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 한 번의 삶
김영하 지음 / 복복서가 / 202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대책 없이 물에서 나와 여기저기로 팔딱팔딱 뛰는 생선 같던 젊은 날의 김영하 소설을 젊은 내가 읽을 수 있었던 건 작가와 내가 거의 동시대를 살았기 때문일 것이다. 스마트한 세상이 약간 고개를 내밀 때, 아직은 촌스러운 낭만과 전근대적 성향이 남아 있었을 때의 김영하 소설은 다른 작가의 글과는 많이 달랐다. 한마디로 신박했다. 민족이나 모든 사람을 위한 책임과 의무에서 벗어나 그냥 개인이 주인공인 그의 소설이 재미있었고, 공감되었다.

 

세월이 많이 흘렀다. 그동안 김영하 글쓰기는 변화되어 갔으며 그만큼 나도 나이를 먹어갔다. 치열하게 살아낸 결과로 쌓인 궤적이 많지만 사람이 수용할 수 있는 양은 한정적이니 그것은 넘쳐날 수밖에 없다. 들인 공과 노력이 아깝지만 과감히 쳐내야만 한다. 특히 노년이라는 확실한 길이 보일 때, 급하게 불을 줄이고 필요 없는 것은 걷어내야 한다. 남겨야 할 것은 순수한 관조뿐이다.

 

김영하의 에세이 단 한 번의 삶에서 그것을 보았다. 작가가 지나온 세월의 흔적이 가득하지만 많이 비워져 있다는 느낌이 들었다. 여러 에피소드와 다른 책의 인용이 조화로웠고, 작가다운 성실한 깊은 성찰이 있었다. 한 번씩 방송매체를 통해 본 작가가 워낙 달변이라 그가 쓴 에세이도 잘 읽힐 것이라 생각했는데 기대 이상이었다.

 

부모의 부재는 항상 실감되지 않는다. 평소 잊고 있다가 엉뚱한 곳에서 부모의 부재를 인식하게 되면 그때마다 슬픔을 느낀다. 이 책은 작가의 어머니의 빈소에서 시작된다. 나의 엄마와 비슷한 증상으로, 비슷한 시기에 돌아가신 작가의 어머니 얘기에 그만 처음부터 울고 말았다.

 

자식은 부모의 제한된 정보만을 알 수 있다. 당연히 내가 인식하고 판단하는 부모는 실제와 많이 다를 것이다. 엄마의 장례식장에서 엄마의 영정사진을 보며 내가 엄마에 대해 제대로 알고 있는지에 대한 의문이 들었다. 작가 역시 어머니의 빈소에서 인생을 중간에 보게 된 영화 같다고 느낀다. 빈소에서 알게 된 어머니에 대한 새로운 사실이 소설에서의 반전과 같은 것이라고 한다.

 

어렸을 때 보았던 부모님의 행동이나 사고방식에 실망할 때도 있다. 특히 그 시대의 아버지들은 권위적이었고 다정하지 않았다. 작가 역시 아버지와의 관계가 그리 순탄해 보이지는 않는다. 부모 역시 마찬가지였을 것이다. 부모의 희망과 기대대로 자식은 잘 움직여주지 않는다. ‘기대와 실망의 왈츠(p.51)’가 계속 엇갈리며 반복된다. 그것이 어느 순간 서로에 의해 이해되기도 하지만 이미 마음속에 각인되고 쌓인 감정은 쉽게 치유되지 않는다. 부모와 자식의 관계는 언제나 어렵다.

 

남들이 가는 길을 절대 그대로 가지 않을 것 같은 작가 인생의 이야기에 재미있는 부분도 많다. 뭔가를 저지르고 실패하고, 다시 재도전해 성과를 내는 작가의 고집도 좋았다. 많이 읽고 많이 쓴 사람답게 평범한 것에서, 느끼고 다듬어 깊은 울림을 주는 작가의 내공이 대단하다고 생각했다. 그것으로 내가 사는 방식, 늙음, 앞으로 가야할 방향에 대한 편안함과 용기를 얻었다. 대놓고 자기계발서라 이름 붙인 책보다 작가들의 에세이가 훨씬 더 좋은 이유가 여기에 있다. 단 한번뿐인 삶에서의 인생 사용법(P.194)’을 오랜만에 유쾌하게 읽고 배웠다.


[인간은 보통 한 해에 할 수 있는 일은 과대평가하고, 십 년 동안 할 수 있는 일은 과소평가한다는 말을 언젠가 들은 적이 있다. 새해에 세운 그 거창한 계획들을 완수하기에 열두 달은 너무 짧다. 그러나 십 년은 무엇이든 일단 시작해서 띄엄띄엄 해나가면 어느 정도는 그럭저럭 잘할 수 있는 사람이 되기에 충분한 시간이라고 생각한다. 그런 십 년이 여럿 쌓였다. 할 줄 아는 것만 는 것은 아니었다. 사람도 변했다.]

