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학 오디세이 1 미학 오디세이 20주년 기념판 3
진중권 지음 / 휴머니스트 / 2003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진중권은 참 대단하다
언젠가 이 책에 대한 감상문을 읽은 적이 있다
미학에 대해 눈뜨게 해 준 너무 고마운 책이라는 평이었다
사실 그것 때문에 읽게 됐는데 정말 괜찮다
지루하지도 않고 난해하지 않으면서도 중요한 핵심을 잘 짚어낸다
서울대 미학과 나왔다고 하더니 그냥 졸업한 건 아닌가 보다
사실 미학이라는 게 순 말장난이라고 생각했는데, 왠 걸, 미학은 철학이고 더 나아가 예술에 의미를 부여해 주는, 어찌 보면 예술보다 한 수 위의 학문 같다
평론이 있어야 문학을 제대로 평가해 주는 것처럼 말이다
미학은 예술에 가치를 부여하고 그 의미를 더욱 명확하게 해 주는 학문이다

새벽에 일어나 책을 보는지라 앞부분은 좀 졸았지만 나중에는 메모하면서 적극적으로 읽었다
이런 책은 두 세 번 읽어도 시간 아깝지 않을 것 같다
2,3 권도 열심히 읽을 생각이다
솔직히 에셔의 그림은 잘 이해되는 건 아니다
다만 느낌은 독특했다
뫼비우스의 띠를 여러 개로 변형시킨 느낌이다
안과 밖을 구분할 수 없는 세계, 명확하게 나눌 수 없는 세계, 모든 가치관이 혼재되어 있으면서도 나름의 질서가 있는 세계, 말 그대로 포스트 모더니즘이 아닐 수 없다
미학 오디세이의 주제와 아주 잘 연결되는 화가다

미학은 일찌기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로부터 정의되었다
플라톤은 이데아, 즉 관념과 본질을 중시하여 예술이란 물체의 속성을 드러내는 것이라고 생각했다
반면 아리스토텔레스는 예술 자체의 미가 존재하고 그 주관성에 대해 얘기했다
사실 고전주의 시대에는 예술의 주관적 판단이 존재하지 않았다
절대적 가치와 기준이 있다고 믿은 것이다
예술이란 물체의 본질적 속성인 이데아를 드러내는 과정일 뿐이다
그러므로 르네상스 시대 때도 황금분할에 의해 정확히 인체를 표현하기 위해 애썼다
르네상스 대가들의 그 놀라운 그림들은 바로 그런 이유에서 정교하게 그려진 것이다

반면 바로크 시대로 넘어 오면서 그림에서 형태가 불분명해진다
배경과 형태의 모호함이 바로크 미술의 특징이다
바로크 미술은 17세기 루벤스로 대표된다
"플란더즈의 개" 에 나오는 가엾은 네로가 그렇게도 보고 싶어 하던 바로 그 루벤스 그림 말이다
사실 르네상스 그림에 비해 과장되고 정교미가 떨어진다는 생각이 들었는데, 다 이유가 있었다
화풍이 변한 것이다
바로크 미술은 보다 열린 구조이므로 등장 인물들의 시선은 바깥을 향해 있고 명료성도 떨어진다
대신 그림에 대한 주관적 판단이 들어가므로 보다 자유로워지고 인간적으로 변모한다

대상의 속성을 완벽하게 구현한다는 객관적 시각에서 벗어난 예술은 현대성을 확보하게 된다
사실 현대 미술을 보면 어처구니 없는 것도 예술이라고 등장하는데 다 주관적 판단 때문이다
남이 볼 때는 별 볼 일 없는 작품이라 해도 내가 의미를 부여하면 최고의 예술품이 될 수 있는 것이다
그렇지만 이발소에 걸린 그림과 피카소의 그림은 분명 누구나 인정하는 수준차가 있다
칸트는 이것을 공통심이라고 불렀다
주관적 쾌감을 만족시키면서도 대다수의 사람들에게 비슷한 쾌감을 줄 수 있는 것이 바로 "미" 라는 것이다

