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살면서 늘 웃고 다녀서 그런지 사람 좋다는 말을 평소에 많이 듣는다(내 입으로 내가 평가하긴 좀 그렇지만 -.-). 그렇다고 삶 자체가 느끼하고 톡쏘는 맛이 없는 것은 아니어서, 생각보다 많이 까칠하고 헉헉대며 열불나는 일에는 앞뒤 안가리는 면도 있다. 그리고 자존심도 제법 쎄서 제대로 된 대우를 안 해준다 싶으면 더 과한 친절함을 통해 상대방에게 모욕을 주는 일도 서슴치 않았다. 무엇보다 '격식'이라는 걸 싫어해서 '점잖은' 데를 가야한다고 할 때 갖춰야 하는 드레스 코드 같은 것을 못마땅해 한다. 편한 운동화 한 켤레, 티셔츠 한 장, 슬림한 청바지, 큰 백팩 하나, 검은 모나미 유성펜 가득 담긴 필통과 수첩만 있으면 인생은 그럭저럭 누구 눈치 안 보고 살 수 있지 않겠는가,라는 것이 대학 입학 하고 나서 나름대로 내 스스로에게 지켜왔던 어떤 상이었다.
2
그런 내가 14년 만에 졸업식에 갔다.(식을 다 참여했다) 중학교 졸업식을 1997년 2월에 했으니 14년 만에 갔다. 여기서 '갔다'는 의미를 '식의 모든 참여'로 뜻을 바꿔보자면 중학교 졸업식 이후 내가 이 세레머니에 제대로 참여한 적은 고등학교 때도 대학교 때도 없었다. 원래 이번 대학원 졸업식도 가지 않으려 했다. 경상도에 계신 부모님이 30분 짜리 졸업식 하나 보러 오려고 먼 고생을 하는 게 싫었다는 것은 원래 이런 식에 참가하지 않으려는 사람들이 대는 표피적인 그리고 진부한 이유일테고, 그것보다는 내 스스로가 갖고 있는 나름대로의 철칙을 한 번 지켜보고 싶다는 생각 그것 하나 때문이었다. 철칙 준수에 대한 이야기는 꺼내지 않고, 친구에게 졸업식을 가기 싫다고 하니 "인생을 모나게만 사는 것도 좋지 않다'면서 적극적인 참여를 권유받았다. 결국 그 친구의 도움으로 나는 살면서 처음으로 정장이라는 것을 장만했다.
3
가산디지털단지에 있는 'ㅁ' 아울렛에 들러 나는 내가 입을 정장을 골라야 했다. 하지만 나는 사실 소비와 선택, 특히 나를 위한 소비와 선택에는 참 취약점이 많다. 종교의 특성인지 모르겠지만 어릴 적부터 타인을 위해 봉사하는 것이 일상이 되어버린 우리 가족의 생활 형태로 인해 정작 우리 가족은 우리를 위해 '쓸 수 있는 방법'을 모르고 오랫동안 살아왔다. 누군가에게 들어오는 '선물'이 있다면 그 선물은 이미 우리보다 못한 이들을 위해 다시 되돌려 주어야 할 무엇이었다. 그래서 난 누군가에게 선물을 받으면 선물을 준 사람을 무안하게 할 때가 많다. '내가 받을 방법'에 대해 난 생각보다 이 사회에서 나타나는 '친절함'의 기준에 미달인지 모른다.
그래서인지 나는 무엇을 선택해보라고 하면 '다 좋다'고 한다. 식당에서 메뉴를 고를 때 '아무거나'가 주는 역효과와 유사하게 '다 좋다'는 누군가와 좋은 것을 사러 갈 때 그리 좋은 표현은 아니다. 그렇지만 지금까지 인생을 그렇게 살아왔으니 나는 나에게 무엇이 잘 어울리는지 잘 알면서도 이상하게 처음은 늘 거부하는 삶을 살아왔다. 그런 나를 아는 사람들은 두 번을 묻고, 어쩔 때 세 번을 물어준다. 그때서야 나는 "이게 조금 낫긴 하겠다 그지?"라는 말을 살포시 꺼낸다.
4
삶을 살면서 한 편으로는 뾰족하고 다른 한 편으로는 여린 면이 섞이다 보니 겉으로 나오는 것은 착한 미소. 이것이 내 삶의 트레이드 마크가 된 지 거의 20년이 넘었다. 이런 복잡한 측면을 다시 한 번 보여준 것이 14년 만에 간 졸업식이었다. 졸업생들이 전통적으로 하는 '학교를 떠나며'라는 1분 스피치 시간에 나는 원래 '떠나는 마당에 대학원 욕이나 실컷 하고 가자'는 생각에 가득 차 있었다. 실제로 이 블로그를 들린 이들은 알겠지만 대학원에 다니면서 내가 받았던 상처는 매우 컸고 나는 이 분노로 인해 이 곳을 빨리 탈출하고 싶은 마음밖에 없었다. 막상 마이크 앞에 서니 역시 마이크라는 것은 사람을 착하게 만드는 성질을 갖고 있었다. 마음에도 없는 '착한 말'들이 나오고, 내가 그동안 대학원 게시판에 쏟아 부은 분노로 인해 상처받은 분들이 있다면 죄송하다는 말을 하고 나왔다.
5
부모님이 다시 내려가시고 집에 혼자 있는 시간. 나는 이런 '훈훈한 결말'을 원치 않았다는 걸 알고 있었다. <대학의 몰락>이란 책의 서평을 부탁받아서 읽고 있는데 문득 지금까지의 생각이 떠올랐다. 이 생각은 본 책과는 전혀 관계가 없는 것일 수도 있지만, 한 페이지, 한 페이지 넘길수록 이 생각이 떠나가지 않았다. 졸업식장에는 버트런드 러셀이 말했던 '착한 사람'들만이 있었는데 나라도 못되게 굴 걸..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졸업식을 한 번 더 할 수도 없고 말이지. 깔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