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데노믹스 - 네트워크 시대, 확산과 전염의 경제학
톰 헤이스 지음, 이진원 옮김 / 21세기북스 / 2009년 1월
장바구니담기


디지털 기기의 구입 비용이 하락하자 사람들은 이제 '디지털 격차'에 대해 걱정하기보다 '참여의 불평등'에 대해 걱정하기 시작했다.(28)'참여의 불평등'을 말하는 사람들은 오랫동안 온라인상에서 활동해 왔던 사람들과 새롭게 온라인에 접속한 사람들 사이의 활동 무대가 동등하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한다.-28,29쪽

앞으로 다가올 혁명을 통해 소비자들은 '수용자'의 자리에서 벗어나서 '연결자'로 변신하면서 이러한 상황은 또 다시 바뀔 것이다. 네트워크 인프라가 자리를 잡으면서 사람들은 이제 단순히 정보를 받아들이는 것 이상의 능력을 확보하게 되었다. 다시 말해 사람들은 정보를 평가하고 재구성할지, 정보에 부가치를 부여할지, 정보를 네트워크 내에 있는 다른 사람들에게 전달할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게 되었다. 수용자로부터 연결자로의 이러한 힘의 이동은 다음 경제를 이끌어 가는 동력이다.-49쪽

가장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형식은 바로 '구전'이다. 구전은 다른 사람과 정보를 공유하는 가장 직접적인 방식이다. 특히 소문은 구전 커뮤니케이션 가운데 가장 위력적인 방법이다. 소문은 사회학적 차원에서 바이러스의 등가물이다. 다시 말해서 소문은 적절한 여건만 조성되면 사람에서 사람으로 가장 빠르고 효율적으로 퍼진다.-62쪽

싸이월드의 파도타기처럼 친구되기란 당신의 네트워크에 들어오는 모든 사람들을 '친구'로 바꿔 놓는다는 것을 말한다. 친구되기는 지위와도 관련이 있다. 그 증거로 많은 커뮤니티들이 공개적으(80)로 당신의 친구나 지인 수를 인정하고 있다. 예를 들어 개인의 인기에 대한 일종의 '예비투표'같은 것이 여기에 해당한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누구나 최대한 많은 친구를 갖고 있다는 걸 보여주고 싶은 욕구를 느끼게 된다.-80,81쪽

오늘날의 온라인 게임과 가상 세계는 단순히 아이들이 노는 공간이 아니다. 그들은 우리에게 새로운 방식으로 행동하고, 문제를 해결하고, 기회를 창조하고, 상거래를 실행하는 방법들을 가르쳐 주고 있다. 확장 가능성(다중존재감 및 다중인격)의 중요성을 간과할 경우 새로 태동하는 문화의 근본 원인과 다음 세대의 새로운 고객의 세계관을 잘못 읽게 된다.-152쪽

많은 대형 영화 제작업체들이 큰 인기를 끌고 있는 파일 공유 서비스인 유튜브를 통해서 만연된 저작권법 위반에 대해서 법적 조치를 취하기 시작했지만, 저작권을 위반할 수 있는 통로는 이미 크게 열려져 있는 상태다. 따라서 유튜부의 파일 공유를 막는 데 성공한다고 해도 수십 개의 다른 업체들이 유튜브의 공백을 메워줄 것이다. 비메오,아이스팟, 점프컷,아우어미디어, 데일리모션,블립닷tv,v소셜,그루퍼,레버,비디오에그,레보 같은 회사들은 이미 저작권이 의심되는 파일을 포함해서 사용자들이 온라인상에서 비디오를 보거나 공유하거나 편집하거나 게재하기 쉽게 만들어 놓았다.더 이상 중개 기관들을 통제하여 소비자를 통제하려고 해봤자 싸움에서 이길 수 없다는 생각은 점점 더 커지고 있다.-163쪽

오픈 소스는 지식은 공유되어야 하며,창조적 작품은 집단적 노력을 통해서 개선된다는 철학을 바탕으로 만들어졌다. 다시 말해서 이 철학은 사람들이 소프트웨어를 공유하는 과정을 통해서 소프트웨어의 성능을 개선시킬 수 있는 한 소프트웨어를 자유롭게 사용하고 연구하고 수정하고 재차 유통시키는 것을 허용해야 한다는 것이다.-165쪽

사람들은 이제 콘텐츠의 생산자이자 동시에 콘텐츠의 소비자이다. 오픈 소스와 p2p파일 공유,리믹스 미디어 매싱이 문화의 기둥이 되었다. -182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