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을 훼손하는 그림, <배심원들>
⠀⠀⠀

0. (스포일러 유) 근래 본 국내 상업영화 중엔 <배심원들>(2018, 홍승완)에 조금 눈길이 갔다. 그 이유는 <12명의 성난 사람들>이나 <12명의 마음 약한 일본인>처럼 배심원제를 통해 다종다양한 '인간 군상'을 곱씹을 수 있음은 아니었다.
⠀⠀⠀
1. 영화 속 대사와 촬영의 특색에서 강조되는 시각적 요소, 시각적인 것이 비유로 나타나는 요소가 계속 생각났다. 2008년 한국에서의 첫 국민참여재판을 모티프 삼은 본 작품에서 법원장(권해효)은 담당판사 김준겸(문소리)에게 거듭 부탁한다. 이 재판, '그림이 되어야 한다'고(이 대사는 자주 등장한다).
⠀⠀⠀
2. 내용상 18년째 재판을 맡아온 베테랑 김준겸에게 법원장이 무슨 의도로 그림이라는 비유를 쓰는지 파악하는 데에 긴 시간이 걸릴 필요가 없다. 김준겸은 첫 국민참여재판을 통해 법조계가 원한 그림을 그리는 판결을 해야 한다.
⠀⠀⠀
3. 그러나 영화는 8번 배심원 권남우(박형식)의 주도로 법조계가 원하는 속도와 상이 담긴 그림(판결)을 내놓지 않는 설정을 걸어두고, 영화는 무죄와 유죄라는 분명한 그림 대신, 그런 그림을 얼른 그리자고 꼬드기는 때에 "싫어요"라는 선명한 응답을 내건다.
⠀⠀⠀
4. 법조계가 원하는 그림의 완성은 점점 유예되고, 페이스는 배심원들로 향한다. 배심원들은 법조계가 언론을 통해 법조계와 언론계의 구미에 맞는 그림을 그리려 할 때마다 느릿느릿한 숙고와 숙의로 제동을 건다.
⠀⠀⠀
그리고 판사를 위시한 법조계-전문가들은 일반인들이 그리는 법의 그림(배심원들의 숙의)에 마음을 열게 된다(공교롭게도 배심원 중 유일하게 법 전문성과 친숙한 법대생인 1번 배심원의 이름은 윤그림이다. 윤그림은 시기상 법전문성을 충분히 숙지할 수 없는 애매한 전문가로서 다른 배심원들과 법 전문가 사이에서 그려볼 그림을 위한 절충을 담당한다) 
⠀⠀⠀
5. 영화의 첫 장면. 법원 바깥이 뿌옇게 처리되다 사진기자들의 무수한 플래시 세례가 나오고, 정작 기자들의 의도와 달리 그 세례를 비껴나간 김준겸 판사의 모습은, 영화 말미 국민참여재판을 기념하고자 법원 내에 걸린 배심원들의 단체사진 중 유일하게 눈을 감은 권남우의 모습과 맞닿는다.
⠀⠀⠀
6. 권력과 권위가 부여된 공적 기관이 인민people의 일상엔 아랑곳하지 않는 그림을 신속히 그리려 할 때, 인민은 그렇게 눈을 감아버림으로써 기관의 속보이는 의도에 부응하지 않는다.
아울러 김준겸 판사와 배심원 권남우는 첫 국민참여재판의 결과와 그 의의가 언론을 통해 괜찮은 그림이 될 뻔한 순간, 취재에 응하지 않음으로써, 그림을 훼손한다.
⠀⠀⠀
7. <배심원들>은 사법부를 비롯한 파워엘리트들이 꾀하는 민주주의와 정치적 실천이 정작 우리네 인민과 멀어져온 그림을 주시하면서, 그러한 그림을 훼손하는 그림을 선보인다. 이것은 영화가 당신에게 제시할 수 있는 괜찮은 정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