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리오 패트리의 <완전범죄>(1970)에서 소름끼치는 씬은 영화 초반부에 나온다. 


A 경찰과 살인마의 정체성을 함께 안고 사는 개인. 이제 스릴러의 흔하디흔한 소재가 되었지만, 정부를 죽인 주인공이 자신을 종교적 벽화처럼 기념하는 듯한 씬은 단지 영화 끝나기 5분 전의 반전을 위한 장치가 아니다 


B 정치 스릴러이자, 파시즘에 대한 신랄한 비판을 담은 이 블랙코미디는 '집' 밖을 나가면 당황하는 권력자의 모습을 그려낸다 



C 이 영화는 때론 단서를 스스로 흘리며 제시하고 다니는 어느 '살인마-로마 경찰간부'의 '범죄스릴러 맞춤형 심리드라마'로 요약되곤 했다. 허나 더 눈여겨볼 대목은 왜 이태리의 치안을 주무르는 권력자가 정녕 '실내'에서만 힘을 쓰는가란 영화에 내재된 질문이다 


D 집 밖을 나가면 어찌할 줄 모르는 '아이'와도 같은 모습은 정작 자기자신을 제외하곤 타인이 아이와도 같다며 훈계하고 질타하는 경찰간부-살인마에게 있다 그는 자신의 살인을 입증할 증거를 경찰 동료들에게 흘리고자 주요한 단서인 푸른 넥타이를 자신이 산 가게서 통째로 사들이려 한다. 그때 주인공은 한 시민에게 넥타이를 대신 사주길 부탁한다. 시민이 시킨 대로 넥타이를 사올 때 주인공의 모습에선 아이처럼 당황한 눈빛을 가린 선글라스가 유약하게 씌여있다 


E 주인공은 살인이든 살인의 법적 결과든 살인의 경과를 파헤치는 과정이든 실내에선 소리의 강도가 높고 달변이지만, 그래서 그는 이른바 '코쿤(cocoon)'의 정치에서만 권능자다. 어찌되었든 자신이 타인에게 다가가는 것은 어설프고 그리하여 타인이 자신의 거처로 오게끔 만들거나 자신의 거처화된 곳이 아니면 힘을 못 쓰는 경찰-살인마는 밀실 정치에서 비롯된 자신의 중요한 결함을 감추고 있다. 


F 엘리오 패트리는 이 결함에 깃든 정신분석학적 장치를 통해 파시즘과 남근의 절묘한 유비 관계로 짜인 정치적 우화를 만들어냈다. 신이 되려는 아이(의 모습을 한 어른)는 히틀러 혹은 무솔리니에 투사된 무엇이었을까. 이 영화가 단지 테크닉이 좋은 스릴러 영화의 수준을 뛰어넘는 '클래식'인 이유는 당대 정치에 관한 비평적 물음이 도처에 숨어있기 때문일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