료의 미적 신체가 무슨 위치에 있어야 하고, 어떻게 활용되어야 하는지 '미적 배분'을 수행하고, 기꺼이 자신의 신체를 플랫폼으로 삼는다. 

4. 이런 플랫폼화된 신체를 보여주는 그들에게 반드시 좋은 결과가 보장된 것은 아니다. 미적 에너지의 분할과 배분 속에서 그들은 임시 공동체를 위한 그라운드가 되어주지만, 지금까지 그들의 순위는 생각보다 최상위권은 아니다.

5. 101명 다 크고 싶어서 왔지만, 이미 그 안엔 누굴 키울 수 있는 캐릭터가 있다. <프로듀스101>엔 소속사, 브랜드의 힘, 국민프로듀서와 투표, 미모와 매력 등 이미 우리가 알고 있는 '클 가능성의 요소'에 따른 금수저-흙수저(이미 될놈될 같은), 101명의 열의를 착취하는 문화노동 구조와 이를 안전하게 가린 채 냉정한 소비자로서 보고 싶어하는 대중의 심리 등, 비판해볼 지점이 있지만 그게 이 프로그램에서 보려는 내 관심사는 아닌 것 같다.

6. <프로듀스101>에서, 몇몇의 플랫폼화된 미적 신체를 현시하는 개개인은 얼마나 '자기조직화'를 이룰 수 있는가에 대한 생각을 던져준다. 프로젝트식 삶에 최적화된 임시 공동체의 형성, 그것에 따른 관계의 탈부착과 여파, 임시 공동체의 목표를 위해 취향과 각자의 정서에너지까지 챙겨야 하는 오늘날 청춘의 미적 신체와 그 감각이 어떻게 배치되고 있는지. <프로듀스101>을 계속 눈여겨보게 되는 이유다. 101명은 걸그룹 데뷔를 해야 하면서도 실은 그 안에서 자신이 '걸그룹 데뷔를 시켜줄 능력'이 있는지도 동시에 평가받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