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에서 온 남자, 도쿄에서 온 여자>를 리뷰해주세요.
뉴욕에서 온 남자, 도쿄에서 온 여자
권진.이화정 지음 / 씨네21북스 / 200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목을 보면서 멋진 로맨스를 상상한 건 나뿐이었을까? 

그런데 이 책 너무 정직하다. 제목 그대로 뉴욕에서 온 남자와 도쿄에서 온 여자를 포함해서 세계 곳곳에서 온 외국인들이 느끼는 서울과 한국 생활에 대한 담담한 인터뷰를 담은 책이다.  

우리는 때로 자기 자신을 알기 위해서 다른 사람의 눈이 필요하다. 내가 생각하는 내 모습이 아니라, 남들에게 보여지는 내 모습이 더 궁금하고, 또 타인의 시각을 통해 자신도 잘 알지 못하던 자신의 모습을 재발견하게 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마찬가지로 서울에 늘 살고 있기에.. 이미 그 속에 완전히 동화되어 있기에 미처 발견하지 못하던 서울의 많은 것들이 이방인의 눈을 통해 비로소 그 모습과 형태를 드러내게 된다.  

책의 장점이라면, 다양한 시각을 가진 이방들의 인터뷰와 그 인터뷰를 뒷받침할만한 여러 사진들이 감각적으로 편집되어 있어서 자칫 지루할 수도 있는 내용을 편하게 읽을 수 있다는 점과 서울 곳곳에 나도 한 번 찾아가 보고 싶은 장소들이 생겼다는 것과 굳이 서울의 모습을 아름답게만 치장하려고 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 드러낸 점, 흉물스럽게 변해가는(당국에서는 개발이라는 거창한 말로 말하지만, 국적불문의 콘크리트 덩어리로 우리 옛 자취를 깡그리 지워버리는 마구잡이 식 재건축!!) 서울에 대한 이방인들의 안타까운 시선을 여과 없이 담았다는 점 정도를 들을 수 있겠다. 

굳이 단점을 찾자면, 인터뷰 형식을 차용하다보니 아무래도 매끄럽게 넘어가는 게 아니라, 질문자의 질문에 따라 서울에 대한 그들의 감상이 제한되어 지는 점인듯 싶다

서울을 서울답게 만들어주던 많은 것들이 재개발이란 명목하에 사라져가고 있다. 정담과 음식이 오가고 아이들이 시끄럽게 떠들어 대던 골목길과 그만큼 나즈막한 담과 따닥따닥 붙어 있던 집들이 허물어지고 그 자리를 대신 아파트와 빌딩들이 들어서고 있다. 휙휙 차들이 지나가고 사방팔방으로 지하철과 버스가 거미줄처럼 연결되어서 서울 시내 곳곳을 다 갈 수 있지만, 점점 가고 싶은 곳, 걷고 싶은 곳이 사라져간다.   

그리고 그건 서울에서만 벌어지는 일이 아니라, 전국 방방곡곡에서 늘 벌어지고 있는 일상이 되어 버렸다. 그래서 이젠 시골 어디를 가더라도 산 밑이나, 논두렁 옆에 흉물스럽게 삐죽이 솟아 있는 아파트 단지를 볼 수 있다.  

예전에 난 골목길을 좋아했었다. 집으로 갈 때도 일부러 먼길을 돌아 낯선 골목길을 헤매기도 했다. 그러던 게 어느 사이엔가 시골에 가도 더이상 골목을 찾을 수가 없게 되었다. 어디나 차 한 두대 정도는 드나들 수 있게 길이 나면서 꼬불꼬불한 골목을 돌아가면서 다음 길이 어디로 연결되어지는지 궁금해할 필요가 없게 되어간다. 편리함을 추구하느라 잃게된 여러가지들이 때때로 아쉬움으로 남는다.     

지금도 계속되고 있는 무모한 서울의 재개발이 계속 진행되어 버리게 되면.. 거기에 여전히 살아가고 있을 우리들은 어떤 모습일까? 또 더불어 살아갈 우리 속의 이방인들은 어떤 모습일까??  책을 다 읽고 나서도 마음이 약간 무거운 이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