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서의 괴로움
오카자키 다케시 지음, 정수윤 옮김 / 정은문고 / 2014년 8월
평점 :
절판


읽을까 말까 했던 책.

그래도 책 소장에 관한 이야기라 그냥 지나칠 수가 없었다.

기왕이면 한국 사람이 쓴 책이면 더 좋았을 것 같다.

일본 출판계 인사들이 대거 등장해 공감도가 약간 떨어진 게 아쉽다.

장서가와 독서가로 나눈다면 나는 독서가에 해당한다.

저자에 따르면 500권 정도의 책이라면 언제라도 읽고 싶을 때 읽을 수 있게 배열할 수 있는, 적정한 권수라고 한다.

내 책은 세보지 않았지만 대략 500권 안쪽일 것 같다.

한때 열심히 책을 사던 시절이 있었다.

어떤 독서 관련 수필에서 책은 사서 읽는 거라는 주장에 격하게 공감해 알라딘에서만 할인되는 카드를 만들어 열심히 구매를 했다.

나중에 연말정산 하면서 봤더니, 6개월간 책값으로 200만원 어치를 썼다는 사실을 깨닫고 허걱해서 그 후로는 다시 도서관에서 빌리는 쪽으로 방향을 선회했다.

사실 책값보다도 공간 문제가 더 크다.

그나마 혼자 살 때는 책꽂이를 늘릴 수 있었지만, 가족이 생긴 후부터는, 더군다나 아이들이 둘이나 생겨 애들 책을 사기 시작하면서부터는 내 책을 더 늘릴 수가 없다.

아이들 책은 전집이 많아 한 번씩 사다 보면 몇 백권이 훌쩍 넘어 버린다.

내 책꽂이는 베란다로 들어가 꺼내보기도 어려운 실정이다.

책에 나온 에피소드처럼, 나도 필요한 책을 찾지 못하고 결국 도서관에서 빌려 보게 됐다.

공간의 문제는 책값보다 더 심각한 문제임이 틀림없다.

 

사실 나는 수집가적 기질이 거의 없다.

뭔가를 소유한다는 것 자체에 관심이 없어 책뿐만 아니라 다른 물질에도 큰 욕구가 없다.

여자들이라면 좋아할 옷, 가방, 액세사리에도 관심이 전무하고 책도 마찬가지로 꼭 가지고 있어야겠다는 욕구가 거의 없다.

다만 책을 사려는 이유는, 참조해야 할 부분이 생기면 바로 찾아보기 위해서다.

요즘은 인터넷이 워낙 발달해 대부분 검색을 하긴 하지만, 질적인 면에서는 책이 훨씬 낫다.

문제는 버리지를 못한다는 것이다.

한 번 읽고 말 책들, 시덥잖은 책까지도 절대로 버리지 못하고 끌어안고 살아 계속 쌓이게 된다.

책을 버리면 어쩐지 내 지나간 삶이 쓰레기통에 버려지는 느낌이 들어 헌책방에 판 적도 없고, 정말 버려야 한다면 차라리 이 책에 실린 에피소드처럼 아예 불살라 버리는 게 낫다고 생각한다.

이런 감정 때문에 책을 사는 게 약간은 두렵다.

한 번 소장하게 되면 죽을 때까지 가지고 다녀야 할 것 같아 사는 게 너무나 조심스럽다.

책에 대한 애착은 아빠에게 물려받은 것이라, 아빠 역시 많은 책과 DVD를 소장하고 있는데, 아빠가 따로 말씀은 안 하시지만 만약 돌아가시게 되면 아빠의 서고는 절대로 처분하지 않고 내가 전부 소장할 생각이다.

아빠 책도 만만치 않은데, 아 정말 장서는 해결하기 힘든 괴로움이다...

 

독서가라면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즐거움과 고민들을 담백한 필체로 잘 서술했다.

재밌게 읽었다.


댓글(3)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가넷 2014-09-22 18:1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공간때문에 너무 골치가 아프네요. 이사를 고민할때도 고민을 해봐야 하고... 이제 사는 원룸도 가득차서 어쩌지 하고 있습니다 ㅠㅠ

marine 2014-09-23 13:51   좋아요 0 | URL
그래도 혼자 살 때는 어디다 구겨 넣을 수라도 있어요.
애들 둘 책 사면서부터는 제 책 사는 게 두려울 정도...

파도소리 2014-10-12 16:23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정말 보관할 공간이 적어서 고민 입니다
가족들에게 욕먹고 눈치보는 것도 하루이틀이지
죽고 싶을 때가 있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