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보선 시인의 《눈앞에 없는 사람》을 읽었다. 벤야민적 자아를 가진 시인은 걸으면서 표지판을 본다. 첫 표지판인 <말들>에서부터 마지막 표지판인 <사랑은 나의 약점>까지, 시인은 비뚤어진 표지판을 바로 세우거나 매우 올곧은 표지판은 쓰러뜨려 놓는다.
시 속 산책자는 '시달리는 인간'이다. 이런 그에게 심장이란 설렘이기보다는 권태다. 하품이야말로 인간의 심연을 열어준다는 벤야민의 규약을 지키는 시인은 심장박동수를 세면서 하품을 한다고 고백한다(<심장은 미래를 탄생시킨다>).
시달리는 인간은 <운명의 중력>을 통해 뒤늦게 인간의 능력이 중력을 발견하는 것임을 깨닫는다. 운명에 속한 것과 운명에 속하지 않는 것 사이를 끌어당기는 힘을 깨달은 시인은 수줍게 묻는다. 자신에게 운명을 바꿀 능력이 있는지. 그리고 수줍게 말한다. 자신에게 그 능력이 있다고.
시달리는 인간은 '그때'라는 진공의 영역을 나약하게 만들어놓은 채, 이별은 이 별의 일이 아닌 것 같다며 인연의 쓰라림에 대해 작은 데시벨로 절규한다. 시달리는 인간은 자신의 절규가 소요 속에 묻히길 바라면서도, 고요 속에 드러나길 바란다. <사랑은 나의 약점> 속에서 시인은 노인의 이미지에 소요와 고요가 정확히 반이 갈린 시간을 발견하고, 그 안에서 노인의 미세한 절규를 듣는다. 자신의 그림자, 남보다 특색 있는 그림자를 이야기해줄 수 있겠냐는 절규를.
시달리는 인간은 시달림이 준 시련의 숙달 속에서 당장 맹세하지 않고 잠시 그 절규를 숨겨놓는다. 그리고 사랑하는 이에게 불현듯 절규의 비밀을 신중히 속삭인다.
시달리는 인간에게 태어난 것도 죽은 것도 별스럽지 않다. 그래도 시인은 시달려보았기 때문에 이방인의 심장들을 외면하지 않는다. 자신의 심장은 이미 태어나기 전부터 부인당해왔다는 비극을 소란스럽게 전달하기보단, 한 사람의 심장이라도 부인당하지 않게끔 단어의 가장자리를 부여잡는다.
그래서 시인이 전하는 희망의 변증법은 조심스럽다. 큼지막하고 헐거운 것들을 건드린 것에서 시달림을 느꼈던 인간은 아직 태어나지 않은 것들에서 큼지막한 개념의 발명을 추구하기보다 이미 태어난 것들에서 비루한 현실의 소묘를 추구한다.
시로 이뤄진 소묘는 시인이 줄곧 이야기하는 죄의식과 그 부채감에 대한 고결한 청소이기보단, 자신이 어쩔 수 없었던 여백들을 채우지 않고 그대로 두는 데 방점이 찍힌다.
이것은 곧 시달리는 인간이 심장을 부인당한 자들을 위해 준 선물이다.
덕분에 우리는 당신의 이름을 이생에서 부를 수 있게 되었다.
덕분에 우리는 당신의 이름을 이 생에서 이야기해도 될지 조심스러워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