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브뤼셀의 한 가족 ㅣ 제안들 29
샹탈 아케르만 저자, 이혜인 역자 / 워크룸프레스(Workroom) / 2024년 6월
평점 :
샹탈 아케르만(1955-2015)은 벨기에 출신의 영화감독으로 47년간 40편 이상의 작품을 남겼고, 자전적 소설 두 편이 있다. 작가는 2015년 파리에서 자살했다. 『브뤼셀의 한 가족』은 작가의 아버지인 야콥 아케르만이 병으로 사망하고, 2년 후 48세인 샹탈(장녀)이 출간한 자전적 소설이다.
아마도 이 책이 한국에서 출간되지 않았다면 난 ‘샹탈 아케르만’이라는 작가에 대해 끝까지 몰랐을 수도 있었다. 사실 이 작가의 가족에 대해 몰라도 살아가는데 전혀 상관없다. 그럼에도 책 뒤편의 인터뷰, 옮긴이의 글, 작가의 연보를 빼면 65페이지에 불과한 이 소설에 묘하게 빠져들 수 있었던 건 ‘가족’이라는 주제가 우리에게 언제나 기시감과 울림을 주기 때문일 것이다.
이 소설은 마침표가 별로 없이 긴 문장으로 서술되어 있다. 두 장 정도 큰 딸인 샹탈이 3인칭 전지적 작가 시점으로 엄마를 소개한다. 남편(샹탈의 아버지)이 죽은 지 얼마 되지 않은 그녀(엄마인 나탈리아 아케르만)는 넓은 아파트에 혼자 살고 있고 곧 두 번째 수술을 앞두고 있다. 금요일마다 브뤼셀에 사는 친척 모임(유대인)에 가서 ‘뼛속까지 온기를 느낀다.’ 멀리 멕시코에서 가정을 이루고 살고 있는 둘째딸보다 메닐몽탕(파리)에 사는 싱글인 큰 딸에게 자신의 간병을 조심스레 부탁할 예정이다.
곧 그녀는 1인칭 화자가 되어 현재와 과거의 삶에 대해 두서없는 말을 쏟아낸다. 의식의 흐름 같은 이 서술에 명백하거나 확실한 것은 없다. 남편, 딸, 친척들에 대한 그녀의 생각은 모두 양가적이다. 상반된 생각이 동시에 있다. 그것은 당연하다. ‘가족’이란 존재는 한없이 가까우면서도 지극히 대하기 어려운 족속들이기도 하다. 그들 나름의, 각자의 삶이 있기 때문에 의지하면서도 자제해야하고, 알고 있는데도 모른 척 해야 한다. ‘순전히 나를 위한 것이었다면(p.39) 안경을 바꿀 필요가 없었을 것이지만, 가족들이 흉해 보인다고 하니 바꾸고, 딸들이 구부정하거나 움츠리고 있는 걸 싫어하기에 애써 어깨를 펴는 것이다.
가족에 대한 걱정이 끝이 없기에 그녀는 어떨 때 그냥 생각하지 않으려고도 한다. 한 번 상념에 빠지기 시작하면 걷잡을 수 없는 생각의 나락에 빠지기 때문이다. 특히 홀로코스트를 겪은 유대인인 그들은 말하지 않아도 그 속에 담겨있는 엄청난 트라우마 적 감정들이 있다. 홀로코스트를 겪지 않은 유대인의 후손들은 매번 그것을 헤아려야하기에 또한 힘들 수 있다.
이런 역사적 서사 말고도 집집마다 각자의 불행은 차고 넘친다. 누군가 아프고, 정신병이 있는 가족을 돌보느라 지치고, 돈이 부족하고, 뇌졸중이 오고, 치매에 걸리고, 그리고 죽는다. 이 책의 많은 부분은 나탈리아가 남편인 야콥을 회상하고 그의 병수발을 드는 내용이다. 어려운 시기를 함께 지나오고, 힘들게 남편의 병간호를 하지만 나탈리아는 한 번도 야콥을 사랑하지 않은 적이 없다. 읽으면서 계속 나는 이것을 느꼈다. 사랑, 그리고 숭고하다는 것은 지키려는 자의 인내와 그것으로 인해 저절로 뿜어져 나오는 아우라인 것이다.
‘샹탈 아케르만은 타자로부터 생각하라는 에마뉘엘 레비나스의 가르침을 일상에서 자발적으로 실천하고 살았다고(p.77)’한다. 이 ‘타자로부터’란 말처럼 『브뤼셀의 한 가족』이란 타자들로 우리는 가족에 대해 되돌아보고, 질문하고 상태를 점검할 수 있다. 확실하지 않고 모호한 ‘이 빠진 문장’의 나열이 계속될지라도 가족이란 존재는 우리를 ‘뼛속까지 따뜻하게’ 해주는 사람들임에 틀림없다. 물론 아니라고 할 사람도 있겠지만 어쨌든 나는 거기에서 비롯된 존재인 건 확실하다.
작가는 인터뷰에서 사랑의 전반적 문제가 ‘다른 사람을 위한 건가, 스스로를 위한 건가?’ 중 어느 것인가에 대한 질문을 한다. 사랑이라는 것은 이 둘 중 어느 하나에 무게가 더 실릴 수는 있겠지만 완전히 분리될 수는 없다. 물론 두개가 균형을 이룬다면 좋겠지만 쉽지 않다.
어휴, 우리 앞에 놓인 삶의 숙제는 매번 이렇게 힘들다.
[그러면 나는 오늘은 그이가 음식을 다 남기지 않고 조금이라도 먹을 수 있기를 바라면서 식사를 준비하기 시작했는데 정말이지 그이가 접시에 음식을 그대로 남기는 건 견딜 수 없었다. 그이는 접시 한편에 음식을 다 밀어 두고는 결국 아무것도 안 먹곤 했다. 이걸 난 정말 견딜 수 없었고, 그이에게 안 먹으면 어떻게 나을 건데, 힘이 있어야지 하고 말했고, 그러면 그이는 먹어 보려고 조금 애를 쓰긴 했지만 못 먹었다. 그러면 나도 먹지 않고 전부 다 버리곤 했다. 남겨 둘 필요가 없었다. 그러면 그이는 식탁에서 일어났는데, 내가 그이를 조금 부축해 줘야 했고 그이는 오른 다리를 끌며 안락의자까지 갔다. 가끔은 가던 중간에 멈춰 서서 거울에 비친 자기 얼굴을 바라보고 한쪽으로 비뚤어진 입과 입술을 보고는 고개를 가로저었다. -p.41~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