댄 애리얼리의 『거짓말하는 착한 사람들 The Honest Truth About Dishonesty』에는 칼럼니스트 데이비드 브룩스의 흥미로운 추천사가 담겨 있다. 브룩스는 애리얼리가 책에서 전반적으로 하려는 생각, '모럴 다이어트Moral Diet'를 이야기하면서 이 책의 각을 잡아준다. 모럴 다이어트란 무엇인가. 짧게 정리해보면 사람들은 누구나 자신의 도덕성을 좋은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노력한다. 허나 이러한 도덕성 유지가 다분히 '선한 행위'의 지속을 뜻하는 건 아니다. 모럴 다이어트는 대형 사고 규모의 부정 행위까진 부담스럽지만 소소한 부정 행위는 해도 괜찮겠지? 하는 생각을 만들어준다.
즉, 다시 말해서 점심, 저녁엔 샐러드를 먹었으니 이 정도면 할 만큼 했네, 쿠키 좀 더 먹어도 되겠지? 하면서 낼름 집어먹는 태도. 그것이 모럴에도 해당될 수 있단 것이다.
모럴 다이어트는 자신이 굿 퍼슨, 즉 착한 사람임을 다른 누군가에게 인식시키기 위한 어느 정도의 안전선을 그려놓음을 설명한다. 적절한 착한 행위, 적절한 부정 행위가 섞이면서 착한 행위를 함으로써 자신도 모르게 쌓이는 압박감은 적절한 부정 행위를 통해 해소된다. 균형이 맞춰지는 셈이다. 적절한 부정 행위를 하고 나서의 죄책감은 자기 자신이 착한 사람이라는 감정선 안에서 나름의 착한 사람으로 맞춰지기 위한 심리 기제다.
내향성의 사회학이 주목하는 것은 이런 모럴 다이어트처럼 '감정 다이어트'를 하는 개인과 환경이다. 감정 다이어트란 용어의 활용이 가능하다면, 감정 다이어트는 부정 행위를 했냐 하지 않았냐를 따지는 게 핵심은 아니다. 문제는 '성격 문화'의 차원에서 자신이 갖고 있는 성격을 유지하느라 쓰고 있는 심리적 에너지의 변형과 귀환이다. 이것은 내향적인 사람들이 무조건 눈에 띄지 않으려 노력하고 조용하며 예민하다는 것으로만 규정할 수 없는 고려사항이 된다. 내향적인 사람들은 어느 정도 자기 안의 고양이성을 활용하되, 그것을 넘어 주변 사람들이 자신에게 기대하거나어느 정도 지켜줬으면 하는 외향성을 소소하게 표출한다. 내향성과 외향성의 균형을 만듦으로써 자신의 내향성 체계 전반을 지켜나가는 데 주력한다. 수전 케인이 『콰이어트』에서 가장 고민하고 함부로 재단하지 않으려 하는 부분 중 하나가 바로 이것이다.
+
1주차에서 '내향성의 사회학'을 통해 나는 사회학이 다친 사람들의 마음을 어떻게 세세하게 해부할 수 있을까를 고민하고 싶다 말했다. 고로 '회복'이라는 일종의 대안을 먼저 정해놓고 사회적 풍경을 고찰하는 방식을 택했다. '회복탄력성'의 무력감을 드러내는 일, '회복사회'가 주시하는 낫거나 낫지 않은 상태의 중간에 위치한 사람들이 겪는 고통에 주목하는 일, '회복환경'이 역설하는 자신의 심리적 에너지 소비에 따른 피로를 회복할 수 있는 감정 환경의 조성을 만들어보기. 그리고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내향성의 사회학'이 단순히 개인의 규정으로 끝나는 게 아니라 사회를 '함께 고민할 수 있는' 정치적 언어의 확장으로 이어지길 바라는 마음은 변함이 없다.
주목하는 사례로 모임피로감과 가짜외향성, 가학적 유머에 신경 쓰는 내향성 인간에 대한 스케치를 시도해보았다.
2주차에는 사회학자 어빙 고프만의 '사기꾼, 피해자, 쿨러cooler' 모형을 발전시켜볼 것이다. 특히 사회라는 무대에 심리적 피해를 입은 이들에게 '이제 열 좀 식히시고(진정하시고) 차분히 돌아보세요'라고 말하는 쿨러는 어떻게 내향적 인간에게 타격을 입히고 있는지 정리해보려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