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요즘 글을 쓰는 데 지친 이유. 직언을 하자면, 다시, 민주주의를 생각하다 같은 교양강장제 같은 비평의 언어만이 난무하는 지식인의 그 죽은 언어들에 지쳤고, 그리고 그 언어가 주는 또 다른 상징폭력 속에서, 정치의 윤리적 전환이 강요하는 '의로움의 소비'만이 우리 비평의 공간을 가득 메우고 있는 현실에 개인적으로 두려움을 느꼈기 때문이다.  

그 안에서 지식인을 휘감고 있는 그 유럽- 정치철학의  윤리적 소비가, 지식인들의 진정한 언어를 대변하고 있는지도 의심스러우며, 그러한 언어를 소비하고 있는 대중들의 과장된 환호도 내 안에 어떤 불편함을 만들었기 때문이다. 한 사람, 한 사람이 왜 이런 언어를 무시하는가,라고 선전할 때마다, 그들이 들이대는 정치철학을 둘러싼 윤리적 마케팅의 언어는 내겐 너무나 불편하다. 여전히 87년의 '물화된 기억' 안에서 민주주의의 윤리적 언어만이 우리의 새로운 국민교육헌장이 된 듯하여, 숨을 쉬기 어렵고, 우리의 불편한 그 속내 그리고 감정들은 사람들이 오로지 소비하는 그 '정의의 문제' 안에서 다양성이 아닌 이단으로 쉽게 낙인찍히는 현실이 더 두려운 것이다. 

진정한 지식의 계보학이 아닌, 날마다 누적되는 '정보-인문학적' 지도놀이에 신물이 나고, 어차피 이 동네 다 알고 아는 사이 아닌가라는 지식인들의 의례. 이 속에 가장 문제 제기되어야 할 진정으로 불편한 문제는 도외시되는 '포장된 정의'에 대해 우리는 정말 도전해야 하지 않을까. 

이 도전적 위치에 서는 가운데, 동시에 드는 그 과한 윤리적 폭력에 대한 앞선 두려움, 그리고 그것을 극복하고 새롭게 표출하고 싶은 비평적 속내라는 용기에 대해 문득 기록해둔다. 

(늘 부족하지만, 그럴수록 들어오는 어떤 긴장감에 대해 쉽게 넙죽 엎드려 항복하지 않도록)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