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길의 「피에르 부르디외의 언어관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학술지 《문화와 사회》(2013년 14호 수록)

피에르 부르디외의 『사회학의 문제들』(1984/2004) 중 「언어시장」을 읽고 


"저기요 부르디외 선생. 근데 모든 걸 사회학적으로 생각해야 되나요?" 피에르 부르디외의 책을 읽으면 자연스럽게 이런 질문을 던져보게 된다. 심지어 이런 생각까지 들었다. 우리가 살고 있는 현실을 사회학적으로 보지 않으면 부르디외가 관을 뚫고 나와 삐질 것 같다고. 피에르 부르디외가 2002년 사망하기 전까지 그의 강렬한 투쟁적 사고, 특히 자신이 속한 학문적 위치를 끊임없이 돌아보고 그 거리감을 유지하려 했던 태도는 여느 지성인처럼 많은 지적 선물/산물을 안겨다준 게 사실이다. 특히 그는 주눅이 들어 있는 오늘날 사회(과)학도들에게 영원한 히어로이며, 고급 인문/사회과학 독자층에겐 '고전적 저자'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하지만 그 또한 완전무결한 학자는 아니었다. 나는 부르디외의 그 완전무결함을 깼던 비판적 목소리 중 하나, '총체적 과학으로서의 사회학'이라는 정신을 추구했던 그의 태도에는 조금 고개를 갸우뚱하는 편이다. 사실 부르디외뿐만 아니라 많은 학자가 그런 사고의 과정을 거치겠지만, 이런 현상을 왜 자신이 속한 학문적 사고로 바라보지 못하느냐 더 나아가 하나의 현상을 해석하고 개념화한 A라는 학문이 왜 자신이 속한 학문적 사고에 비해 빠져 있는 게 많았느냐 비교해보는 것은 학자로서 당연히 고민해볼 지점일 것이다. 문제는 부르디외가 이게 좀 과했고 그리하여 과녁을 잘못 겨냥했다는 점이다. 이를 잘 짚어낸 국내 논문 한 편이 있다. 


국내에서 일급 부르디외 전문가로 평가받는 이상길 교수는 「피에르 부르디외의 언어관에 대한 비판적 검토」라는 논문에서 부르디외가 강조하는 '사회학적-'이라는 태도를 비판하고 있다. 상식적으로 생각해보자. 언어관과 관련된 학문 하면 무엇이 떠오르는가. 언어학이다. 부르디외는 언어학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소쉬르와 촘스키의 논의를 돌아본다. 그리고 그 두 사람이 지향했던 언어에 대한 태도를 가져와서 '당신들 왜 언어를 사회(학)적으로 보지 못하냐'고 깐다.  

부르디외는 사회라는 현실 속에서 언어를 둘러싼 '나'와 '너'의 관계를 순수하게 바라봐선 안 된다고 주장한다. 그는 심지어 언어 공산주의라는 표현까지 써가며 언어공동체 안에서 한 사람과 다른 한 사람이 맺는 언어를 둘러싼 관계는 전혀 순수하지 않다고 말하면서, 언어를 표현한다는 것은 그 언어를 표현하는 사람의 하비투스를 감안해야 한다고 역설한다. 그러면서 자연스레 소쉬르와 촘스키는 순수하고 순진하게 이 세계의 언어를 고찰한 사람처럼 여겨진다. 


이 논지에는 자연스레 사회학적으로 생각한다는 것의 중요성을 넘은 사회학적 오만이 들어 있으며, 이 '사회학적-'을 강조하기 위해 비교대상에는 전혀 '사회학적-'이 없는 것처럼 되어야 하는 상황 설정이 발생한다. 허나 이상길 교수의 훌륭한 지적에 따르면, 소쉬르의 언어학이 '순수'언어학이라 불리울 만큼 진공 상태에 있는 학문은 아니었으며, 소쉬르는 그 나름대로 언어의 사회성을 고안하기 위한 주장들을 펼쳐왔다. 다만 그 초점이 조금 다를 뿐이다. 이상길의 논문 인용구는 다음과 같다.


