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나아가지 못하는 분노. 우리 시대는 과연 '분노'를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가. 분노를 어리게 보는 사람들은 어림을 '어리석음'으로 보는 경향이 있는 듯하다. 그렇기때문에 뭔가 분노와 행동이 이어져야할 때, 분노를 경계하는 사람들은 '조금만 참자'고 말한다. 그것이 '준엄한 분노'를 위한 성실한 준비로 연결된다면 납득할 만하지만, 그 시간을 자신만의 유희로 '자위'하려는 사람들에게 아량을 베풀고 싶은 선의는 없다. 그것마저 다원성이라는 이름으로 '그냥 그렇게' 넘어가야 되지 않겠습니까라고 한다면, 가운데 손가락은 내 머리보다 솔직할 것이다. 

고로 사람들의 입에서 관성적으로 튀어 나오는 "죄송합니다. 먹고 살기에 바빠서요"라는 말에 담긴 우리들의 생각은 가슴 속에 묻어난 그 어떤 '비판적 사고'를 도모하도록 한다. 분노하는 사람들을 쳐다보는 이들, 나는 이들이 '관객의 윤리'에 갇혔다고 생각한다. 입만 산 사람들은 그래놓고 '강단 좌파', '입 진보'라는 꼬리를 달기 좋아하며, 자기 예외의 논리로 맞선다. 남의 집에 불이 났는데, 그것을 걱정하지만, 물을 채울 양동이가 있는지 위치만 확인하고서는, 그냥 누가 대신 물을 뿌려주겠지라는 심리. 나는  어떤 역사적 '대사건'을 바라고, 그 '대사건'을 하나의 희생양으로 삼아 대중들이 이것을 기회로 일어나야 한다는 구호를 촉구하는 게 아니다. 다만, 나를 포함한 우리들의 무기력감. 걱정은 하지만, '죄송합니다'라는 말 하나를 인터넷 덧글로 남긴 채, 사실은  소녀시대나 원더걸스의 근황을 다른 커뮤니티 사람들과 낄낄 거리며, "사람이 어떻게 매번 치열하게 살 수 있겠습니까?. 조금 쉬어 가야죠.."라고 하는 사람들에게 던지는 질문이다. (하지만, 이것을 어떤 예의의 차원으로 몰고 갈 생각도 전혀 없다. 예의에 대한 굴복 말이다.) 

관객이 있다면, 관객이 낄낄 거리거나 울 수 있는 여건을 만드는 무대, 그리고 그 무대를 장식하는 사람들이 있기 마련이다. 관객도 참 다양한 성향이 있겠지만, 무대 위 사람들의 퍼포먼스에 일희일비하는 것에 만족하는 관객, 그 일희일비에 수긍하는 것에 그치는 관객에게 그 무대 위 사람들은 자신이 '광대의 운명, '광대의 윤리'에 복속되어 있음을 느끼고 있지 않을까.(하지만 이 광대를 자조적으로 평가하기보다는, 관객의 윤리가 만들어 낸 '상상의 대상'이라고 해두자.) 

현실 세계의 수많은 열악함들이 우리를 뒤덮는 가운데, 우리에게 정치 현실이란, 그리고 그 정치 현실을 해석하기 위해 만들어진 정치 교양이란 회사에서 사람들과 원만한 관계를 지내기 위해 '낯선 공백'을 채우는 '정치  정보에 종속되고 만다. 고로 정치 정보의 '기능'은 정치 교양이 갖고 있는 잠재성, 현실 세계의 변화 가능성을 대화의 종결과 함께 틀 지운다. 고로 사람들의 대화는 또 다른 역사적 대사건을 기다리고, 사람들은 끊임없는 대사건의 연속에 그 대사건이 주는 '진지한 자극'들을 쉽게 잊어버린다. 

솔직히 말해서, 고 노무현 대통령의 서거 이후 사람들의 몰아치는 이 '반성'이 조금은 이상하게 느껴진다. 한. 원한. 분노. vs, 대, 대결...혹시 우리는 이 '반성'을 현실 세계의 답없음과 교환하는 데 만족하는 것은 아닐까. 고로 이 반성은 '관행적 반성', '기계적 반성'이 되어, 우리는 또 다른 노무현을 만들어, 거기에 '희생양 의식'을 투여하는 것은 아닐까. '나'가 다행히 살아 있어, 죽은 이의 넋을 기리며, 그 뜻을 받들자는 구호의 욕망 속에, '지금 당장' 의지를 분출할 이 시간을 유예하고,그 시간에 자신의 '약함'을 동정 어린 변명으로 내세워 그냥 시간 속에 묻혀버리게 하고 싶은 것은 아닐까. 고로, 그렇게 우리 이 순간을 잊지 말아야 한다는 구호 또한 '관객의 윤리'에 갇힌 대중들에 의해, 스쳐 지나가는 역사적 대사건의 하나로 남아버리는 것은 아닐까. '그냥 광장 하루 갔다 왔어. 출석했어. 나 장하지' 참 잘했어요 도장 하나 받고, 그것에 대한 만족으로 '우리는 할 일 다했어'라고 우리의 권리를 애써 축소하고 있지는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