내가 알고 있는 예술의 속성은 바로 칸트의 생각임을 알게 됐다
칸트는 천재의 존재를 중요시 했다
고전주의가 대상에 내제되어 있는 규칙을 찾아 내는 과정인데 비해, 천재란 새로운 질서를 만들어 내는 사람이다
일반인은 수없이 많은 그림을 그리고 음악을 만들어도 노력만으로 훌륭한 예술품을 얻을 수
없다
천재만이 새 규칙을 만들어 낸다
또 칸트는 예술이 형식미를 찬양했다
즉 순수예술 지상주의를 부르짖었다
예술은 도덕적 교화를 위해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예술 그 자체만으로 충분히 가치가 있다
칸트는 예술에 대한 개인적인 판단을 중시했다
그리고 누구나 감탄하는 공통심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과거 이집트 미술은 건축 양식으로 대표되고 이것은 구체적인 물체로서 이데아를 구현시킨다
그리스로 넘어 오면서 조각이 예술을 대표했다
다시 르네상스를 거친 후 이제는 음악, 미술, 시 등이 이념을 표상화 시킨다
즉 물질의 본질을 구현하기 위해 점점 비물질적이고 추상화 되는 쪽으로 나아갔다
예술이 발전하면 다음 단계는 종교이고, 더 나아가면 철학에 다다른다
종교가 제일 높고 예술과 철학은 같은 등급일 줄 알았는데 좀 의외다
한편 서양 예술에 이런 사상이 담겨 있는지 새삼스레 놀랬다

구석기 시대의 벽화를 보면 놀라울 정도로 화려하고 정밀하게 묘사됐다
반면 이집트나 중세 시대의 그림은 평면적이다
왜 기술이 후퇴할까?
저자는 이 차이를 무엇을 인식하느냐에 따라 달라진다고 설명한다
즉 구석기 시대 사람들은 그저 눈에 보이는대로 그리는 반면, 이집트 시대 사람들은 원하는 것만 보게 된다
그러므로 그들이 생각하는 관념 세계를 표현하기 위해 실물을 있는 그대로 묘사하는 대신 자신들의 눈으로 왜곡시키고 변형시킨다
이집트 미술의 평면성에는 다 이유가 있었다

우리가 자신의 모습을 보기 위해 거울을 보듯, 신 역시 자신의 본질을 나타내기 위해 자연을 만들었다
즉 자연이란 우주의 질서나 원리를 의미하는 로고스의 투사라고 할 수 있다
인간은 이 자연의 정점에 있는 존재로 영혼에 신의 본질을 담고 있다
그러므로 자연을 모방하는 것이야 말로 예술의 가장 중요한 행위다
인간의 주관적 판단 따위는 중요하지 않을 수 밖에 없다
대상을 정확히 모방하는 것에서 벗어나면서 비로소 예술은 인간 중심주의로 돌아선다
나에게 미적 쾌감을 주는 것이라면 무엇이든 의미를 지니게 된다

예술을 새롭게 보는 계기가 됐다
시원시원한 도판도 마음에 들고 어렵지 않지만 깊이 있는 설명도 책읽기를 쉽게 한다
현대 미술이 어렵다고만 생각했는데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지 조금은 알 것 같다


댓글(3)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하이드 2004-12-13 22:4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미학과'라는 것도 있었군요. -_-a

marine 2004-12-14 07:5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네, 그런 게 있대요 유명한 김지하 시인도 서울대 미학과를 나왔고,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 를 쓴 유홍준도 여기 나왔다네요 미학은 예술작품으로 철학을 논하는 학문이 아닌가 싶어요

prongkiller 2005-04-01 10:5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대한민국에선 보기힘든 수준의 클래식 전범이라 생각합니다. 쉽고 자연스런 문체지만 동시에 예술철학 특유의 깊이감은 고스란히 살려낸 작가의 탁월한 능력에 박수를 보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