예컨대, 소쉬르는 언어의 사회적 성격을 부인하지 않는다. 그렇기는커녕 그는 ‘개인적인 파롤’ 대 ‘사회적인 랑그’라는 이분법 위에서 랑그의 사회성에 주목한다. 다만 이 때 소쉬르가 중시하는 특성은 부르디외의 관심사와는 사뭇 다르다. 소쉬르에 따르면, “랑그는 개인 외부에 있는, 언어의 사회적인 부분으로 개인 혼자서는 그것을 창조할 수도 변화시킬 수도 없으며, 공동체 구성원들 간의 일종의 과거의 계약 덕분에만 존재”하고 “어느 누구의 뇌 속에서도 완전하지 않으며, 대중 안에서만 완벽하게 존재”한다는 점에서 사회적이다(Saussure, 1972: 30-31). 뒤르켐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여겨지는 이와 같은 개념화는 발화 주체들 외부에서 그들에게 객관적으로 부과되는 규범체계라는 언어의 속성을 무엇보다도 강조한다(124쪽~125쪽).


그다음 촘스키는 아예 부르디외와 언어를 보는 관심사와 태도가 달랐다. 고로 부르디외가 취하는 '사회학적 그물망'에 촘스키가 과하게 끌려온 점이 있다. 촘스키는 부르디외가 바라보는 사회 현실 내 언어의 경험적 다양성보다는 단지 인간의 생물학적 언어능력이 갖는 가능성에 중점을 두었을 뿐이다. 이상길은 촘스키가 취한 연구적 관심사에 대해 부르디외가 비판하려는 그 시선이 촘스키의 시선을 대체하거나 무효화할 꺼리인가라고 반박하고 있다. 


사실 이 논문에서 가장 탁월한 지적은 부르디외의 '외적 관심사에 대한 과잉'이다. 부르디외는 언어가 갖는 메시지 자체의 중요성보다는 메시지가 나타났을 때 이 메시지를 만들어낸 사람의 '상황' 혹은 '조건'에 관심을 기울였다. 쉽게 말해 알맹이는 대충 보고 껍데기에만 집착했다. 껍데기가 갖는 중요성에 과하게 천착했다는 것이다. A라는 사람과 B라는 사람이 계급을 비롯해 사회적 조건이 평등하지 않은 조건에 있다면, 부르디외의 레이더는 자연스레 A라는 사람이 사회적으로 더 우월한 위치에 있다고 봤을 시 A의 경제적 수준, 교양 상태에 따른 말투와 복식/격식 등을 따지려 든다. 허나 과연 메시지를 둘러싼 하비투스가 부르디외가 기대했던 대로만 움직여준다면 얼마나 좋을까.  고로 부르디외가 늘 강조했던 하비투스라는 이 개인의 실천을 좌우하는 행동의 성향 체계는 '개념을 위한 개념'으로 강제된다. 부르디외는 닫혀 있지도 않으면서 열려 있지도 않은 하비투스라는 개념에 대해선 유난히 자신이 강조하는 '성찰성'에 연약한 태도를 취하고 있다.


부르디외가 『사회학의 문제들』에서 설명했던 '언어 시장' 속 이야기는 여전히 우리 사회를 지배하고 있는 '권력 관계'를 어떻게 사회학으로 분석하고 폭로할 수 있을까를 알려주는 소중한 지침이다. 그는 언어하비투스, 언어시장, 가격형성의 법칙 같은 경제 용어를 동원해 언어 구사에 내재된 '불평등한' 상호작용에 딴지를 걸고 있으며, 이 딴지는 어느 정도 속이 시원하다. 다만 부르디외가 꿈꾸는 사회학의 세계는 이 사회가 사회학으로 그려지지 않았을 경우, '숨 쉴 틈'을 주는가에 조금 미심쩍은 답을 하고 있는 것 같다. 그의 통렬한 어퍼컷이 간혹 상대를 잘못 조준했을 경우에 대해 부르디외는 자신의 당황스러움을 어떻게 변호할 것인가.


부르디외 당신, '사회학적-'이 아니라면 삐질 건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