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관과 신사 - 할인행사
테일러 핵포드 감독, 리차드 기어 외 출연 / 파라마운트 / 2007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983년도에 개봉됐던 영화라고 한다.
무려 6개월 동안이나 말이다.
난 이 영화를 잘못 알고 있었다.
데미 무어와 톰 크루즈가 나오는 군대 영화인 줄 알았다. 
대체 그 영화의 제목은 뭐였을까?
군 법무관인 톰 크루즈가 군대 내의 가혹 행위를 밝힌다는 뭐 그런 양심적인 법정 얘기인 줄 알았는데 리처드 기어가 주인공인 성장 드라마 혹은 진실한 사랑 찾기, <귀여운 여자>의 해군판 이런 영화다.
싸이클 돌리면서 본 영화라 (그것도 1.5배속으로) 제대로 감상을 못해서 그런지 크게 감동적이지는 않았다.
오히려 너무 많이 보아온 익숙한 구조라 전형적이고 진부한 느낌이었다.
지금으로부터 무려 30여 년 전 영화이니 어쩌면 이런 영화의 시초였는지도 모르지만. 

결혼을 통한 여자들의 신분상승 욕구, 조종사가 과연 그런 동아줄이 될 만큼 대단한 존재인가? 
제지공장의 여공과 예비 조종사는 신분의 벽이라는 단어를 사용할 만큼 엄청난 격차를 가졌는가?
<지상에서 영원으로> 라는 소설을 보면 사병과 장교의 삶이 전혀 다른 세계로 그려진다.
문득 <하얀 궁전> 이라는 영화가 생각난다.
대기업의 전도유망한 총각과 햄버거 가게 점원인 나이 많은 이혼녀가 신분의 벽을 뛰어넘고 사랑에 빠진다는 내용인데 <사관과 신사> 보다 훨씬 덜 진부했다.
수잔 서랜든과 제임스 스페이더의 명연기 때문이었을까?
재벌과 가난한 미모의 아가씨의 사랑 얘기를 동경하듯, 우리도 우리보다 사회적 지위가 낮은 사람에 대해 우월감을 가지고 있는 것인가?
자기 위치에서의 우월감. 

젊은 시절의 리처드 기어를 보는 즐거움이 있다.
근육도 탱탱하고 활기가 넘친다.
지금은 좀 느끼하지만.
마지막 장면은 인상적이면서도 씁쓸했다.
내가 여자이기 때문인지도 모르겠다.
소위 임관을 한 리처드 기어가 애인이 일하는 공장으로 뛰어가 기계를 돌리는 그녀를 안고 공장을 빠져 나오는 장면인데 멋지면서도 왜 여자는 남자에 의해 구출되어야 하는가, 공장은 정말로 구출받아야 마땅한 열악한 곳인가, 공장에서 일하는 사람들은 누구나 그럴듯한 남자의 구출을 기다리고 있는 수동적인 존재인가 등등 온갖 잡스런 생각이 머리를 스쳤다.
노동 계급으로서의 자의식은 그저 말 뿐인 구호에 불과한 걸까?
자신의 직업을 사랑할 수는 없는 것인가?
모든 직업에는 정말로 귀천이 있는가?
그렇다면 청소부나 최하층 직업군은 언제나 상위 계층을 동경하고 진정한 행복을 찾을 수 없다는 말인가?
아이를 근거로 결혼을 요구하고 그것을 마치 신분상승의 계단처럼 이용하는 행위는, 1980년대이기 때문에 통하는 얘기가 아니었을까?
영화 한 편 보면서 너무 많은 생각을 했다.
13주의 훈련을 마친 후 소위로 임관하는 훈련병들에게 교관이 갑자기 경례를 붙이면서 존중해 주고 그들은 교관에게 하대를 하는 장면도 부자연스럽고 왠지 인생의 묘한 아이러니, 혹은 부적절함, 불공평함을 느끼게 했다.
장교의 탄생.
군대 경험이 없어서 그런지 장교로 임관했다는 이유로 그 동안 훈련시킨 교관을 갑자기 아랫사람처럼 대하는 태도가 왠지 부당하게 느껴진다.
영화 잘 보고 나서 괜히 마음이 무겁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unny 2009-04-01 08:5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톰 크루즈와 데미 무어가 나오는 군대 영화는 '어 퓨 굿맨'입니다. ^^

marine 2009-04-02 01:2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네, 저도 인터넷으로 검색해 보니 나오더군요. 지금까지 제목과 배우를 착각하고 있었지 뭐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