컬트 영화, 그 미학과 이데올로기 한나래 시네마 7
곽한주 / 한나래 / 1995년 11월
품절


컬트 영화, 어두운 욕망을 일깨우는 문화적 마리화나 :곽한주 - 컬트 영화가 유행이라 할 만큼 자주 거론되고 있다. 여러 영화가 컬트 영화라는 이름으로 광고되고 영화 저널리즘은 이 말을 애용하고 있다. 일부 영화광들의 전유물이던 이 말은 이제 웬만한 영화 팬들에 의해서도 특정 부류의 영화를 지칭하는 말로 사용되고 있다.(중략)그러나 실제로 사용되는 경우를 따져 보면 과연 컬트 영화란 무엇인가를 되묻지 않을 수 없다. 컬트 영화를 들먹이는 영화사들의 선전문구뿐 아니라 신문,잡지의 영화 기사들은 상업주의와 선정주의에 크게 오염되어 있는 경우가 적지 않다. 공개도 되지 않은 영화가 컬트 영화라는 이름으로 버젓이 소개되기도 하고 기괴한 감수성을 보여 주는,말하자면 뭔가 '튀는'영화가 컬트 영화로 대접받는 경우도 흔하다.-11쪽

컬트는 그 자체로 본질적 내용을 가지는 것이 아니라 특정한 집단적 현상이나 체험을 가리킨다.컬트 영화란 다름 아닌 컬트의 대상이 되는 영화,즉 일부 관객에 의해 열광적으로 떠받들어지는 영화이다. -12쪽

1960년대 미국에서 등장한 레퍼토리 극장을 근거지로 싹트기 시작한 심야 컬트 영화가 1970년대와 1980년대 전반에 걸쳐 전성기를 구가하게 된 것은 주관객인 젊은이들의 영상 체험이 축적되어 있었던 것과 깊은 관련이 있다. 본격적으로 컬러 tv를 보며 자란 tv세대인 이들은 기존 영화와는 다른 새롭고 이상한 영화들에서 이질성의 쾌락을 발견했던 것이다.한 영화에서 다른 영화와의 차이를 발견해 내고 즐기기까지는 어느 정도의 영화적 교양이 필수적이다.-22쪽

젊은이들의 컬트적 반응이 컬트 영화를 만들어 내던 시대는 지났다.1980년대 이후 미디어 테크놀로지가 하루가 다르게 발달하면서 컬트 영화의 산실이었던 심야 극장은 거의 소멸돼 버렸다. '여행'을 떠날 만한 곳마저 사라져서 개개인이 밀실에서 비디오를 보거나 케이블 tv채널을 돌리게 된 것이다. 이제 컬트 영화는 집단적 체험과 참여에 의해 생겨나는 것이 아니라 개별적인 비디오보기에 의해 '발견'되고 있을 뿐이다.-25쪽

우리에게 컬트 영화는 이미 확립된, 또는 주어진 대안적 영화군의 하나다. 컬트 영화는 이미 그런 평가가 붙여진 채 보여진다. 우리가 하는 일은 특정한 영화를 선택해서 컬트 영화를 만들어 내는 것이 아니라 기존의 평가를 재확인하거나, 가장 적극적인 형태라 해도 컬트라는 수식어가 붙은 영화들을 감별,또는 판정하는 것이다.적어도 당분간 우리는 컬트 영화 형성의 주체가 아니라 컬트 영화의 수동적 소비자일 뿐이다.(중략)단순히 개인적으로 열광하는 영화라고 해서 컬트 영화가 될 수는 없다. 컬트는 개인이 아니라 집단이 만들어 내는 현상이기 때문이다.-28쪽

우리의 컬트 영화 문화는 시원찮은 화질의 복사 비디오를 구해 보던 일부 젊은 영화광들에 의해 독점되었던 시기를 지나 문화적 확산기에 접어드는 것으로 보인다.-29쪽

<카사블랑카>: 컬트 영호와 상호 텍스트적 콜라주 - 움베르토 에코 (한영성 역)/ Umberto Eco, "Casablanca:Cult Movies and Intertextual Collage:, Travels in Hyperreality,Harcourt Brace,1986,pp197~211. -53쪽

나는 <독자의 역할 The Role of the Reader>에서 일살적 프레임과 상호 텍스트적 프레임을 구분했다. '일상적 프레임'이란 레스토랑에서 식사를 하거나 기차역에 가는 일처럼 정형화된 상황을 재현하기 위한 정보 구조를 말한다. 다른 말로 하면 다소간 우리의 정상적인 경험에 의해 약호화된 일련의 경험을 말한다. 그리고 '상호텍스트적 프레임'이란 선행하는 텍스트적 전통에서 유래하고,또 우리의 백과 사전 속에 기록돼 있는 정형화된 상황을 의미한다.-57쪽

