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을 공부하는 학생들이 다들 가고 싶어한다는 뉴욕대학교 철학과 대학원.  캐슬린(릴리 테일러 역)은 여기서 박사과정을 밟고 있는 여성이다. 그녀는 친구와 수업을 마치고 집으로 돌아가던 중, 카사노바라는 이름의 뱀파이어에게 목을 물리고, 그녀 또한 뱀파이어가 된다. 카사노바는 그녀를 물기전에 이렇게 말한다. "나에게 꺼지라고 말해!" 하지만, 캐슬린은 차마 그 말을 하지 못한 채, 겁을 먹고 체념한다. 이제 캐슬린이 카사노바의 역할을 수행할 차례다. 아벨 페라라 감독과 그의 고교 동창인 작가 니콜라스 세인트 존 콤비가 만든 최고의 작품 중 하나인 <어딕션>(1995)은, 캐슬린에게 "당신이 공부하는 이유는 무엇인가?"라는 난처한 질문을 영화 속 숙제거리로 선사한다. 이건 비단 캐슬린 만의 문제가 아니다. 캐슬린은 이 질문을 자신의 주변 동료들에게 우회적으로 꺼낸다. 그리고 그녀는 수업에 흥미를 잃고, 점점 더 그녀가 고민하는 세계에 몰두한다. 그녀는 흡혈귀가 되면서, 공부하는 처지에 있는 사람들, 그 사람들이 바로 자신을 쳐다보고 있는 관객이라면, 그 관객을 불편하게 만드는 '성찰-게임'을 시작한다. 자신이 살기 위해선 동료들의 피를 빨아야 한다. 늦은 밤, 피를 빨기 전, 오늘의 먹잇감을 찾고, 그녀의 집으로 초대하기 위해 공부에 대한 이야기, 학위에 대한 이야기를 꺼낸다.  그녀는 흡혈귀가 되면서 예전부터 가졌던 공부하는 것에 대한 혐오감과 회의를 더 직설적으로 표출한다. 예민하게 더욱 예민하게. 가령 이런 장면이다. 





전쟁터에서 무참하게 살해된 사람들. 그리고 그 사람들의 시체를 보면서 느끼는 인간으로서의 어떤 고뇌. 주인공 캐슬린은 역겨워서 세상을 보기 싫어한다. 그녀는 영화 내내 냉정한 눈빛을 뜨는 시간 이외엔 선글라스를 낀 채, 세상을 보는 것과의 단절을 지속적으로 시도한다. 공부와 식욕. 글을 읽고 본다는 것과 욕구의 병렬. 사람을 죽이고 그 죽은 사람을 본다는 것과 글을 읽고 본다는 것의 병렬. 그리고 사람을 죽이고 그 죽은 사람을 본다는 것과 글을 읽고 본다는 것, 먹는다는 것의 병렬. 


캐슬린은 친구가 카페테리아에서 제공하는 햄버거를 한 입 물고, 바로 책을 펴자, "어떻게 먹으면서  읽을 수 있니?"라고 묻는다.    



친구는 말한다. "학위를 받으려면 어쩔 수 없잖아" 

캐슬린은 철학의 거장들을 자유의지를 가장한 사기꾼이라고 비판한다. 그리고 그녀는 '어쩔 수 없잖아'라고 말하는 동료들의 소극적 태도에 불만을 가진 채, 그 혹은 그녀들에게 더 거칠고 강한 그리고 적극적인 태도를 보이라고 요구한다. 그러한 요구의 극단. 그 경계 안에서, 오늘도 동료들은 캐슬린의 제물이 된다. 캐슬린은 자신을 흡혈귀로 만든 카사노바가 한 말 그대로 동료들에게 돌려준다. "나에게 꺼지라고 말해!" 그러나, 동료들은 차마 그 말을 하지 못한다.   

 

 

 

 

 

 

 

내가 이 영화를 보게 된 계기는 2002년에 나온  문학비평집 <문학의 광기>때문이었다. 이 책의 저자인 문학평론가 권명아는, 책을 통해 늘 자신이 갖고 있던 공부에 대한 고뇌를 영화 <어딕션>을 통해 사유하고자 한다. 권명아는 책에서 다음과 같이 말한다.  

