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7월 14일
에리크 뷔야르 지음, 이재룡 옮김 / 열린책들 / 2022년 10월
평점 :
책을 좋아하는 나와 다르게 남편은 책을 거의 읽지 않지만, 가끔씩 내가 읽는 책에 관심을 보이기도 한다. 마침 식탁위에 놓여 있던 이 책의 제목을 보고, “7월 14일? 프랑스 혁명?... 1789년이던가? 맞지!”라고 자신의 기억력을 대해 약간 자랑스러운 표정으로 말했다. 세계사 시간에 배운 대로 나 역시 딱 그 정도까지만 알고 있었다. ‘7월 14일’은 프랑스 민중이 바스티유감옥을 습격한 날이며 1794년까지 이어진 시민혁명의 시발점이 되는 날이라는 구체적인 사실은 기억의 회로에서 지워진 상태였다.
프랑스 사람도 아니면서 ‘7월 14일’에 대해 웬만큼 안다는 건 이 날이 갖는 의미가 무척 중요하기 때문일 것이다. 그토록 유명한 이 날을, 작가 에리크 뷔야르(처음 들어보는 작가이다.)는 어떤 시선으로 바라봤으며, 무엇을 중점적으로 부각시켰을지 궁금했다. 제목만으로 이 책을 꼭 읽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작가 에리크 뷔야르는 이 소설에서 이름 없는 군중들에게 나름 이름을 찾아주고자 한다. 노동자, 목공, 양복장이, 지게꾼, 노점상, 열쇠공, 인쇄공, 석공, 씨앗 장수, 배달부, 가난한 어린아이, 매춘부, 남편의 성을 사용하는 여자 등, 수많은 민중들의 이름을 불러준다.
7월 14일, 세월호와 이태원 참사, 지금도 계속되는 전쟁에서 사망하는 사람들, ‘경포가 진나라 포로 20만을 갱(坑)하다’라는 문장에서 나는 뭉뚱그려진 인간이 아닌 그들 한 사람, 한 사람 개인을 생각해 본다.
공적인 서류에 몇 자밖에 적히지 않고, 일렬로 눕혀져 어떤 상태로 죽었는지에 대한 서술만 있어도 그들 모두에게는 각자의 이름과 삶이 존재했다. 작가는 1789년으로 거슬러 올라가 그때의 상황을 상상하고, 짧은 기록들을 읽어가며 개인의 삶에 초점을 맞춘다. 작가가 나와 비슷한 생각을 했다는 것이 반가웠다.
장편소설이지만 역사적인 날이 배경이기에 이 책에는 혁명의 원인에 대한 뚜렷한 맥락이 있다. 1789년 4월 23일, 왕립 채색 벽지 제조 공장의 사장인 장 바티스트 레베용은 직공의 급여를 낮추겠다고 한다. 그 당시 프랑스는 흉년이 들어 대기근을 겪고 있었고 민중은 굶주려 있었다. 4월 28일 민중은 레베용의 저택(티통 별장)으로 쳐들어가 약탈하고, 군인들이 그들에게 발포한다. 열여덟 명의 사망자는 통브이수아르 공동묘지로 옮겨졌고 그들 주머니에 레베용 저택에서 훔쳐간 물건이 들어있지는 않은지 경찰들이 와서 샅샅이 뒤진다.
루이 14세는 50년에 걸쳐 시골 마을의 저지대에 백성들을 강제 동원해 화려한 베르사유 궁전을 지었고, 귀족들을 불러 모아 사냥과 승마, 당구와 춤을 즐겼다. 루이 16세와 마리 앙투아네트 왕비 역시 민중들과는 동떨어진 그들만의 세계에 살았다. 이 책에서 작가는 베르사유 궁전에서의 루이 16세와 왕비를 비판하며 비꼰다.
[그러다가 왕비가 전원생활을 그리며 향수병에 걸리자 작은 오두막을 짓게 되었는데 여기는 궁정 생활의 근심거리, 왕국의 기근, 국가 채무 등을 잊게 만드는 연극과 축제가 벌어지는 작은 천국, 전원풍 희극의 무대가 되었다....또 장자크 루소의 소설 『신엘로이즈』에서 영감을 얻기도 했다. 가장 우스꽝스럽고, 아마도 흥미로운 대목은 마리 앙투아네트가 이처럼 『사회 계약론』의 지은이를 살짝 빌려다 썼다는 점이다.
