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구관조 씻기기 - 제31회 김수영 문학상 수상 시집 ㅣ 민음의 시 189
황인찬 지음 / 민음사 / 2012년 12월
평점 :
황인찬의 시집 《구관조 씻기기》는 '마름'과 '젖음'을 다루고 있다. 시인은 시를 통해 축축한 상태, 젖은 상태를 계속 신경 쓴다. 황인찬은 이 습성濕性의 사운드를 통해 우울을 만드는 인간을 조망한다. 더 자세히 보자면 그의 시엔 우울을 만드는 인간은 어떻게 스스로 우울을 키우는가라는 고민이 담겨 있다.
우울의 인간은 젖어감으로써 습기를 받아들여 "몸이 자주 부었다"(<유체>). 습기는 황인찬의 시에서 상태가 아닌, 동작이다. 자아를 말리거나 젖게 내버려둔 시인에게 이제 세상은 "비가 오지 않았는데도 베란다의 바닥이 젖어 있었다"(<면역>)는 고백이 가능한 장소다.
상태가 동작이 된 그의 시는 세상은 어쩌면 행동과잉=정지, 정지과잉=행동의 습성習性으로 이뤄진 곳이 아니었을까란 이 습성에 중독되어 피곤함과 노곤함 사이에 놓인 인간의 세상은 관찰 대상이자 시를 쓸 수 있는 조건이다."저녁인데 아직도 밝아"(<속도전>) 낮을 고찰하고, 낮인데 아직도 어두워 밤을 복기한다. 속도전을 감행하는 우울의 인간은 "혼자 집에 앉아서 물을 마셨다 한 번 마시면 멈출 수 없었다"(<물의 에튜드>)그리하여 우울의 인간은 습기를 보충함으로써 "물 없는 물병"(<물의 에튜드>)의 상태까지 나아간다.
습기와 건기를 오가는 동안 혼잣말과 중얼거림이 늘어나고 우울은 (시인의 말을 전유하자면) 나무로 서 있는 줄 알았으나 실은 나무의 그림자가 되어 떨고 있는 게 인간임을 증언한다. 《구관조 씻기기》는 마른 사운드에 향기가 나기 전 어떤 일이 벌어졌는지 몸부림친(그러나 이 몸부림은 정지였음을 깨달아가는) 젖은 성질의 사운드를 가진 시인의 b-side다. 젖은 사운드로 우리의 몸은 붓지만 결국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았다.
* 《구관조 씻기기》는 《페르난두 페소아: 페소아와 페소아들》에 수록된 작품 <선원>을 떠올리게 한다. '정지극'을 표방하는 이 작품에서 야경꾼인 세 여성은 이야기를 해보자, 이야기를 하는 게 옳은 걸까, 누가 이야기를 하라고 부추기는 걸까를 두고 '변덕 게임'을 벌인다. 많은 말이 움직인 것 같지만, 결국 움직이지 않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