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스눕 - 상대를 꿰뚫어보는 힘
샘 고슬링 지음, 김선아 옮김, 황상민 감수 / 한국경제신문 / 2010년 5월
평점 :
우리의 환경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사람이다. 조상들과 달리 우리를 노리는 사자도 없고 겨울의 굶주림을 달래며 들판의 눈을 뒤질 필요도 없어진 세상에서 가장 두려운 것도 가장 필요한 것도 다른 사람이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누군가를 판단하는 데 뛰어난 감각을 가지고 있다. 우리는 모두 타고난 심리학자이다. 그러나 그 심리학자의 문제는 거의 본능적이기 때문에 체계가 없다는 것이다. 누구나 그 사람은 어떤 사람이야 하고 판단을 하지만 근거가 뭔지 말하기가 쉽지 않고 그렇기 때문에 오류의 확률이 대단히 높다.
이책의 목적은 다른 사람을 아는 방법을 체계화하는 것이다. 저자는 그 방법을 스누핑 달리 말하자면 엿보기라고 부른다.
대학원 시절 저자는 기숙사를 보고 방 주인의 성격을 추리해내는 방법론을 주제로 학위를 땄다. 충분히 흥미를 끄는 주제였기 때문에 이후 저자는 미디어의 주목을 받는다.
그러나 저자는 그런 미디어의 관심이 그리 달갑지 않다. 미디어가 그를 보는 눈은 점쟁이를 볼때와 다르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저자는 자신의 방법론이 체계를 갖춘 과학이라고 말한다.
우리가 어떤 행동을 하면 반드시 그 행동은 우리의 흔적을 남긴다. 그 흔적은 지문처럼 그 사람의 성격패턴을 드러낸다는 것이다. 그 사람이 침실, 사무실과 같은 자신의 공간을 어떻게 조직하는가를 보면 그런 패턴을 읽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별스럽지 않은 상식적인 전제이다. 저자는 그러한 전제를 기초로 자신의 체계를 쌓아올린다. 사람은 자신의 공간에서만큼은 편안하게 느끼고 싶어한다. 자신의 공간에 어떤 장식품을 놓는가 공간을 어떻게 조직하는가를 보면 그 사람의 성격패턴을 읽을 수 있다. 저자는 그 공간에서 읽을 수 있는 성격패턴의 흔적을 감정 조절 장치, 자기정체성 주장, 행동양식의 흔적으로 3가지로 나눈다.
그러면 그런 흔적에서 읽을 수 있는 패턴은 무엇인가? 뭐든 가능하다. 유행하던 애니어그램이나 MBTI도 가능하다. 그러나 그러한 분류법은 설문지를 동원해야할 정도로 복잡하고 분류의 가지수도 많다. 현장에서 읽어내기엔 지나치게 복잡한 것이다.
저자는 5가지를 제시한다. 저자가 OCEAN five라 부르는 개방성(Open), 성실성(COnscientious), 외향성(Extrovert), 동조성(Agreeable), 신경성(Neurotic)은 보통 사용되는 복잡한 성격 시스템을 만드는 기본 범주이다. 각 범주의 정도가 어떠한가에 따라 성격유형을 만들 수 있다.
개방성은 창조성과 호기심과 관련된 범주이다. 이 범주가 강한 사람의 예는 레오나르도 다빈치이다.
성실성은 책임감, 신중함, 계획성과 관련된다. 저자는 로보캅을 예로 든다.
신경성이 높은 사람은 감정조절능력이 약하다. 저자는 우디 알랜을 예로 든다.
저자는 장소에 따라 5가지 범주에서 쉽게 읽을 수 있는 것과 어려운 것이 다르다고 말한다. 예를 들어 면접의 경우 읽을 수 있는 것은 성실성과 외향성 밖에 없다고 저자는 말한다. 면접의 무용성을 말하는 경우가 많은 이유가 그것때문이라고 저자는 지적한다. 그외에 저자는 페이스북이나 블로그에서 읽을 수 있는 것은 개방성, 성실성이 강하며 다른 범주들은 읽기가 쉽지 않고 침실에서도 마찬가지라고 말한다.
다른 사람의 사회적 행동에서 읽을 수 있는 것은 어떨까? 저자는 외향성이 가장 쉽게 읽힌다고 지적한다. 그 다음 신경성이 쉽다. 나머지는 읽히기는 하지만 쉽지 않다고 지적한다.
모든 경우에서 저자는 동조성은 쉽게 읽히지 않는다고 말한다. 저자가 말하는 스누핑의 한계이다. 그러한 한계를 말하면서 저자는 사람을 안다는 것은 3단계를 밝는다고 지적하면서 스누핑은 1단계에서 쓰는 방법이라 지적한다.
어떤 사람이 외향성이 높은 사교적인 사람이다는 것은 누구나 쉽게 알아본다. 그 사람이 호기심이 많고 창의성이 뛰어난 사람인지도 쉽게 알아본다. 그러나 그런 것을 안다고 그 사람을 안다고 할 수 있는가? 그렇지는 않다.
소개팅에서 이성을 만났다고 하자. 이런 경우의 대화는 보통의 대화와는 패턴이 다르다. 짧은 시간에 상대를 집중적으로 알기 위해 이런 질문들을 한다.
오랫동안 해보고 싶다고 꿈꿔온 일이 있나요? 그걸 하지 않은 이유는 왜죠?
가장 소중하게 생각하는 추억은 무엇인가요?
1년 밖에 살지 못한다는 것을 알게 된다면 가장 먼저 바꾸고 싶은 것이 있아뇨? 어째서죠?
농담을 하기에 너무 심각한 주제가 있다면 무엇일까요?
어떤 사람이든 초대할 수 있다면 누구를 저녁식사에 초대하고 싶나요?
전화를 걸기 전에 뭐라고 말할지 연습해본 적이 있나요? 어째서죠?
당신이 생각하는 '완벽한 하루'는 어떤 날인가요?
90살까지 살 수 있고 마지막 60년 동안 몸이나 마음 중에서 한쪽이 30세인 채로 머물 수 있다면 어느 쪽을 선택하겠어요?
저자가 드는 좋은 질문의 예이다. 묻기에 너무 난감하거나 거부감을 주지 않을까 생각할지 모르지만 사람들은 이런 질문에 답하는 것을 좋아한다고 한다. 왜냐하면 그런 질문에는 자신의 관심사가, 나 자신만의 개성이 드러나기 때문이다.
그런 질문에 어떤 답을 할지 알때 우리는 상대를 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그 사람의 삶의 목적과 그의 살아온 삶을 어떻게 정의하는가 즉 그 사람이 자신과 세계를 어떤 스토리라인으로 설명하는가란 정체성의 핵에 다가갈 때 그 사람을 잘 안다고 할 수 있다.
스누핑은 1단계에서 유효한 방법이다. 그리고 1단계에서 2단계와 3단계로 나아가기 위한 기초적인 방법이 된다고 저자는 말한다.
이상이 이책의 내용이다. 여기서는 저자가 자신의 방법을 어떻게 체계화하고 있는가에 집중해 요약을 했다. 그러나 그런 체계만이라면 이책의 분량은 반의 반도 되지 않아도 된다. 이책의 대부분은 그런 체계를 실제 현장에 어떻게 적용하는가에 대한 저자의 경험을 말하는데 할애된다.
사람을 아는 것은 결국 경험의 문제이다. 아무리 체계가 뛰어나더라도 그 체계에 따라 사람을 안다는 것은 경험의 문제인 것이다. 그렇기에 저자는 스누핑을 예술이라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