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수증여라는 환상과 괴로움에 대해선 종교학자 나카자와 신이치가 소개했던 시가 나오야의 「어린 사환의 신」을 최고로 쳤는데, 오늘 전상국의 단편 「달평씨의 두 번째 죽음」을 읽으면서 나오야의 작품이 시시하게 느껴졌다.
전상국은 '오른손이 한 일을 왼손이 모르게 하라'라는 말을 입체적으로 다루면서 볼프강 슈미트바우어가 연구했던 '조력중독증'의 세계를 블랙 유머로 다루고 있었다. 아울러 '미담의 사회학'이라 이름 붙이고 싶은 에피소드를 통해 미담이 어떻게 한 개인의 삶에 폭력으로 다가올 수 있는지를 극적으로 드러내고 있기도 하다.
나카자와 신이치는 "신도 아닌 인간이 전혀 보답을 바라지 않는 순수증여를 '흉내'내는 경우, 그것은 종종 선행이라는 이름으로 불리며 타인의 상찬을 받곤 합니다"라고 말한다. 「어린 사환의 신」은 초밥을 먹고 싶은 가난한 저울 가게 소년 센키치를 본 국회의원 A가 센키치 몰래 돈을 내고 도망가 센키치가 자신이 어떤 사람인지 모른 채 초밥을 먹게 해준다. A는 그날 이후 마음병이 걸린다. 그냥 도우면 될 걸 왜 내가 계속 타인에게 내가 도운 사람이라 인정을 받으려 하는 거지? 내가 행여 신이나 부처에게 내 선행을 인정받고 싶어했던 건 아닐까?라는 괴로움에 휩싸인다. 결국 그는 답답한 마음에 아내에게 신도 아닌 소심한 내가 괜히 그런 짓을 한 것 같다며 자책한다. 센키치에게 A는 '어떤 정체 모를 고마운 사람'이며 이 고마운 의혹은 A가 혹시 신이 아니었을까라는 상상으로 이어지게 된다.
전상국의 작품은 조력 중독에 걸린 사람이 어떻게 자신의 가장 가깝고 친밀한 이들의 영역을 황폐화시키는지 보여준다. 곰국으로 유명한 보은식당(상호도 보은이다)의 사장 달평씨는 속사정을 모르는 바깥 사람들이 보기엔 천사이지만, 이런 선행을 지탱해주는 그의 안 사람들은 서서히 버거워한다. 식당을 관리하다가 은근슬쩍 사라지는 달평씨는 선행이라는 테마의 여행을 떠나는데, 주변 사람들과 그를 평소 존경하던 아들딸도 달평씨의 행적에 의문을 표하기 시작했다. 고3딸은 심지어 아버지가 구렁이과인 것 같다고 말하기도 한다. 이 작품에서 아버지를 향한 아들딸의 존경이 아버지와의 친밀한 관계로 해석될 수 없는 건 아버지의 행적과 실제 삶에 대해 아들딸이 접할 수 있는 정보라곤 아버지의 선행을 실은 신문기사와 묵묵한 어머니의 단조로운 답변뿐이기 때문이다.
달평씨가 원치 않게 미담 기사가 하나둘 늘어나기 시작했고 보은식당은 이 미담 기사를 읽고 저 사람이 날 몰래 도와준 사람이구나라고 느낀 손님들로 인산인해를 이룬다. 가게가 더 잘 되어야 정상이지만 이런 사람들이 찾아올수록 식당의 사정은 더 나빠졌다. 덕분에 새 삶을 살게 되었습니다, 라는 감사인사를 받고 예 아닙니다, 별말씀을요 하는 말로 돌려보낼 순 없기 때문이다. 실질적으로 선행의 금고 역할이었던 아내는 달평씨의 마음을 알고 슬그머니 돈봉투를 쥐어준다. 달평씨는 점점 이상해졌다. 미담 기사가 나간 이후 그는 처음엔 예전처럼 자기겸양을 표하다가 달평씨의 선행을 듣고 싶은 각종 공공기관에서의 강연 등을 통해 '편집된 미담' '부풀려진 미담'에 자신도 모르게 중독되어갔다.
오른손이 한 일을 왼손이 모르게 하라는 신조는 무너졌다. 자신의 선행을 알리기 위해선 타인의 처지를 이해할 수 있었던 건 결국 제 어린 시절 가난이라는 불행이라는 테마를 그는 나름 계발하기 시작한다. 작품 말미. 이미 제정신이 아닌 달평씨는 혼란스러워하는 가족을 향해 털어놓을 게 있다며 주변 사람을 가슴 졸이게 한다.
그리곤 말한다. 아들딸아 실은 너희들 다 내가 낳은 자식이 아니라고. 보은식당은 멘붕 상태에 빠졌다. 그러자 유일하게 이 식당에서 냉정했던 한 사람이자 늘 묵묵하게 남편의 선행을 도왔던 아내가 한마디한다
"여보, 이젠 당신 자식들까지 팔아먹을 작정이에요?"
마지막이 씁쓸하고 웃프다.
"가속으로 무너져내려 더 어찌할 길 없는 남편의 그 두 번째 죽음의 순간에 이처럼 거연히 부르짖고 일어선 그네의 외침은 우리의 달평씨를 다시 한번 살려낼 오직 한 가닥의 빛이었던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