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무 위의 남작 ㅣ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07
이탈로 칼비노 지음, 이현경 옮김 / 민음사 / 2004년 8월
평점 :
이탈로 칼비노?? 민음사 문학선집에 선정될 정도면 꽤 이름 값 하는 작가일텐데, 나에게는 몹시 생소한 작가였지만, 책 소개에 보르헤스나 마르께스와 비견되는 걸 보고 망설임없이 책을 사 버렸다.
이 책은 그 제목 그대로 나무 위에서만 사는 코지모 디 론도 남작의 이야기다.
코지모는 12살 어느 식사 시간에 먹기 싫은 달팽이 요리를 먹도록 강요하는 아버지를 피해 나무위로 올라갔고, 그 때부터 죽는 날까지 다시는 땅을 밟지 않았다.
변화하는 시대 속에서 여전히 과거의 귀족으로써의 영광과 권력을 꿈꾸는 구세대 부모에게서 가치나 희망을 찾지 못한 아이가 나무 위에서 다른 시선으로 세상을 바라보게 되고 공부를 해 나가고, 삶에 필요한 모든 것들을 자연과 주변 사람과의 조화로운 관계를 통해 얻어가면서 성숙한 어른이 되어가게 된다. 다행스럽게도 이야기의 배경이 된 옴브로사(작가의 상상으로 만든 가상의 도시란다. 그런데 그 묘사가 그럴듯해서 이탈리아 여행을 가면 찾아가고 싶다.)는 나무가 아주 많은 도시였기에 코지모는 나무 위에서 살지만, 나무가지를 통해 가고 싶은 곳은 다 갈 수 있었다.
그래서 코지모는 사냥감을 다른 식량과 바꾸거나, 과일을 따 먹거나, 다른 사람의 과수원 수확을 도와주기도 하고, 숲에 사는 숯쟁이들이나 다른 가난한 사람들과도 따뜻한 마음의 문을 열고 교류를 한다. 코지모의 말처럼 조금 떨어져서 보기에 더 잘 볼 수 있는 코지모만의 특별한 삶이 펼쳐진다. 나무 위에서 살긴 하지만, 계속 책을 읽고 공부를 하고 저명한 철학자들과 교류를 하면서 코지모는 인간다운 삶에 대해 고민하고 자신만의 방식으로 프랑스 혁명과 같은 기운이 옴브로사에 깃드는 것을 조직화하고 민중에게 영감을 주고 옴브로사의 변화를 이끌어낸다.
책에 대한 번역가의 설명으로 보면, 칼비노는 이상적인 인물로서 코지모를 내세웠다고 한다. 대다수의 민중과는 다른 시각(좋게 표현하자면 시대를 앞서가기에 시대와는 결코 같아질 수 없는 리더의 시각)을 지니고 있지만, 홀로 독존하는 게 아니라, 그들에게 새로운 비전과 전망을 주면서도, 자연과 하나되어 살아가는 인간 모습의 원형을 그렸다는 얘기다.
그런데, 나는 책을 읽으면서 코지모의 삶이 이상적인 인간 모습을 구현해 놓은 것이라는 생각은 들지 않았다. 그보다 나를 더 사로잡은 것은 비올라와 코지모의 사랑 이야기였다.
코지모가 식사 시간에 아버지에 대한 반항으로 나무위로 갑작스럽게 올라갔던 날, 그 날 그네를 타고 있던, 예쁘고 도도하면서도 장난꾸러기 같은 소녀 비올라를 만나지 않았더라면, 그래도 계속 나무 위에서 살았을까?? 비올라에게 건넨 치기 어린 말, 나무 위에서는 자신이 제왕이라는 말과, 그렇다면 땅에 발을 딛는 순간 너는 내 하인이 되는 거라고 당돌하게 받아치는 비올라의 말이 없었더라면, 그래도 소년 코지모는 계속 나무 위에 남았을까??
내내 나는 비올라와 코지모의 재회가 기대되었다. 만약 코지모가 나무 위에서 평생의 연인을 만난다면 그건 바로 비올라일 것이라고 두 사람의 첫 만남 때부터 생각하고 있었기에, 코지모가 스페인의 망명 귀족 딸과 사랑에 빠져 있던 순간에도, 어?? 그럼 비올라는?? 이란 생각을 떨쳐버리지 못했다. 예상대로 코지모와 비올라는 다시 재회하고 불같이 타올랐지만, 결국 서로의 자존심 때문에 영원한 이별을 선택한다. 그 이후의 코지모와 비올라의 삶은 무엇이었을까?? 땅 위로 내려올 것을 종용한 비올라와, 나무 위로 올라올 것을 요구한 코지모의 첫 만남부터 어쩌면 둘의 영원한 이별은 내포되어 있었던 게 아닐까??
암튼, 나무 위에서 평생을 보냈던, 그래서 18-19세기 귀족중심 문화가 쇠퇴하고 서서히 민중이라는 의식이 싹트는 것을 남들보다 더 높은 곳에서 지켜보고 때로는 거기에 참여도 했던 코지모는 죽음 조차도 나무 위를 떠나 기구에 매달려 하늘을 향해 나아가는 것으로 마무리한다. 마지막까지도 용기있게 남과 다른 선택을 하는 그를 보면서, 남들과 가급적 같아지기 위해 발버둥치는 내 모습을 겹쳐 보게 된다. 그의 선택에 내가 동의하는가는 별개로 하고, 자신의 선택한 남다른 삶을 평생을 다해 살아가는 그의 용기에는 박수를 보내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