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달콤 쌉싸름한 초콜릿 ㅣ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08
라우라 에스키벨 지음, 권미선 옮김 / 민음사 / 2004년 10월
평점 :
오래 전에 같은 제목의 남미 영화를 보았었다. 내용도 특이했었지만, 인상적이었던 것은 여주인공이 잠을 이루지 못하고 하염없이 뜨던 뜨게질로 인해 담요가 끝없이 늘어나던 장면이었다.
드디어 그 원작 소설을 구해 읽게 되었다.
일단 재미있었다. 어제 밤 전철 안에서 읽기 시작했는데, 다 읽는데 하루도 채 걸리지 않았다. 사랑의 감정으로 음악이나 글이나 그림으로 표현하는 이야기들은 간혹 있지만, 이 책에서는 요리가 그 역할을 대신한다. 막내딸은 결혼할 수 없다는 가문의 전통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사랑하는 사람을 형부로 맞게 되는 티타에게, 요리는 자기 자신이 가장 잘 할 수 있는 일인 동시에 자신과 타인을 치유하고 다른 사람과 소통하는 거의 유일한 통로였다.
책은 크게 12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 장마다 그 장의 메인 요리와 연관된 티타의 이야기가 이어진다. 어머니의 사랑으로부터 소외된 티타가 부엌을 삶의 터전으로 삶고 자라나는 과정, 그녀를 사랑하게 된 페드로가 티타와 가까이 있기 위해 언니 로사우라와 결혼하게 된 일, 그로 인해 눈물로 뒤덤벅이 되었던 결혼 케잌, 페드로가 준 장미꽃으로 만든 메추리 요리를 통해 페드로와 티타가 서로의 진정한 사랑을 확신하게 된 일, 엄마인 마마 엘레나의 강압으로 페드로와 헤어지게 되고, 자기 젖을 물려 키우던 조카가 그 이별 때문에 죽었다는 걸 알게 되어 거의 반쯤 마음이 죽어버린 티타가 의사 존 브라운에 의해 서서히 다시 마음의 문을 여는 과정, 엄마의 죽음과 페드로와의 재회.. 등등 티타의 일생을 관통하는 열 두 개의 주 요리와 함께 이야기가 진행된다.
그래서 책을 읽는 내내 입 안에 군침이 꼴깍꼴깍 넘어갔다. 아마 멕시코 요리에 대해 좀 더 잘 알았더라면, 더 깊게 티타와 공감할 수 있었겠지만, 책에 묘사된 요리들이 그 나마 나에게는 생소한 요리들이라서 먹고 싶은 마음을 자제하는 게 그나마 어렵진 않았다.
전부터 느끼던 것이지만, 라틴 아메리카쪽 소설들은 무언가 마술적인 느낌이 든다. 그런데 그게 너무 자연스러워서 거짓말처럼 느껴지지 않는다.
예를 들자면, 눈물로 만든 티타의 결혼 케익을 먹은 사람들이 죄다 티타가 느꼈을 슬픔과 그리움을 같이 느끼고 구토를 하게 되거나, 아무것도 먹지 못하는 조카 로베르토에게 티타가 안쓰러운 마음에 자신의 빈 젖을 물렸는데, 처녀인 티타 가슴에서 젖이 넘치도록 흘러나왔다거나, 티타가 밤마다 잠을 이루지못하고 계속 뜨던 담요가 마차를 넘어 몇 킬로 미터까지 뻗어있었다거나 하는 대목, 마지막에 드디어 자유로와진 페드로와 티타가 사랑을 나누다가 너무 큰 사랑의 불꽃 때문에 자기 자신과 농장까지 다 태우면서 사라져가던 모습... 아름다우면서도 따뜻하고 현실에서는 절대 있을 것 같지 않지만, 그럼에도 어딘가 그럴 수도 있을 것 같은 대목들이 오래도록 여운처럼 남을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