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 살아보세 (dts 2disc)
안진우 감독, 변희봉 외 출연 / 팬텀 / 2006년 12월
평점 :
품절


오랜만에 비디오로 본 영화
닥터 uro와 함께 봤다
요즘도 비디오가 나오는지 처음 알았다
dvd 출시 전에 먼저 나온다고 한다
그렇게 재밌지는 않고 기대했던 것보다 떨어지지만 뭐, 그런대로 안 자고 볼만 했다
평점을 주자면 5점 만점 중 딱 3점에 해당될 영화다

 

사랑니에서 김정은의 연기에 반했던지라, 이번에도 기대를 좀 했건만 시나리오가 워낙 평범해서 그런지 김정은 역시 딱 그 수준의 연기 밖에 못 보여준다
어쩌면 어울리지 않는 역이었는지도 모른다
경상도 사투리는 너무 어색해 차라리 안 썼으면 좋겠고, 안 맞는 옷을 입은 느낌이 들어 보기 불편했다
오히려 이범수가 어리숙한 농촌 아저씨 역에 딱 어울렸다
이 사람이야 말로 드라마에서는 절대 안 팔릴 정도로 평범 그 자체라, 영화에서 소시민을 잘 그려낼 수 있는 것 같다
이범수 파트너로 나온 전미선은 영화에서 최악의 캐스팅이었다고 생각한다
전혀 어울리지 않는 시골 촌부 역이었다
안내상의 코믹 연기도 왠지 좀 뜨는 것 같고...
변희봉이나 아들 역 맡은 배우의 연기는 자연스러웠다
박정희 전문 배우의 연기도 좋았다

 

애 낳아달라고 정부가 사정을 하는 요즘 세상에 비춰 보자면, 70년대 산아제한은 희극적인 요소가 다분하다
영화가 주장하는 바가 뭔지는 잘 모르겠으나 어쨌든 애를 낳지 말아야 잘 산다는 김정은에 대해, 마을 이장인 변희봉은 아이야말로 삶의 가장 큰 기쁨이고 축복이라고 대항한다
전체적인 영화 내용으로 보자면 왠지 피임을 강요하는 정부시책을 우롱하는 기분도 든다
나는 여기서 "결혼, 달콤하고도 씁쓸한 유혹" 에서 일본인 여의사가 보여 준 주장을 떠올리게 된다
아이를 낳을지 말지는 전적으로 개인에게 달린 문제다
결혼 역시 마찬가지다
정부에서 국가 시책으로 개인의 사생활을 좌지우지 한다는 게 얼마나 무서운 일인가?
70년대 산아제한 운동 때문에 피임을 강요하는 문화도 문제지만, 어쩌면 더 큰 문제는 아이 안 낳는 여자들을 이기적이라고 매도하는 요즘 세태인지도 모른다

 

맨 마지막에 이범수의 부인이, 남의 씨를 잉태했다는 오해를 사서 마을 유지인 변희봉을 찾아가는 장면은 설득력이 떨어진다
이범수와 변희봉은 계속 대립 관계였는데 왜 느닷없이 문제가 생기자 그 부인이 변희봉에게 몸을 의탁한단 말인가?
마치 지주 계급과 노동자 계급의 극적인 화해를 매개하는 기분이 든다
그런데 솔직히 웃긴다
과연 마을 전체를 소작농으로 부리던 위세 당당한 지주 계급이 어느날 갑자기 소작농들과 화해할 수 있을까?
감독의 어설픈 계급 화해 시도라는 생각이 든다
이런 식으로 간단히 해결된다면, 즉 서로 마음 좀 넓게 쓰는 걸로 해결된다면 대체 계급 문제가 왜 발생하겠는가?

 

마지막에 이범수가 이사가는 걸로 끝나는 건 꽤나 슬펐다
결국 이런 결론 밖에 낼 수 없는 걸까?
정부 시책이라는 단어 대신 개인의 선택이라는 단어가 널리 퍼진 그런 사회에서 살고 싶다

 

사족 한 가지
남자들의 질투심은 감히 여자의 질투에 댈 게 못 되는 것 같다
다른 남자와 잤다는 걸 안 이범수의 분노는, 그야말로 남자들 질투심이 얼마나 무서운지 새삼 느끼게 했다
여자들은 기껏해야 머리채 잡고 흔드는 걸로 끝나지만, 남자들은 폭력이 수반되기 때문에 생명의 위협을 느끼게 된다
문득 "친절한 금자씨" 의 뚱뚱한 죄수가 생각난다
남편이 바람피자 그 내연녀와 남편을 살해한 후 인육을 불고기로 구워 먹었다는 대단한 여자다
여자들의 질투도 이 정도는 되야 남자들이 감히 바람필 생각을 못하지 않을까?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태우스 2006-12-09 12:1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맞습니다 남자들의 질투는 가히 상상을 초월하죠...그러면서 여자의 질투가 훨씬 더 센 것처럼 구라를 친다죠.

marine 2006-12-09 13:5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호호, 역시 공평한 마태우스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