-p.72

 

 


댓글(10) 먼댓글(0) 좋아요(4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희선 2025-06-07 16:41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예전에 김영하 작가가 라디오 방송한 적 있는데, 그때 조금 들었어요 텔레비전 방송에 나온 건 본 적 없지만 라디오 방송은 들었네요 부모를 다 아는 자식도 자식을 다 아는 부모도 없겠습니다 자기 자신을 알기도 어렵고... 부모를 생각하고 쓰는 사람 대단하다 싶어요


희선

페넬로페 2025-06-07 19:17   좋아요 0 | URL
알쓸신잡이라는 프로그램에서 작가를 봤는데 아는 것도 많고 말도 잘 하더라고요.
다양한 경험을 한 내용이 이 책에 들어있어 재미있기도 하고 진함도 있어요
부모와 자식 사이는 정말 어려운 관계인 것 같아요^^

바람돌이 2025-06-07 20:39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저도 이 책 재밌게 읽었어요. 김영하 작가 에세이는 좀 취향이 아니다싶었는데 이 책으로 생각 수정했네요. ^^

페넬로페 2025-06-07 23:26   좋아요 1 | URL
저도 이 책 좋았어요. 공감되는 부분도 많았고요. 다만 소설가는 소설이 더 좋아야 한다는 편견으로 별 넷 줬습니다 ㅎㅎ
신작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책읽는나무 2025-06-08 07:55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리뷰를 읽으면서 예전에 김영하 작가님이 소설가가 되기 전이었던가? 부모님이 말없이 늘 아들의 재떨이를 깨끗하게 씻어 놓아두셨다는 말씀을 하신 게 기억나네요.
저는 그래서 아버지가 좀 다정하신 분이셨나보다. 라고 생각했었어요.
근데 작가님의 자유로운 영혼을 생각해 본다면 부모 입장에서도 좀 쉽지 않은 자식이 아녔을까? 싶기도 하구요. 제 생각입니다만.ㅋㅋㅋ
참 좋아하는 작가 중 한 분인데 요즘은 덥석 손이 가지 않는 책이었달까요?
그래도 소설가가 쓴 에세이는 즐겨 읽는 편인지라 애껴뒀다 읽어야겠어요.
그나저나 어머님 이야기에 페넬로페 님이 느끼셨을 그 마음이 충분히 이해가 가 저도 모르게 또르르…
부모 이야기는 늘 먹먹한 것 같아요.

페넬로페 2025-06-08 11:02   좋아요 1 | URL
이 책이 부모님께 헌정되었더라고요. 그래서인지 작가의 부모님에 대한 에피소드가 많았어요. 책나무님께서 예상하신 것처럼 이 책 읽으면 김영하 작가가 정말 부모님 입장에서는 쉽지 않았던 자식일 것 같아요. 아이를 갖지 않겠다는 선택도요. 작가의 부모님에 대한 글 읽으면서 예전 생각이 많이 났어요. 엄마의 야로 얘기에도 빵 터졌어요. 그 시대가 야로가 통했거든요. 작가도 늙어 가는지라 깊은 울림도 받았어요. 많이 비우고 욕심없이 살아야겠다는 생각이 들게 해주는 책이었어요. 부모님도 많이 생각나더라고요^^

우주먼지1059번 2025-06-16 09:4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저는 이제 30줄에 접어드는 나이지만 책을 읽으면서 너무 큰 공감과 위로를 얻었습니다. 김영하 작가님을 방송에서만 보고 살인자의 기억법을 쓴 유명한 작가라는 것만 알고 있었는데... 최근 다시 독서를 시작하려고 책을 찾던 중 이 분의 산문집에 뭔가 알 수 없는 힘이 작용해 고르게 되었어요. 근데 최선의 선택이었으며 다시 글을 쓰고 싶다는 생각도 들더군요.(취미로 종종 써봤습니다.) 진짜 어떤 자기계발서보다 작가의, 사람들의 인생이야기를 듣는게 더 도움이 된다는것에 큰 공감합니다!

페넬로페 2025-06-16 11:34   좋아요 0 | URL
정말 그렇죠?
어렵지 않게 잘 읽히면서도 깊이있는 울림도 있고, 유머러스한 부분도 있고요. 작가님들이 글을 쓰기 위해 얼마나 많은 생각을 하는지 가늠을 할 수는 없지만 그 내공이 그대로 나오는 것 같더라고요.
거기다 인생이 들어 있어 더 공감되고요.
우주먼지님
어서 글을 쓰시면 좋겠습니다.
빨리 읽고 싶어요^^

젤소민아 2025-07-04 22:47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페넬로페님, 이달의 리뷰 당선 축하드려요~~~저도 이 책 좀 달리 읽어졌어요. 김영하 작가에 대한 편견이 좀 걷혔다랄까요 ㅎㅎ

페넬로페 2025-07-04 23:44   좋아요 0 | URL
감사합니다, 젤소민아님! 책에서 읽는 문장으로 여러 사람과 과거가 많이 생각났어요. 어떻게 늙어가야 하는가에 대한 마음가짐도 새롭게 다졌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