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중일기>는 제 개인 글이니 주목 포스트에 올리지 말아주세요) 

# 1. 

새 일을 준비하면서 느낀다. 저자와 편집자의 호흡 문제. 박가분 씨의 《부르주아를 위한 인문학은 없다》(인간사랑, 2010) 같은 형태의 책은 대학원생도 안 읽는다는 것이다. 대학원생은 이런 책을 읽는 실수요자다. 대중이 저 레벨을 이해할 수 있도록 수준을 끌어올려야 하는 것인가? 아니면 저자와 편집자가 더 친절하게 나가야 하는가? 난 후자의 방향을 따를 것이다. 

# 2. 

그러기위해서는 저자가 다루는 내용을 '아는' 기획자가 되어야 한다. 저자와 만났을 때, 저자가 하는 말의 뉘앙스를 좇아 고개를 끄덕이는 정도가 아니라, 저자의 정곡을 때론 찌를 수 있는 기획자가 되어야 한다. 특히 인문사회판 저자들이 기획자들 무시하는 것 공공연할 일 아닌가. 결국 저자와 씨름해야 한다.   

 

# 3. 

내가 전공한 문화연구 쪽 책들. 그리고 커뮤니케이션학 책들. 정말 실망스러운 책 뿐이다. 이 재미있는 학문을 재미 없게 만드는 학문 사회를 압박해야 한다. 난 더 비판의 수위를 높일 것이다. 특히 대중의 일상을 연구한다는 문화연구자들. 정신차려야 한다. 자신의 아티클이 논문에 안 실린다고 걱정하지 말고, 자신의 아티클이 대중에게 안 읽힌다는 것을 걱정해야 한다. 아니면 정말 과감하게 이 학문 사회 판에서 따로 나와 커뮤니티를 조직하는 수밖에. 이게 도대체 뭔가. 정작 대중이 모르는 문화연구가 무슨 쓸모가 있단 말인가. 학자들 세미나에서 서로 재미있는 주제네 하며 자기네들끼리 웃고 떠들고 비판하다가 끝나는 모임이 무슨 소용 있단 말인가. 그러니 다른 연구하는 동료들은 문화연구자들이 재즈 음반 수집하는 것 즐기고 돈 많은 집안에서 취미로 공부하는 연구자라고 비아냥거리고 있는 게 아닌가. 지금 문화연구 가르치는 대학원 학과 다 정신차려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