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의 미디어와 소비 트렌드
박은아.우석봉 지음 / 커뮤니케이션북스 / 2008년 11월
장바구니담기


우리나라 사람들의 생활 모습은 1990년대를 기점으로 크게 변했다. 경제 성장을 가장 중요한 국가적 목표로 삼고 달려온 덕분에 물질적으로 풍요해진 한국 사회는 외형적으로 삶의 모습이 크게 향상되었는데, 이와 더불어 가치관도 변했다. 그리고 그 변화의 중심에 물질주의 가치관이 자리한다.-3쪽

우리나라 소비자들의 모습은 지난 20여 년 사이에 크게 변했다. 아끼고 절약하여 한 푼이라도 더 모으려던 또순이형 주부가 1980년대 모습이라면 결혼 후에도 미혼 때의 외모와 라이프스타일을 지속하고자 하는 1990년대 미시주부들의 모습은 산업사회와 후기산업사회 소비자의 모습이 어떻게 다른지 잘 보여준다. -39쪽

유행을 따르거나 다른 사람이 장에 가니 나도 장에 가는 것처럼 타인이 어떤 행위를 하기 때문에 자의적으로 그 행위를 따라하는 것을 동조(conformity)라고 한다. 동조하는 이유는 다양하지만 소속 집단으로부터 배척당하지 않으려는 동기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렇기 때문에 동조현상은 집단문화나 또는 소속감이 중시될 때 더욱 강하며 이러한 소속감은 청소년에서 특히 중시되는 것으로 나타난다. -109쪽

70~80년대 '필요'에 의해 물건을 사던 시절, 학자들은 구매결정을 '문제 해결(problem solving)'이라 불렀다. 소비자들이 그만큼 신중하고 계획적으로 마치 수학문제를 풀듯이 구매를 결정한다고 본 것이다.-376쪽

미디어 애착 (media attachment)-0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