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에 바침 - 결코 소멸되지 않을 자명한 사물에 바치는 헌사
부르크하르트 슈피넨 지음, 리네 호벤 그림, 김인순 옮김 / 쌤앤파커스 / 202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0 페이지도 안 되는 얇은 책인데 역시 제목 때문에 지나치지 못하고 빌리게 됐다.

독서 생활을 계속 하는 게 쉽지 않다는 걸 새삼 느낀 몇 달이었다.

코로나 때문에 1년 동안이나 사무실 매출이 줄면서 폐업 위기에 몰리니 책이고 뭐고 생존에 직면한 느낌이라 편한 마음으로 책을 읽을 수가 없었다.

더군다나 무주택자라 벼락거지 신세가 되고 보니 집이나 사무실에서 하루 종일 부동산 채널만 보게 됐다.

남들은 부동산이니 주식이니 하면서 다들 돈 버느라 바쁜데 나 혼자 책 속에 침잠해 딴 세상에 살고 있었나, 갑자기 현실 세계에 눈을 뜬 바보가 된 느낌이랄까?

책 읽는 것이 인생의 궁극적인 목적이자 즐거움이라 믿고 있었는데 정말로 2020년, 특히 하반기는 독서 생활의 가장 큰 위기였던 것 같다.

전 재산을 털어 드디어 집을 장만했고 이제 나까지 집을 샀으니 살 사람은 다 산 게 아닌가 싶은 생각마저 든다.

집에서 노는 아줌마들이 미용실에서 주식 얘기하면 떨어질 때라고 하던데, 대한민국에서 나 같은 사람마저도 불안에 못 이겨 아파트를 샀으니 곧 집값이 떨어질 때가 되지 않았나 자괴감이 들긴 하지만, 다시 평안한 독서 생활로 돌아가자고 마음 먹어 본다.


2021년도에 처음 읽은 이 책은, 아쉽게도 인상적지 못하다.

특히 독일 책들은 영미권 책보다는 친숙함이 덜한 느낌이다.

정서가 달라서 그런가, 공감이 쉽지 않다.

또 나는 책이라는 물질 자체보다는 독서법에 관심이 많기 때문에 고서나 초판을 수집하는 열정을 공감하기가 좀 어렵다.

서문에서 종이책과 교통수단으로서의 말을 비교한 부분은 흥미로웠다.

19세기만 해도 아무도 자동차가 말을 대신할 거라고는 상상하지 못했다고 한다.

편리함이나 효율성 면에서는 말이 자동차를 따라갈 수 없겠지만, 마치 전자책이 종이책의 감성적인 면을 넘볼 수 없듯 교감을 나눌 수 있는 탈 것인 말을 19세기 사람들도 포기할 수 없었던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 세기도 채 지나지 않아 말은 승마장에서나 겨우 볼 수 있는 귀한 존재가 되버렸다.

그 많던 말들이 탈 것의 위치를 상실하고 극소수의 말만 승마용으로 살아남은 것이다.

저자는 언젠가는 종이책도 그렇게 될 수 있다고 하지만, 다행히 우리 세대에는 여전히 텍스트가 아닌 물질로서의 책을 유지할 수 있을 것 같다.

나는 책 자체에 대한 소유욕이 없고 무엇보다 공간의 문제가 크기 때문에 전자책이 활성화 됐으면 싶긴 하다.

문학 쪽은 많이 나오는 것 같던데 내가 보는 책들은 거의 나오지 않아 아쉽다.

그리고 눈의 피로도 문제도 확실히 종이책 보다는 더한 듯하다.

매년 200권씩 책을 읽는다면 결국 평생 동안 만 권 전후의 책 밖에 못 보는 거라, 책에 나온 바대로 좋은 책을 읽도록 노력해야 할 것 같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가넷 2021-04-04 18:5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주변에 보면 주식이야기부터, 비트코인, 부동산... 그리고 유튜브와 같은 매체를 이용해서 브이로그를 올린다거나 뭐 이것저것 부수익이 되는 것들을 부지런히 찾아보더라구요. 워낙에 그렇게 주변에서 그러니까 좀 내가 바보 같은 것인가 하는 생각을 했답니다. 관심도 그리 크지도 않고(오히려 너무 큰 차익이 납득이 안되는 탓도 있네요)

그런 정보들에 민감하지 못하니 그냥 포기를 했어요.

좀 편하게 독서 할 수 있는 환경이라면 얼마나 좋을까 싶은데, 상황이 그러지를 못하네요. marine님 처럼 생업의 위기는 아니지만, 몸이 또 다시 안좋다 보니 힘드네요. 일처리도 여유가 있는 상황은 아니고...

마지막에서 적으신 것처럼 좋은책만 읽어도 인생이 모자라겠습니다만, 이 남독하는 습관은 쉬이 버려지지 않네요. 읽는 속도도 참 느긋한데....

한달만 일이나 돈 걱정 없이 쉬면서 책만 읽었으면 하는 싶은 생각을 매일 한답니다. 사놓고 못 읽는 책들이 수두룩이라 마음만 항상 이래요.

marine 2021-04-05 08:46   좋아요 0 | URL
저는 은퇴하면 국립중앙도서관 근처로 이사가서 매일 8시간씩 책 읽는 게 꿈이었어요. 거기 가면 동네 도서관에 없는 미술 관련 도록들이 많거든요. 그런데 서초동 아파트 가격 알고 아, 내가 정말 세상 물정 모르고 살았구나 현타가 왔답니다.
천국은 거대한 도서관이다는 말의 뜻이 40대가 돼서야 비로소 이해가 됩니다.
근심 걱정 없이 오직 책만 읽고 살 수 있는 세상은 천국에서나 가능한 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