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원-사회'에서 생존하는 전략 중 하나는 '교수 이름 외우기'다. 나는 이런 암기를 잘 하는 이들을 '명함 인간'이라 부른다. 명함에는 보통 무엇이 들어가나. 자기 이름, 자기가 다니는 직장, 자기 직책, 블로그 주소, 휴대폰 주소, 등등이 들어간다. 명함 인간들에게는 교수의 이름, 교수가 나온 대학교, 대학원, 유학 간 나라, 그 나라의 대학원, 그 교수가 쓴 논문이나 단행본 등을 외우는 것이 필수다. 그리고 대화가 시작되면, 자신이 외운 '명함'들을 꺼내는 것이다. '명함 인간'들은 보통 술자리에서 그 능력을 잘 발휘한다. 소주 한 잔을 부딪히면서, 껄껄거리는 웃음으로 삼겹살을 잘게 썰며, 자신이 알게 된 교수의 이름과 논문을 줄줄 읊는다. "아! 전남대의 무슨무슨 교수? 아 연대의 그 무슨과 그 교수?"  

사실 내가 가장 무서워하는 유형은 대학원 공부를 하고 싶은 대학교 고학년생들의 어떤 열정이다. 물론 공부를 열심히 하는 차원에서, 그렇게 교수 이름을 외우고, 그 교수가 무슨 대학을 나왔고, 어디에 유학을 다녀왔는지는 아는 건, 어떤 열정의 소산일 수도 있으리라. 하지만, 나는 솔직히 말해 그런 '관계망 만들기'를 좋아하지는 못하겠다. 내가 아는 몇몇 후배들은 내가 책을 빌려주니 책 앞 표지에 있는 저자의 소개만 뻔하게 쳐다보더라. 무슨 내용을 쳐다보는지 사실 함부로 확언할 수는 없지만, 그것을 바라보던 친구들이 방금전까지 서울의 모 교수와 경남에 있는 모 교수가 영국의 무슨무슨 대학 동문이고, 어쩌고 그런 정보를 귀신같이 잘 알아서 말하던 이와 일치한다는 것을 볼 때, 나는 기분이 이상한 걸 부인할 수 없었다.  

'명함 인간'들을 탄생시키는 구조에 대해 우리는 본격적인 의문을 던질 필요가 있다. 다만 이런 의문에 손사래를 칠 사람들이 놀랍게도 교수보다는 젊은 제자들이 더 많을 거란 점이다. 나는 늙으면 늙을수록 부패와 근접해 있다는 견해에 좀처럼 동의하기 어렵다. 오히려 그 부패와 불안에 눈감으려 하는 것과 가까이 위치해 있는 이들은 나를 포함한 젊은 연구자일 수 있다. 내가 열을 올리며, "야, 아무리 그래도 어떻게 교수가 조교한테 미용실 예약을 시키냐!"라고 말할 때, '그게 뭐 어때서'라고 쳐다보는 친구들이 생각보다 많다는 현실은 비단 나의 억측이 아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