멈추어 확인하기 : (전략) 관련 있는 모든 부분마다 테이프를 멈추면서 장면마다,숏마다 우리의 원형을 하나하나 찾아 내는 일도 상당히 흥미진진한 것이다. 공동 연구의 장점을 만끽할 수 있는 연구 팀과 함께 <카사블랑카>를 꼼꼼하게 검토할 때면 항상 여러 시간이 걸렸다. 더 나아가 한 팀이 이러한 종류의 게임을 시작하는 경우 성원의 규모에 비례해 비디오테이프를 멈추는 횟수도 늘어났다.-61쪽

<카사블랑카>는 하나의 영화one movie가 아니라 여러 영화the movies이기 때문에 컬트 영화가 되었다.-69쪽

심야 영화,1980~5년:시장연구의 한 사례-그레고리 윌러 (이채훈 역)/ Gregory A.Waller,"Midnight Movies,1980~1985:A Market Study,"J.P.Telott(ed),The Cult Film Experience,Austin:University of Texas Press,1991,pp167~86. -151쪽

심야 영화 시장의 위축은 1980년대 중반의 보수적인 사회 분위기의 한 징후인지도 모른다.그것은 또 심야 영화의 체험이 갖는 상대적인 진기함이 바래면서 그 체험의 많은 부분이 비디오에게 갖는 상대적인 진기함이 바래면서 그 체험의 많은 부분이 비디오에게 자리를 넘겨 주었다는 것을 말해 주는 것에 지나지 않을 수도 있다. 내가 인터뷰해 본 극장 경영자나 상영 기획자 booking agent들은 심야 극장 시장이 위축된 것은 한때 인기가 높았던 그 많은 심야 영화들-그리고 심야에만 성공할 수 있었던 영화들-을 비디오카세트로 쉽게 구해볼 수 있게 되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심야 영화가 상업적으로 살아남는 것은 수요와 공급의 문제라는 것,즉 심야 영화의 성공은 '가장 사회화된 극장 체험'이라는 말로 표현되는 심야 영화의 독특한 현상에 기인한 것이 아니라 어떤 영화가 제공되느냐에 달렸다고 봐야 할 것이다.(호버맨,로젠바움,301)(영화 상영에 미친 vcr의 또 다른 영향에 관한 예로는 가까운 비디오 가게에서 x 등급의 성인 영화를 쉽게 구해 볼 수 있는 데서 초래된 성인 영화의 급격한 쇠퇴를 들 수 있다.)-160쪽

J.Hoberman & Jonathan Rosenbaum,Midnight Movies,New York:Da Capo Press,1991,PP.321~30. <심야 영화>후기 한정호 역 -187쪽

로젠봄 : (전략) 내 생각으로는 공동체와 관련된 현대의 모든 영화 경험은 반문화적,즉 비디오를 보는 문화적 경험에 대항적입니다.1960년대와의 연관성이 잊혀졌다 할지라도 말입니다.(중략)나는 <로키 호러 픽쳐 쇼>가 집단화된 연극적 영화보기의 마지막 순간 가운데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이는 비디오가 관객을 차지하여 원자화시키기 이전의 일입니다.-194쪽

로젠봄 : 말할 것도 없이 심야 영화의 중대한 위험은 비디오입니다. 우리가 책을 썼을 때 막 시작된 배급의 한 방법이죠. 지금은 당시의 심야 극장 수보다 더 많은 비디오 대여점이 있습니다. 그리고 각 대여점은 심야에 상영됐던 영화보다 더 많은 영화를 보유하고 있죠.-201쪽

호버만:비디오는 빌려 주고 또 가져갑니다. <블레이드 러너>가 강의실의 컬트 영화가 됐듯,비디오를 통해 컬트의 위치에 오른 영화들이 있습니다. 내가 아는 가장 흥미로운 영화는 <그린 베레>입니다. -201쪽

로젠봄 : 지금은 모든 것드리 비디오화되는 그런 세상입니다.우리는 호화스런 인쇄물을 통해 새 비디오의 리뷰를 볼 수 있습니다.그런데 그것들은 이미 영화로 나왔던 것들이죠.인쇄물들은 다른 영화들까지는 커버하지 않아요.그래서 우리들은 스스로 그런 것들을 발견해야만 하죠.그리고 우리는 입에서 입으로 전하는 겁니다.또 당신은 비평의 부재가 가치 있는 것이라고 주장할 수도 있습니다.비평의 부재가 심야 영화의 발전을 이뤘으니까 말이에요.관객들만이 남았을 때, 새로운 종류의 공동체적 반응이 가능한 거죠.관객들이 더 이상 동일한 장소에 있지 않더라도 말입니다.-201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