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완벽한 날들
메리 올리버 지음, 민승남 옮김 / 마음산책 / 2013년 2월
평점 :
1
메리 올리버의 <완벽한 날들>은 당신에게 극렬한 찬사와 흥분을 원하는 책이 아니다. 김연수의 귀엽고도 탐스러운(?) 추천사에서 나오듯, 당신 내면의 요염하고도 내밀한 애정과 약간의 시기심이 이 책을 통해 느껴진다면 이 책은 그 소임을 다했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나는 어릴 적부터 텔레비전 뉴스에서 날씨의 변화를 알리는 소식을 몹시 싫어했다. 사시사철 그냥 그렇게 물 흐르듯 흐르는 날씨가 왜 뉴스 첫 꼭지가 되어야 하는 걸까라는 의문은 내가 신문방송학을 전공하면서 언론의 무용함을 알아가면서 더 커졌다.
나이가 들면서 귀는 더 얇아지고 주변의 목소리는 더 잘 듣게 되었다. 여기서 잘 들음이란 관용의 차원보다는 타자의 내밀한 목소리에 귀를 기울인 채 내 재미없는 삶의 활력으로 보충하려는 일상적 도청의 의미였다. 중년들은 날씨 이야기를 매우 좋아한다. 그러나 나는 그런 대화를 이해할 수 없었다. 어색한 분위기를 깨고자 그냥 던지는 덧없는 말들에 날씨가 희생되는 것 같았다. 차라리 말을 아끼지, 왜 햇살을, 왜 구름을, 왜 비를 끄집어내어 자신들의 허기에 담으려 하는 걸까. 이런 퉁명스러움이 오래 갔다. 여전히 이런 생각은 남아 있다. 그리고.
2
이 책은 내겐 작은 도전이었다. 메리 올리버는 책에서 평범한 날씨도 보도될 가치가 있다고 말한다. 이 문장을 여러 번 읽었다. 그리고 이 문장이 나오는, 책의 제목이기도 한 '완벽한 날들'을 다시 읽었다. 어떤 찝찝함 그리고 약간 틈이 만들어져 그 속에서 방황하는 내 마음들. 쉽게 올리버의 시선에 동요할 수는 없었지만, 내가 이 시인이 모아놓은 단어에 박수를 칠 정도로 환호하진 않았지만, 하나 확실했던 건 내 마음속에 깃든 '소소함의 여진'이었다. 이 책이 주는 풍경에 대한 예찬에서 나는 발걸음을 멈추었다기보다는 뒤를 돌아보았다. 그것도 계속. 페이지를 여러 쪽 넘기고, 아포리즘 같은 문구의 아찔한 경계에 유혹을 받지 않고자 이 책이 주는 특유의 부들부들함에 속지 않으리란 경계심을 부쩍 늘려갔다.
3
그 지독한 싸움이 끝났다는 진부한 결론을 내리고 싶은 건 아니다. 하지만 내 마음속 시시한, 아니 그 누군가가 에이 뭐.
이렇게 시시한. 이라고 해도 어쩔 수 없는 진부함에 대한 수긍은, 이 책은 그래도 이 세상은 살 만하다는 가능성에 몇 퍼센트
기여하는 소품이라는 것이다. 트위터에서 쏟아지는 그 매혹적인 냉소의 말에 당신이 조금 지칠 때쯤, 그러나 너무 달달하고 의심으로 대하게 되는 그 찬사로 가득한 언어의 풍경에 지칠 때쯤, 당신은 당신이 지극히 평범했으면 좋겠다는 마음의 정류장으로 향하고 있음을 알게 될 것이다.
이 책이 마음에 드는 건 ~할 것이다,라는 선언에서 이미 자신의 에너지를 다 써버린 채 그 소진의 상태를 본문 속에 티를 내는 수많은 발기부전의 글과는 달리, 묵묵히 자신이 보이고자 하는 세계를 걸어갈 뿐이라는 태도에 있다. 메리 올리버는 세상을 그냥 이야기해보라고 한다. 많은 이가 이야기해보라고 한다에 방점을 찍지만, 외려 이 책이 찍는 방점은 '그냥'이다. 어깨엔 힘이 빠져 있으며, 글의 표정은 '세상에 바치는 찬사'라는 이 책의 무게와 달리 그 나름 담담하다. 호들갑스럽지 않게 이미
그 길을 걷고 있는 사람에게 우리는 어떤 자극을 느낄 수는 없지만, 대신 그것보다 더 나은 안정감이라는 것을 발견하게 된다.
4
<완벽한 날들>은 로저 프라이가 말했던 '정서적 색조'에 관한 책이기도 하다. 우리가 마주치는 예술이란 곧 그 예술과 교류할 수 있는 개인의 회상 혹은 반성에 기대어 그 감흥을 주고받는 매개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더 나아가 예술은 개인의 회상 혹은 반성이란 일차적 의식 세계를 넘어서 도저히 예측할 수 없는 무의식의 풍경에 자신의 살을 부대끼는 매개이기도 하다. 로저 프라이는 바로 이 과정을 예술의 상징형식이란 틀 안에서 설명했으며 이를 '정서적 색조'라는 개념으로 제시했다.(나는 이 개념을 허버트 리드의 <예술의 의미>에서 발견했다.)
<완벽한 날들>에는 소소하고 담백한 풍경이 등장한다. 활기차고 명랑한 구호로 가득찬 풍경이기보다는 좀 더 차분하고 디테일이 살아 있는 풍경 말하기를 택한 저자는, 풍경을 이야기하며 글을 쓴다는 것에 대한 성찰을 잊지 않는다. 그리고 말한다.
"무엇보다도, 일단 써봐. 노래해. 피가 혈관을 흐르는 것처럼."(127쪽)
이 책을 통해 찾아본 나만의 정서적 색조는 연두였다. 그곳에는 마치 프로이트적인 '어머니와 아버지와 나'로 구성된 정신분석학적 연대기도, '사회적인 것이란 무엇인가'라는 그물망으로 거창해져보고 싶은 사회학적 야심도 없었다. 연두는 그냥 연두일 뿐이었다. 이 마음이 오래 가길 바라면서. 지금 이 정도로 그래 이 정도면 되었다는 고백이 이 사회가 포획해버린 정체감과 두려움 그리고 세월 따위에 복속되질 않길 바라면서. 지극히 평범한 언어들에 애정을 가져본 지도 참 오래되었다는 생각 하나가 이 책을 덮을 때쯤 스쳐 지나갔다.
나는 얼마나 나의 평범성을 사랑하고 있을까. 있는 것을 그냥 놓아두지도 못하는 그 두려움의 시간을 우리는 너무나 오랫동안 방치해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