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드워드 톰슨의 <노동계급의 형성>을 보면. 참으로 멋드러진 표현이 많다. 멋드러지다는 것은 "나도 언제 이런 표현을 써 보나"라는 단순한 감탄의 차원이 아니라, 그 표현을 볼 때마다 가슴에 스며드는 아련한 공감대가 있기 때문이다. 톰슨은 당시 영국 사회의 노동자들을 둘러싼 심리를 일원화시키지 않는다. 그들에게는 두 왕국이 있었다. 이 두 왕국은 노동자 개인에게 일정한 긴장감 혹은 무기력을 안겨다준다. 내면의 왕국에서 끓어오르는 삶에 대한 의지가 있지만, 그 의지가 체감하고 있는 부정적 현실들. 그리고 그 현실들을 아우르는 억압의 세력에 대한 존재가 주는 부담감은 지금 삶을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더욱 부과되고 있는 것이 아닐까 생각한다.  그 부담감을 주는 존재를 역사가 톰슨은 '정신의 경찰'이라고 명명하는데, 이것은 내가 미셸 푸코의 책을 대학교에서 처음 접했을 때 스스로 떠올려 본 표현과 거의 유사하다. 내 안에 들어있는 경찰.  

대학원 석사과정 2학기가 생각난다. 나는 대학원이 갖고 있는 제도화의 모순에 대해 상당한 분노를 갖고 있었다. 무엇보다 나의 분노를 어리석게 보는 이 대학원이란 곳에 대하여 나는 어느 정도의 회의감 또한 갖고 있는 게 사실이다. 오늘 통과된 미디어법 관련해서, 정작 언론학을 전공하는 이웃 친구들은 해장국 집에서 나오는 뉴스를 보며 '쯧쯧쯧' 혀 차는 소리 차원에서 이 시대에 대한 유감을 표명할 뿐. 사실 언론학을 전공한다고 해서, 언론의 현실에 그 어떤 의지를 갖고 해석하려는 사람들이 있다는 걸 기대한다는 것은 어떤 과잉된 패배주의가 아니라, 현실임을 점점 수긍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씁쓸하다.  

영향력을 행사하려는 사람들의 지식은 오히려 점점 소외될 수 밖에 없다. 중요한 것은 연대할 수 있는 지식. 수평적 차원의 지식이라고 나는 믿는다. 그러나 내면의 경찰들은 대학원이란 공간에 있는 사람들의 습속을 너무나 잘 알고 있다. 그들에게 필요한 것은 결국 술자리에서 제자들에게 "교수님, 와 어떻게 그런 연구를 하세요..선생님 멋있어요"라는 말 한 마디 듣는 위안, 자신을 키워준 인연들에게 고개를 숙이거나, 명함을 건네며, 사회적 자본의 항문을 핥아주는 '자족'의 삶 뿐이다.  

아는 후배에게 근조 대한민국이라는 문자를 보냈다. 미디어법이 너무나 어이없게 처리되고 텔레비전을 껐을 때, 후배가 전화를 해 "오늘 일식 봤어?"라는 말을 했던 게 기억이 난다. 차라리 일식을 정면으로 보고 눈이나 멀어 버릴 것을. 그래서 이 더러운 세상. 그리고 깨끗한 진리를 생산한다고 자위하는 대학원이란 공간의 추태와 무기력을 더 보지 말것을. 지금 여기는 너무 조용하다. 의미없는 뒷담화와 어색한 분위기를 깨기 위한 칭찬들. 말의 향연이 시작될 것이고, 그것이 계속될 수록 그들은 그 향연의 위상을 거대하게 포장하고 말 것이다. 내면의 경찰이 잘 지켜줄 것이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라는 내면의 경찰에 저항하는 그 순간의 즉결 효과를 바라는 게 아니다. 지금 이 순간. 나 스스로에게 '그럼에도 불구하고'의 의지가 담긴 학문적 실천의 소망이 있는 지를 굳건히 점검 또 점검하는 계기들을 우리 모두 공유할 수 있을까를 묻는다. 그 진부한 토익 시험, 바쁘다는 핑계, 20대들을 그만 좀 둬라라는 진부한 핑계거리를 집어치운 채, 그 내면의 경찰이 주는 이상한 보호막들을 다 부셔버린 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