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몸과 질병 - 어떻게 하면 치료되는가? 최초의 원인은?, ㅣ 뉴턴 하이라이트 Newton Highlight 14
일본 뉴턴프레스 엮음 / 아이뉴턴(뉴턴코리아) / 2008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서점에서 뉴턴 하이라이트 시리즈를 발견한 후 무척이나 읽고 싶었다.
태양계나 질병, 공룡 등등 주제들이 모두 흥미를 양껏 유발하는 것들이었다.
그 첫번째로 우리 몸과 질병에 관한 책을 선택했다.
앞으로 한 달에 한 권씩 발간될 거라고 하는데 가능하면 매달 읽고 싶다.
교과서에 시험 공부 때문에 줄 긋고 외워서 보는 것과, 잡지책에서 그림과 설명을 곁들여 흥미롭게 읽는 것은, 같은 내용임에도 불구하고 굉장한 차이가 있다.
전공한 사람으로서 볼 때 이번 호의 내용은, 치료 방법만 세세하게 안 나왔을 뿐 (kg 당 몇 mg 의 약을 써야 하는지 같은 것) 거의 교과서와 흡사한 수준으로 자세히 설명해 놨다.
그러면서도 흥미를 잃지 않고 재밌게 읽을 수 있게끔 독자를 배려한다.
물론 내가 기본 베이스가 있기 때문에 쉽게 받아들이는 것일 수도 있다.
그래서 내가 약한 쪽인 천문학이나 지질학 분야의 뉴턴 시리즈도 같이 읽어 볼 생각이다.
무엇보다 상식을 벗어나지 않는 수준의 내용이란 점이 마음에 든다.
과학의 강점이라고 할 수 있는, 동료 집단들의 엄격한 평가 시스템을 통과한 (즉 학회나 논문 발표를 통해 인정된 것들) 이야기만 있다는 점에서 신뢰가 간다.
따지고 보면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상식이 바로 올바른 의학적 내용인데, 다들 뭔가 특별한 게 있을 거라 믿기 때문에 사이비 과학이 판을 치는 게 아닌가 싶다.
책에 나온 대로 운동 꾸준히 하고 기름기 적게 먹고 긍정적인 생각을 갖고 열심히 살면 상당한 수의 질병은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책을 통해 이번에 정확히 안 사실은, 뇌졸중이 대체 무슨 개념인가 하는 것이다.
뇌졸중은 한의학에서 흔히 얘기하는 단어라, 그 정확한 의미를 몰랐다.
그냥 막연히 중풍 같은 거, 즉 뇌경색을 얘기하는 게 아닌가 싶었다.
알고 보니 뇌졸중은 뇌혈관 장해를 통칭하는 표현이었다.
그러므로 뇌출혈과 뇌경색을 모두 일컫는 말이다.
뇌경색은 다시 뇌색전과 뇌혈전으로 나뉘는데, 색전은 다른데서 온 덩어리가 혈관을 막는 것으로 주로 심장에서 떨어져 나온 것들이다.
혈전은 혈관벽에 덩어리가 쌓여 혈관을 막는 걸 일컫는다.
뇌출혈은 뇌실질의 출혈과 지주막하 출혈로 나누는데, 지주막하 출혈은 예전에 "완전한 사랑" 에서 차인표가 갑자기 죽은 것처럼, 돌연사 확률이 높다.
보통 뇌경색이 오면 혈전 용해제 등을 쓰는데, 한의학에서는 어떤 식으로 접근하는지 또 치료 성적은 얼마나 되는지 궁금하다.
전체적으로 매우 유익한 내용이 많아 큰 도움이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