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행히 <피아노를 쳐 줄게> 포토리뷰와 http://blog.aladin.co.kr/714960143/4575395
<나는, 당신은 좋은 선생님인가?> http://blog.aladin.co.kr/714960143/4541665
페이퍼로 이달의 당선작 2관왕을 먹었다. 지난 달 3관왕 먹었다고 자랑했는데, 이달엔 누가 3관왕을 먹었나요?^^
백수가 된 3월엔 일주일에 한번하는 초.중생 과외 수입이 쥐꼬리라 지름신을 부를 수도 없는데, 고딩 남매의 문제집과 큰딸의 임고 준비 책값이 엄청나게 들었다. 이젠 그림책을 안(덜) 사들여도 되지만, 앞으론 청소년 책을 더 사들이게 될 거 같다.
오늘 들어온 이달의 당선작 적립금으로 막내 문제집과 내가 보고 싶은 책과 중고샵에서 몇 권 건져 5만원을 채웠다. 다음 달부터 적립금 대신 알사탕 4,000개를 준다는데, 알사탕은 상품권으로 바꾸거나 영화할인쿠폰, 문자메세지 등 이용할 수 있는데 고객 입장에선 번거롭지 않을까...
알라딘에선 적립금 지급과 알사탕 지급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궁금하고, 지난 달 알사탕 리뷰 당첨자는 왜 발표하지 않는지 질문해도 메아리도 없다. ㅜㅜ(라고 썼는데, 포토리뷰 알사탕이 적립되었다.ㅋㅋ 설마 내 페이퍼를 보고 발표했을까...)
2011-03-10 |
|
마이리뷰 |
|
2011년 2월 포토리뷰 당선 |
|
20,000원 |
|
- |
|
55,710 원 |
|
2011-03-10 |
|
마이리뷰 |
|
2011년 2월 마이페이퍼 당선 |
|
20,000원 |
|
- |
|
35,710 |

<핵심 3개년 모의고사 문제집 언어영역 고1>
3월 10일 모의고사 보는 날인데, 1학년 우리막내는 6월과 9월 모의고사만 본다고 했다.
이 책은 2008년, 2009년, 2010년에 출제된 모의고사 언어영역 문제집이다.
수업시간에 쓰는 교재로, 모의고사 문제 유형에 적응하기 위해 풀게 하는가 보다.
삼남매 다 언어영역은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되는데, 독서의 힘이라고 믿는다.

<현대문학 3월호>
박완서 작가 추모특집이 실렸대서 소장용으로 구입했다.

<철학통조림 달콤한 맛>
과외하는 중학생은 책을 좋아하지 않아서 재미있는 소설 위주로 읽히고, 3개월에 접어들면서 철학통조림을 조금씩 읽게 한다. 빨간 표지의 매콤한 맛을 다 읽어가니까, 다음주엔 노란 표지의 달콤한 맛을 보게 하려고. 담백한 맛과 고소한 맛도 차례로 사게 될 듯...


신간이 아닌 책들은 가급적 도서관에서 빌려 보거나 중고샵을 이용하는데, 초창기보다 알라딘 중고도 가격이 높아진 거 같다.
중학교 방과후수업에 필요할 거 같아서 구입했는데, 그래도 새책보다는 훨씬 저렴하고 가끔은 완전 새책 같은 중고를 건지고 쾌재를 부르기도...^^



<달려라 모터사이클>은 도서관에서 두 번이나 빌려왔음에도 못 읽고 반납했던 책이고, <철학이 뭐예요?>는 철학을 어려워하는 내가 보면 좋을 듯하고,
<내 인생의 스프링 캠프>는 2007년 제1회 세계청소년문학상 수상작인데, 5월 광주 이야기가 나온대서 꼭 보고 싶었다. 5회 세계문학상 수상작인 <내 심장을 쏴라>도 같이 읽으려고 중고에서 건졌다.
이런 책은 마을도서관에 꼭 있어야 될 책으로, 선물했거나 대출 후 분실된 책은 다시 구입하기도 한다.
<선생님은 나만 미워해> 초등학교에 입학한 1학년 은채와 같은 반 아이들 이야기 네 편에 선생님의 사랑을 받고 싶은 아이들 마음이 잘 드러났다. 이금이 작가의 어린시절 경험과 자녀들의 이야기가 떠올라 썼다는데, 세월이 흐르고 시대가 변해도 '선생님은 나만 미워해'라고 느끼는 아이들 마음은 뱐하지 않는 듯하다.^^ 1학년들과 엄마들이 읽으면 1학년 교실에서 벌어질 풍경을 미리 맛보고 면역주사 한 방 맞아도 좋으리라.ㅋㅋ

<알게 뭐야!> 이현주 목사님이 쓴 책으로, 빵을 만들고 집을 짓는데 재료가 바뀌어버렸지만 '알게 뭐야!'~~~ 시멘트로 빵을 만들고 밀가루로 집을 지었으니 이를 어쩌랴... 개정되기 전 초등 4학년에 수록됐던가.

<초코 엄마 좀 찾아 주세요!>입양에 대한 이해를 돕는 그림책, 서로 생김은 달라도 사랑하고 이해하며 가족이 되어가는 과정을 보여준다.
와일드 보이에게 선물했었는데, 잘 이해하고 좋아했었다.
<어찌하여 그리 된 이야기> 우리 옛이야기 중에 사람이나 동물의 생김새나 특징에 대한 유래담이 재밌다. 이야기를 하는 까닭, 대머리가 생긴 까닭, 까치의 배가 불룩한 까닭, 새우의 허리가 굽은 까닭 등 모두 그 이유가 있으며, 어찌하여 그리 되었는지 궁금증과 호기심을 불러 일으킨다. 시리즈 모두 우리가 꼭 알아야 할 우리 이야기다.

<가슴 뭉클한 옛날 이야기>는 제목 그대로 가슴 뭉클한 옛날 이야기 여섯 편이 실렸는데, 잘 모르는 이야기도 있다. 지성이면 감천이라는 말이 왜 생겼는지도 알게 되고...
<세상이 생겨난 이야기>는 창조신화 다섯 편이 실렸다. 우리 창조신화 는 단군신화만 있는 게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