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말과활》4호에서 인상 깊게 본 글은 사진비평가이자 출판인인 김현호의 <언젠가 우리는 모두 CCTV가 될 거야>였다. 간혹 CCTV라는 기계-기능의 주시, 그 시각성이 과한 의인화에 기대어져 전형적인 파놉티콘의 논리로 가는 어떤 한계에 늘 아쉬웠는데. 필자는 여기서 CCTV의 감시 기능과 그 공포만을 열거해 뻔한 경각심을 도모하는 한계를 극복한다. 필자는 '식별'이라는 시각적인 행위- 아직까진 인간이 필요한 행위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분별할 수 있는 카메라, 해석의 가능성이 도입되는 카메라가 가져올 우울을 진단하고, 안전이라는 가치 앞에서 자신의 모습을 그대로 '납부'하는(그냥 제공이 아니라 납부라고 표현하고 싶은 게 아무래도 필자가 우려하는 자발적 정보 제공자로서의 시민과 그 구조에 대한 우려를 잘 드러내주지 않을까 감히 생각해본다) 사회 현실을 우려한다.

필자의 글을 보고 번뜩 연관짓고 싶었던 책은 라깡 연구자 다리안 리더의 『모나리자 훔치기』였다. 거기 2장에 '빅 브라더라는 신화'라는 챕터. 리더는 오스트리아 예술가 아니타 비텍의 작업을 소개하는데, 비텍은 집에서 스튜디오로 이어지는 그녀의 동선을 다양한 CCTV 카메라로 기록했다. 리더가 비텍의 작업을 분석하면서 가장 먼저 부탁하는 것은 이런 장면을 보고 바로 빅브라더라는 측면으로 해석하진 말자는 것이다. 저 카메라가 나를 감시하고 있어, 라는 측면이 중요한 게 아니라 리더가 보기엔 "카메라들은 그것들이 기록하는 대상들은 안중에도 없다" "우리를 보는 것이 항상 우리를 보고 있는 것은 아니다"가 더 중요해 보였다. 그럼 뭐가 중요한데? 카메라에게 본다는 기능을 되돌려주는 비텍이라는 인간이었다.

CCTV를 둘러싼 안일한 논의에는 인간이 배제된 채 CCTV에 인간성을 부여하여 외려 인간미의 존속을 예찬하는 이야기가 있다. 학교에서, 사무실에서, 공장에서 도난 사고가 일어나면 "우리 괜히 사람 의심하고 그러지 말죠"라는 겉으로 볼 때에는 우리 인간이잖아, 우리 인간으로서의 관계는 유지해야지라는 말을 잘 지켜줄 신뢰의 도구로 CCTV를 자연스레 선택한다. 허나 이는 '나'가 곤란하기 싫다는 것일 뿐 나와 너의 상호성이 성립되는 단계로 나아가진 않는다. 즉 CCTV는 관계의 불편을 예방하는 단계에서 그 기능을 멈출 뿐 실제론 과오를 잡아내는 데는 관심이 없는 기기일지 모른다. 어쩌면 CCTV에 대한 인간의 기대 또한 그럴 것이다.
CCTV를 통해 사건의 해결이 중요한 게 아니라 마음의 해소가 중요한 것이다. 

그래서 어떤 일이 재발되었을 때 CCTV는 걱정과 불안이라는 정서, 나와 관계된 이들과와 안전한 관계 추구와 동반된 묘한 쾌락을 동반한다. 물론 이를 드러내는 것은 금물이다. 이 심연은 불쑥 튀어나온다. 그리고 사건이 터졌을 때 우리가 기꺼이 CCTV가 되겠다는 마음으로 자신의 가방에서 카메라를 꺼내어 그 심연을 남들과 함께 확인하고 있을지 모른다.

다리안 리더의 말처럼 "CCTV 카메라들은 보지 않는다." 정작.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