졸업논문이 거의 막바지 작업에 이르렀다. 오랜만에 짬을 내어 학회 세미나에 다녀왔다. 한국언론정보학회와 한국언론학회는 비슷한 이름을 가졌지만 조금 성향(?)이 다르다고 늘 들어왔다. '진보적'이라는 말이 조금 무겁기도 하고, 거칠게 표현하는 것 같지만, 한국언론정보학회의 분위기는 대학원생들을 독려하는 분위기가 좋아서 예전부터 좋은 인상을 받았다.  

어제 작은 토론회에서, 내가 늘 학술적으로 존경해왔던 한 연구자의 소논문 발표를 듣고 왔다. 그는 석사 시절부터 늘 문화연구의 정체성에 대해 고민했으며, 인정받아왔다. 그리고 성장한 모습을 보였다. 나는 그래서 플로어 토론 시간 때 이런 내 마음을 전했고, 그 후, 그 분의 논문에 대한 평가를 내렸다. 나에게 그 분의 집념은 대단해 보였지만, 그 집념이 가진 유연성은 늘 마음에 남았다. 그래서 그 분과 같은 학교에서 오신 한 분의 성토도 이해가 갔다. 화해의 지점? 소통의 지점? 뭐 그런 것을 마련하는 건 사실 이상적인 게 아닐까.  

난 조금 더 급진적인 무엇을 꿈꾼다. 나는 개인적으로 문화연구자들끼리의 성찰게임이 실패할 수 밖에 없는 이유는 하나. 바로 선언과 이론을 같이 가져 가려하는 점이라고 생각한다. 이론화를 통해 선언을 말하려는 자들은, 그 글을 통해 자신의 태도를 올곧게 만드는 지침서를 만들 수 있어도, 그들이 정작 아쉬워하는 어떤 부분을 개선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고 본다. 차라리 그들이 그렇게 바라는 '옳은' 문화연구를 지향한다면, 선언이 주는 파장에 기댄 이론보다는, 그것과 무관한 이론을 통해, 그 이론이 주는 파장을 기반으로 한 학술적 대화가 더 건설적일 것이다. 

아니면, 차라리 자신이 추구하는 하나의 방식을 직접 실천해보고, 그 방식의 옳고 그름을 지적으로 적용하여, 이론화하는 작업을 하던지. 하지만, 그런 작업도 한국의 문화연구자 몇몇이 실행했지만, 성공하지는 못했다. 이론과 선언의 관계에서 주는 그 '태도'라는 측면이, '비판'이라는 좋은 용어를 갖고 있지만, 결국 자신을 이론적 순혈주의자로 만들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 순간 그 자신은 게토화된 이론의 공간 안에 빠질지 모른다. 

이것을 깨닫는 데, 2년이 걸렸다. 정치적 지향점을 드러내기 위해, 그 지향점을 향한 이론화의 밑받침은 엄청나게 어렵다. 차라리, 그 지향점이라는 이름 아래 자신이 꿈꾸는 변화를 다른 사람과 함께 이야기하고 싶다면, 그러한 글은 굳이 논문이란 형식으로 만드는 것은 시간낭비라는 생각이 계속 든다. 그리고 난 이 생각을 당분간 철회하고 싶은 마음이 없다. 

나는 그 분의 그 화려한 문체, 그리고 열정적인 태도에 늘 존경을 표하면서도, 그 집념이 성장했다는 부분은 인정할 수 없었다.성찰과 비판이라는 좋은 개념이 다른 이에게 '죄의식 마케팅'으로 인식된다면, 그건 문제가 있는 게 아닐까. 

일단, 나는 계급을 사유한다고 해서, 다시 맑스로! 하는 구호는 반대다. 그리고 계급을 문제화하는 것이 우리 시대의 퇴색된 비판의식을 회복하는 것도 아니라는 입장이다. 그래서 나는 하드한 정치경제학으로 돌아가야한다는 일부 문화연구자들의 목소리에 공감할 수 없다. 그런 면에서 진보인들의 현실 정치에 대한 감각을 탓하는 지식인들도 결국 그 자신이 학술을 통해 꾀하는 현실 감각이 둔함을 인정해야 하지 않을까. 

