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신.시골 의사 문예출판사 세계문학 (문예 세계문학선) 20
프란츠 카프카 지음, 이덕형 옮김 / 문예출판사 / 200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행히 어렵지는 않았다
"이방인" 도 마찬가지지만 문장이나 내용 자체가 어렵지는 않다
오히려 평이한 서술이다
그 안에 숨겨진 상징을 찾는 게 어려운 일일 것이다
혹시 카프카는 박홍규의 말처럼 그냥 아무 생각없이 편하게 쓴 건 아닐까?
우리가 지나치게 상징을 부여하는 건 아닌지 모르겠다

그렇다 하더라도 소재 자체는 독특하다
언젠가 이 책의 앞부분을 읽은 적이 있었는데, 주인공이 벌레로 변하는 걸 보고 꿈이라고 생각했다
현실에서 어떻게 사람이 벌레로 변할 수 있겠는가?
혹은 남들은 나를 정상적인 사람으로 보는데 내가 벌레로 변했다고 주인공 혼자 착각한다고 생각했다
설마 진짜 벌레가 된 거라고는 생각지도 못했다
카프카는 참 독특한 설정을 한 셈이다

만약 정말 이런 일이 생기면 어떻게 해야 할까?
벌레로 변하는 것 보다 조금 더 현실적인 상황을 찾자면 갑자기 장애인이 된다거나 감옥에 갇히는 등 식구들에게 짐이 되는 처지를 들 수 있을 것 같다
이문열의 "영웅일기" 에서 빨갱이 남편을 둔 죄로 친정에서도 쫒겨나는 여자의 캐릭터가 있다
그녀는 유일한 피난처로 친정을 찾는데 아버지와 동생이 모두 그녀를 부담스러워 하는 것이다
가족이 등을 돌릴 정도라면 세상에 자기 편은 하나도 없단 얘기다

주인공 그레고르는 가족의 생계를 책임지는 가장이었다
아버지와 어머니는 나이가 들어 경제 활동을 못하고 여동생은 너무 어렸다
그레고르는 자기가 집안 식구들을 먹여 살리고 있음에 자부심을 느끼고 여동생을 음악 학교에 보내기 위해 더 열심히 일한다
그레고르의 직장은 그의 노동력을 착취하는 전형적인 자본주의 사업체다
그는 출장을 가기 위해 새벽 5시에 기차를 타야 하는 고달픈 일을 한다
그럼에도 가족을 먹여 살린다는 자부심에 그레고르는 몸이 부서져라 일한다
전형적인 한국의 가장들 모습이다

그런데 어느날 아침 그는 자신이 벌레로 변했다는 사실을 깨닫는다
그는 몸을 가눌 수 없고 걸을 수도 없어 배로 기어다닌다
가족들은 기겁을 하고 그를 방에 가둔다
자신의 처지를 하소연 하려고 하지만 말도 안 통한다
이 얼마나 기가 막힌 처지인가!!
중요한 건 식구들의 태도다
그레고르의 노동력에 기대 살던 식구들은 그를 괴물로 생각하고 가두려고만 한다
특히 그의 아버지는 아들이 아닌 벌레라 생각하고 사과를 던져 치명타를 입히기도 한다
가족들은 그를 부끄러워 하고 혐오하는 것이다

결국 하숙생들에게 그레고르의 모습을 들킨 후 그들이 집을 나가 버리자, 가족의 분노는 폭발하고 만다
심지어 그에게 인간적으로 대해 주던 여동생 그레테마저 저 벌레는 오빠가 아니라고 소리친다
만약 진짜 오빠라면 우리가 이렇게 고통받는데 아직도 뻔뻔하게 살아서 이 집을 돌아 다니지 않을 것이라고 한다
사실 그 날 하숙생들에게 모습을 드러낸 이유는 바로 그레테를 위로하기 위해서였다
하숙생들은 그레테의 바이얼린 연주를 청했으면서도 막상 연주가 시작되자 지루해 하고 그녀를 무시한다
여동생이 상처받을 것을 걱정한 그레고르는 그녀에게 실망하지 말라는 말을 하려다 그만 모습을 들키고 만 것이다
물론 그레고르의 이 마음은 전해지지 않는다

결국 그레고르는 그 날 숨을 거둔다
자살했는지 굶어 죽었는지는 모른다
다만 그가 죽고 나자 가족들은 죽은 벌레 대하듯 그의 시체를 치운다
그는 더 이상 가족이 아니었다

이 단편이 정확히 뭘 의미하는지는 모르겠지만, 가족을 먹여 살리던 그레고르의 비극은 충분히 느낄 수 있다
그는 가족을 위해 새벽부터 밤까지 열심히 일했다
여동생을 음악 학교에 보내는 것이 가장 큰 소망일 정도로 가족을 사랑했다
그런데 그가 더 이상 돈을 벌 수 없고 끔찍한 벌레로 변하자 가족은 그를 외면한다
대체 그는 지금까지 무엇을 위해 일했단 말인가?
가족이란 가치는 어떤 일이 있어도 변하지 않는 거라 믿었는데, 그것은 그저 당위일 뿐일까?
만약 장애인이 됐다면 그레고르를 버리지 않았을지도 모른다
그의 가족은 기본적인 양심과 가치관을 가진 정상적인 집단이었다
그렇지만 벌레로 변한 아들을 여전히 가족으로 인정한다는 것은 어려운 일일지도 모른다
일단 그 혐오감을 견디기 힘들 것이다

좀 더 현실적으로 생각해 볼 때 벌레로 변할 만큼의 충격적이고 끔찍한 일이 생긴다면 이것을 사랑으로 감쌀 수 있는 가정이 얼마나 될까?
벌레로 변해 아무 것도 할 수 없는 그레고르는 가족에게 버림받음으로써 가장 비극적인 삶을 마감한다
혹시 그는 자기 가족에 대해 기본적으로 이렇게 생각했던 건 아닐까?


댓글(2)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늘빵 2004-11-19 08:1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카프카... 매번 읽어야지 읽어야지하면서 또 방치해둔 작가...

ㅡㅡ; 선택의 기로에서 항상 패자가 되는 카프카. 나중엔 꼭 읽어야지.

marine 2004-11-19 08:2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읽고 나서 멋진 리뷰 부탁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