<어딕션>에서 자신의 허기를 채우기 위해 끝없이 타인의 피를 요구하는 흡혈귀의 본성은 자신의 <현존>을 위해 <타인의 지식과 생명>을 빨아대는 지식인들의 본성과 일치한다. 자신의 안위를 위한 지식에 중독된 자들, 그들이 <오늘날의 지식인>이다. 그들은 악과 구원과 자유의지를 논하지만 자신들의 악과 구원과 자유의지에 대해서는 아는 것이 없다. 페라라는 아예 노골적으로 이렇게 질문한다. "박사학위를 따면 지옥의 문이 닫힐까." 그렇다면 이렇게 만연한 악에의 중독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길은 무엇일까. "나를 똑바로 바라보고, 나에게 말해라. 꺼져버리라고, 애원하지 마라, 애원 따위는 통하지 않으니까"라는 흡혈귀의 전언은 악과 타협하면서 "어쩔 수 없다"는 자기변명으로 일관하는 지식인들에게 던지는 페라라의 전언이기도 하다. 이를 타락한 대학사회를 비판하고(28) 자신의 <무능함>을 한탄하면서도 대학제도에서 발을 빼기보다는 최후의 일말의 가능성 때문에 오늘도 비굴한 웃음을 띠고 학회를 전전하는 <우리 지식인들>모두에게 던지는 신랄한 질문이기도 하다.  

피의 먹이사슬로 얽혀 있는 이 지식시장 속에서 나 하나가 무엇을 한다고 해서 세상이 바뀔 것인가, 내가 뭐 그리 잘난 존재라고, 꼭 대학교수가 되려고 한다기보다 <먹고 살려니 어쩔 수 없지>. 이러한 자조와 타협, 자기포기 속에서 악은 중독되고 확산된다. 그래서 오늘날의 지식인의 존재론은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가 아니라, <나는 포기한다, 고로 존재한다>또는 <나는 중독된다, 고로 존재한다>인 것이다. <영혼을 팔지 말 것>, 어떠한 이유에서라도 <영혼>을 두고 거래하지 말 것. 페라라는 이 단순한 대답을 여러 작품을 통해 제기하고 있다.  



학교 도서관에서 인류학을 공부하던 동료를 만나, 캐슬린은 포이에르바흐를 이야기하자며, 그녀의 집에서 피를 빨아먹는다. 그리고 그녀는 지식인의 태도를 물으며, 그녀의 밤을 구성하기에 이른다.   



그녀는 촉구한다. "왜 싫은 걸 싫다고 못해?"  



그녀는 뱀파이어가 된 이후, 그동안 자신이 처절하게 고뇌했던 내용을 담아, 열정적으로 박사 학위 논문을 쓰기 시작한다. 



그리고 그녀가 내린 결론은, "철학은 선전입니다" 



캐슬린은 박사 학위를 딴다. 그리고 파티를 연다. 이 파티엔 그녀를 알고 있는 교수들과 동료들이 참석한다. 그러나 이 동료들 몇몇은 캐슬린의 이에 물린 또 다른 뱀파이어들이다. 피의 제전이 시작된다. 이것이 지식노동자의 삶이다.   

당신은, 공부와 피의 관계에 대하여 생각해본 적이 있는가. 공부와 피의 거리는 너무나 멀다고 생각하는가. 공부는 처절한 것이다. 이 세상 많은 사람들이 공부하는 이를 만만하게 본다면, 오늘 이 수많은 지식노동자들은 단결하여 뱀파이어가 될 필요가 있다.  고로 공부와 피의 거리는 멀지 않다. 공부는 인간의 피를 통해 윤리를 되묻고, 스스로가 존재하는 이유를 점검하는 시간이다. 하지만, 지금 지식 사회는 점점 이 피의 존재를 잊고 산지 오래다. 이 존재를 다시 깨달을 때, 우리는 인간 앞에서 떳떳해진 앎의 제자리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공부를 통한 나의 상처는 오직 나의 몫, 이를 통해 맺어질 열매는 당신의 것, 그것이 '진보의 피'일지니.  우리는 이 처절한 피의 격문같은 삶을 멀리할 이유가 없다

며칠 전, 돌아가셨던 어느 시간강사의 죽음을 애도하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