-p.38~39]
반면에
[이런 시선들에 지친 마리 앙투아네트는 트리아농의 오두막집으로 도망쳤다. 루이 16세는 왕으로서의 의무를 해야 했지만 왕비는 이런 의무로부터 도망칠 수 있을 때마다 도망쳤다. 사람들의 시선이 미치지 못하는 시골집에서 그녀는 닭과 염소, 양을 기르며, 루소의 자연주의를 몸으로 실천했다. 그리고 어린 딸에게도 소박한 삶의 행복을 가르쳤다.
-네이버 지식백과, 영화 속 클래식, 소피아 코폴라 감독, ‘마리 앙투아네트’에서 발췌]
어떤 해석이 맞는 건지는 모르겠지만 어쨌든 부자들은 세금을 거의 내지 않았고 부르주아지는 번성했고 민중들은 빵을 살 돈조차 없었다.
혁명은 당연했고 7월 14일 새벽에 민중은 앵발리드로 몰려가 무기를 탈취했고 바스티유로 전진했다. 굳게 닫힌 성채의 문을 열기 위해 누군가는 앞장서서 지붕 위로 올라가야 했고, 도개교를 내려야 했다. 그래서 누군가는 그 일을 수행하다가 죽어야 했으며 어떤 사람은 도망을 쳤고, 뒤에 교수형을 당했다. 구경꾼과 폭도도 있었다.
[이 사건이 프랑스 역사에서 연출한 역할을 이해하려면 네케르의 경우처럼 당시 바스티유의 상징적 의미를 고찰해야 한다. 파리 중심지에 우뚝 서 있는 바스티유의 성탑은 봉건제도의 음산한 영상으로 보였고 그에 따르는 ‘국왕의 영장’과 불법 투옥은 더욱더 불길한 악평을 조성했다....
1789년 7월 14일은 혁명이라는 대사건의 출발점으로 잠깐 동안 벌어진 파리의 그 소동은 프랑스의 양상을 바꿔놓은 드라마의 제1장이었다. 그날의 사건은 프랑스인과 세계인의 눈에 상징적인 업적으로 길이 남았다.
-p.425~426, 앙드레 모루아, ‘프랑스사’, 김영사]
200페이지 정도의 이 짧은 소설에 작가 에리크 뷔야르는 많은 민중의 이름과 역사적 사실들을 정교하게 잘 배치해 놓았다. 그러나 생각보다 묵직한 울림이 없고 약간 지루한 부분도 있어 아쉬웠다. 어쩌면 작가는 역사의 방향을 틀 만큼 의미심장한 사실들을 담담히 표현함으로써 독자들에게 더 깊은 생각을 하도록 의도했을 수도 있다.
2023년 현재 프랑스는 격렬한 파업으로 몸살을 앓고 있는 중이다. 마크롱 대통령의 연금 개혁을 국민은 반대하고 있다. 2023년 현재 한국은 물가가 계속 오르고 있고 사회 불평등은 증가하며, 대통령을 전혀 신임할 수 없는 상황이다. 군벌 간의 충돌로 내전 중인 수단에서 기본적인 국민의 권리는 당연히 없을 것이다. ‘1789년 7월 14일’부터 지금까지 무엇이 변했고, 우리는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는가? 1789년의 민중과 2023년의 국민은 거창한 것을 바라지 않는다. 그저 평범하고 소소한 삶을 원할 뿐이다.
[사고는 사랑하는 모든 것을 뒤로했다. 젊은 아내, 가계부를 적어야 하는 소박한 삶, 플랑슈미브레의 허름한 집, 술친구들, 가나한 사람의 믿음, 그는 뭔가 잘해 보고 싶어서 희망을 갖고 자동인형처럼 몇 걸음 나아갔다.
어떤 기미를 느낄 수 있을까 싶어 첨탑에 시선을 고정한 채 몸을 드러내고 앞으로 나아가는 짧은 순간 그의 가슴은 뜨거우면서도 동시에 차가웠을 것이다....하나로 뭉쳐지지 못하는 진실의 미세한 부스러기들처럼 머릿속에서 모든 것이 소용돌이쳤다.
-p.155]
*제목-앙드레 모루아, ‘프랑스사’, p.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