오히려 내게 그럼 답이 뭐요 물어본다면, 나는 맑스보다 피터 싱어를 공부하는 것이 그대들이 바라는 진보적 문화연구가 아니겠냐라는 답을 꺼내고 싶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빵가게재습격 2010-04-20 20:5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섣부른 생각이겠지만, 얼그레이님 글을 보면 '진보적인 이론과 절차가 진보적인 정치적 함의까지 끌어내는 것은 아니다.'란 문제의식과 회의에서 머물러 계시는 것 같은 느낌이 듭니다.그리고 당연히 얼그레이님은 정치적 실천이 확보되지 않는다면(최소한 연계되지 않는다면)이론이 무슨 소용이 있는가 싶은 회의를 느끼시는 것 같고요. 그런데, 제 느낌엔 이론 자체가 원래 그런 한계를 가진게 아닌가 싶은 생각이 들어요. 이론이 정치적 함의를 끌어내기 위해 논의를 전개하게되면(혹은 전개한다고 선언하면) 기본적으론 그 논의가 대상으로 삼는 기존 일반지식이론과 정치 자체가 '외부'에서는 그대로 남게 되지 않을까 싶어서요.(무슨 소리를 하고 있는 건지--;;; 혜량하옵소서.) 요컨데 이론 자체는 늘 실패할 수 밖에 없죠. 그렇다고 해서 거친 경험주의가 쉬운 답이 될 수 있을 성싶지도 않고요. 쓸데없이 잡소리를 늘어놓았네요. 얼그레이님의 글을 보니 이런 생각이 들더군요. 어려운 문제지만, 진정성을 가지고 대하시니 해답이 나오겠죠. 힘네세요...!

얼그레이효과 2010-04-20 21:20   좋아요 0 | URL
오 좋은 생각 고맙습니다. 음, 이 글을 통해 제가 말하고 싶은 건 다음과 같습니다. 요즘 들어 저는 '진보적인'이론이 있을까란 생각을 한답니다..중요한 것은 그걸 '진보적으로' 잘 활용하는 것이겠지요. 빵가게님이 잘 지적해주신 부분. 이론이 정치적 함의를 끌어내기 위해 논의를 전개하게 되는 것. 이 부분은 사실 제가 대학생이 되고..그리고 대학원 들어와서..작년 까지..이론은 반드시 비판적,정치적 함의를 끌어내야 한다는 생각을 갖고 있었다고 밝히고 싶어요. 근데..공부를 하다보니..그 생각이 제 '아집'이라는 걸..요즘 느끼게 되고,,이론과 실천에 대한 차분한 관계를 모색하는 중이랍니다. 만약 제가 계속 과거의 생각을 밀어붙인다면..빵가게님 말처럼, 일반지식이론과 정치가 오히려 더 고립되는 형국이 발생하는데..이 '실천이론'이라는 것..그것 만큼 신중하게 써야 할 개념은 없는 것 같다란 자기비판을 하게 됩니다.

얼그레이효과 2010-04-20 21:2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론을 너무 각박하게 인식하지 않았나..^^ 공부를 계속 할 사람으로서,,요즘 제게 어떤 인식 전환의 계절이 오긴 온 것 같습니다. 좋은 덧글 덕분에..또 한 번 깊이 생각하게 되네요. 고맙습니다.

빵가게재습격 2010-04-20 21:57   좋아요 0 | URL
아이고, 별 말씀을요. 누구 눈에는 누구만 보이고 누구 눈에는 누구만 보인다고, 훨씬 깊은 생각을 하시네요.^^ 제 한계가 그 정도라서 그정도 내용으로만 보였는 모양입니다.^^;;; 졸업논문 잘 완성하시고요. 일교차가 심한데 감기조심하시고요.(이미 걸려있으시지 않을까 싶습니다만.--) 총총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