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체한 것도 아니고 그렇다고 뭔가 임팩트가 있는 것도 아닌 '문화연구의 21세기'를 죽이는 것은 '빨간펜 선생님들' 때문이다. 지난 8월 [문화연구에 저항은 있는가]라는 '뜨거운' 주제를 내걸었던 문화연구자들의 문화연구캠프는 그들이 왜 무기력한가를 여실히 보여주었다. 세션의 좌장들은 마음 속 빨간펜으로 대학원생들의 글을 '좋은 논문이 되려면'으로 시작하는 훈수를 두었고, 나는 그 훈수에 기분이 상해 끝까지 자리를 지키지 않고 나왔다. 용산참사부터 시작하여 고 노무현 대통령의 죽음, 그리고 촛불에 대한 문화연구자들의 기계적인 해석을 거부하는 장문의 비평을 작성하여 가지고 갔던 나는, 무엇보다 이 비평문을 가지고 이야기를 하고 싶었으나 거부당했다. 그들은 비평의 내용보다는 '재미있네요'라는 멘트로, '좋은 논문이 되려면 다음의 사항을 지킬 것을' 더 말하고 싶었나보다.

'촛불'을 이야기하는 한 세션은 2008년의 이야기들을 대학원 특유의 '재미주의'라는 시선으로만 스케치했을 뿐, 그 어떤 영향력도 없었다. 미디어/문화연구자라는 이름 아래 속해 있던 그들은 기존의 딱딱한 실증적 언론 연구와는 다른, 차별적인  그리고 대중적인 연구를 한다 자임하고 있었지만, 그것은 터무니 없는 교만에 불과하다는 것을 나는 대학원 생활을 하며 느꼈다. 문화연구자들이라 하면, 다른 연구와는 달리 뭔가 멋스럽고 반항스러운 것 같지만, 그건 정말 큰 오산이다. 똑같이 기계적이며, 체제순응적이다. 고로 문화연구에서 정치를 논하는 젊은이들에게 정치는 '흥미로운 논문'의 소재로 전락한다. 수업 시간에 감화받은 목소리로 촛불을 연구하겠다던, 한 이는 그 이후 그 연구가 끝나자마자 어느새 그랬냐는 등, 다른 길을 향해 가버렸다. 여기서 그가 표방하는 정치는, 의식있는 학생으로서의 체면을 적당히 유지하고, 문화연구 진영 내에서 나름 정치적 시각을 강하게 드러내는 권력자-교수에게 이쁨을 받기 위한 포장이라 하면 너무 잔인한 해석인가. 하지만 그것은 엄연한 현실이다.  

빨간펜을 꺼내 "음 좋은 논문이군", "좀 더 발전시키면 좋은 논문이 되겠어" 수준으로 모든 글을 판단하며, 처리하는 빨간펜 선생님들의 그 고마운(?) 조언은 대학원생들의 자기 검열과 잘 섞여 '그들만의 리그'로 변질된다. 정말 아이러니한 것은 그토록 저항을 외치며, 혁명적 사유를 이야기하던 문화연구의 정신은 정작 그 문화연구를 하겠다던 문화연구자의 연구 안에서 증발된다.  

다가오는 현상에 대한 새로운 시선을 늘 '그건 논문의 주제로 어울리지 않아'라고 딱 잘라버리고, '딱 그 만큼의' ,' 기존의' 것에서 너무 벗어나지 말 것을 요구하는 제도의 목소리는 젊은 대학원생들의 몸과 마음을 늙게 만들고, 글은 축 처진 노인의 살과 같게 한다. 자신이 참 젊다고 생각하는 착각 속에서 사유의 게으름을 학문의 연차로 지배하려는 그 젊은 권력의 스승들마저도 내게는 '무지한 스승'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