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에 '사소주의자들'이란 칼럼을 썼습니다. 최근 국내에 부쩍 들어온, '센스를 측정화하는 심리적 경향'을 통해

'초-미시적 인간이 되라'는 담론엔 문제가 없는지 고찰해보았습니다.



















《한국일보》2030세상보기 / 사소주의자들 (전문 링크)

나는 일본인이 쓴 에세이를 즐겨 읽는 편이다. 일본의 심리학 에세이엔 내가 종종 ‘사소주의’라 부르는 사고가 스며들어 있다. 비유를 들자면, 사소주의란 다른 나라에선 한 장의 김을 네 등분할 것을 일본에선 여덟 조각을 내어 먹을 것 같다는 식의 자잘한 마음 상태다. 읽다 보면 무얼 이런 일까지 털어놓나 싶다. 일본인들이 그려내는 사회에 뭉툭함이란 없다. 이들은 이제 그저 미시적이어선 안 된다며, 사회를 살아가기 위해선 ‘초-미시적 인간’이 되어야 한다고 논한다. 그리곤 자신이 몸소 겪은 에피소드를 들려준다.

사소주의자들은 자신의 일상을 세분화하는 데 익숙하다. 시간대별로 삶을 세세히 조각 내어 이야기한다는 게 아니다. 사소주의자들은 자신을 성가시게 하거나 자신에게 깊은 상처를 준 사람, 혹은 인상 깊은 호감을 준 사람에게 받은 감정을 알알이 들춰내는 기술을 지녔다. 이런 기술은 ‘센스’로 요약된다. 사소주의자들은 묻는다. 당신은 이 사회를 살아가기에 충분한 센스를 지녔습니까? 센스는 감각으로 받아들여도 되지만, 오래 전 철학자 나카무라 유지로는 ‘감득력(感得力)’이라 정의한 적이 있다. 즉, 누군가의 마음을 얻어 깨닫는 힘이 센스다.

이런 정의에 치우쳐 사회를 그려내는 사소주의자에게 문제가 없진 않다. 누군가의 마음을 얻는 데 신경 쓰다 보니 그만큼 되돌아온 상처에 예민한 그들은, 사회를 호감과 불편으로 나누어 진단하는 데 익숙하다. 이 진단은 개인의 센스를 하나하나 따져서 ‘측정’하는 과정이다. 숫자가 나타나진 않지만, 사소주의자가 묘사하는 체험담은 수치라는 은유가 스며들어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