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혼 없는 작가
다와다 요코 지음, 최윤영 옮김 / 을유문화사 / 2011년 3월
평점 :
절판


이런 책은 눈보다 손가락을 더 고되게 한다.


필사(必死)적으로

필사(筆寫)의 노역을 


치르게 하느라. 


열 손가락의 끝은,

뇌의 회백질을 향한다지.




뱃사람보다 더 멀리 여행하고 가장 나이 많은 농부보다 도 같은 장소에 더 오래 사는 사람들이 있다. 바로 죽은 사람들이다. 그래서 죽은 사람들보다 더 재미난 이야기꾼들은 없다. - P28

죽은 사람들은 그들의 상처를 감추려고 이야기를 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그들은 근본적으로 다르게 이야기한다. - P29

어쩌면 입이 아니고 귀가 이야기하는 기관이 맞을 것 같다. 그렇지 않다면 왜 햄릿 아버지의 입이 아니라 귀에 독을 부었을까? 사람들을 세계와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우선 자신의 입이 아니라 귀를 포기해야 한다. - P33

때로 모르는 낯선 사람이 창문에서 방 안을 들여다보는 것 같은 느낌이 든다고 한다. - P39

우리 할머니는 여행이란 낯선 물을 마시는 것이라 생각했다. 다른 고장에는 다른 물이 있다. 낯선 풍경에 대해 사람들은 두려워해야 할 필요가 없지만 낯선 물은 위험할 수 있다. - P45

내가 아직 어린 여자애였을 때 나는 낯선 물이 있다는 것을 믿지 않았다. 왜냐하면 나는 항상 지구는 물공이고 그 위에서 크고 작은 많은 섬들이 헤엄치고 있다고 생각했다. - P46

나는 식당 칸에서 오무르라 불리는 생선을 먹었다.(중략) 그렇게 해서 내가 먹은 오무르는 그날 밤 마치 자기의 여행을 드디어 끝낼 장소를 찾은 것처럼 내 몸 안에서 헤엄쳤다.

- P62

어머니는 자기는 책을 읽는 것 이외에는 아무런 할 일이 없고 그래서 죽을 때까지도 다 못 읽는 긴 소설을 제일 좋아한다고 바로 답했다. - P65

너나 아버지 머릿속에 한 가지 생각밖에 없구나. 모스크바로 간다느 ㄴ생각.

엄마는 왜 모스크바로 안 가는데요?

아버지나 네가 그렇지 않으면 영원히 도착을 하지 못하니까. 내가 여기에 머물러 있기 때문에 너희들이 거기에 도착할 수 있는 거야.

그러면 나도 거기에 안 가고 여기에 계속 있을래요.

너무 늦었어. 너는 이미 길을 떠났다. - P68

나는 기차에서 나를 빼놓고 유일하게 외국인인 프랑스 사람에게 가서 유럽은 모스크바에서 시작하지 않는다고 말해 주었다. 그는 잠깐 웃더니 모스크바는 유럽이 아니라고 말했다. - P70

그 대신 내 눈길을 강하게 끈 것은 유럽 사람들의 몸은 항상 어떤 시선을 찾고 있다는 사실이었다. 얼굴뿐만 아니라 손가락과 심지어는 등짝까지도 항상 어떤 시선을 찾고 있었다. 그래서 사람들은 모두 다른 사람의 몸에 항상 시선을 다시 되돌려 줄 의무가 있었다. - P81

보이고 싶어 하고 보여야 하는 몸은 유럽의 몸이다. 그때 나르시스까지 등장할 필요는 없다. 오히려 이러한 욕구의 밑바탕에는 보이지 않는 것은 언제든지 사라질 수도 있다는 걱정이 깔려 있다고 할 수 있다. - P82

나는 유럽을 보기 위하여 일본이라는 안경을 써야 한다. ‘일본식 시각‘이라는 것은 현재에도 없고 과거에도 없었기 때문에-나로서는 전혀 아까울 것도 없는데-이 안경은 지어낸 것이고 늘 다시 만들어야 한다. 내 일본식 시각은 내가 일본에서 태어나고 자랐지만 전혀 믿을 만하지 못하다.
나의 일본식 안경은 쉽게 가게에서 살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나 또한 기분에 따라 이 안경을 꼈다 벗었다 할 수도 없다. 이 안경은 내 눈의 통증 때문에 생겨났고 살이 안경 속으로 자라 들어간 것처럼 안경은 내 살 안으로 자라 들어갔다. - P86

이제 연필을 일본어 ‘엠피쓰‘가 아니라 독일어 ‘블라이슈티프트‘라고 부른다. ‘블라이슈티프트‘라는 단어는 내가 완전히 새로운 물건을 다룬다는 느낌을 주었다. 연필을 이 새 이름으로 불러야만 했을 때 나는 살짝 부끄러웠다. - P91

지하철에서 책 읽는 사람들은 특이한 습관이 있다. 그들은 책을 얼굴에 바싹 대고 읽는다. 그래서 책은 얼굴을 가리라고 있는 것이 아닌가 하는 느낌을 쉽게 받는다. 책들은 읽는 사람들의 얼굴에 두 번째 이름과 호칭을 주는 마스크라 할 수 있다. - P101

때로 책에서 읽는 이야기 이외의 다른 목소리는 아무 것도 듣지 않으려는 듯 오른손 둘째손가락으로 때로 귀의 구멍을 막는 사람들이 있다. 때로 둘째손가락은 귀의 깊숙한 곳에서 오는 기억을 낚아채는 낚싯대가 되기도 한다. - P101

책 읽는 사람 옆에서 잠이 드는 사람은 꿈속에서 책의 주인공을 만난다. 잠을 잔 사람이 어느 날 우연히 그 책을 읽으면 그는 책 주인공이 잘 아는 사람인 것처럼 느껴져 놀란다. - P103

전철에서 읽는 책이 아주 작으면 책 읽는 사람의 두 손의 손가락들은 책의 뒤표지에서 서로 만난다. 책 읽는 사람은 그러면 자기도 모르게 기도하는 사람의 동작을 취하게 된다. - P104

중년의 부인이 돋보기를 쓰고 책을 읽는다. 안경은 두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다. 안경 아래쪽으로는 살아 있는 글자를 읽고 있고 위쪽을 통해서는 죽은 동상처럼 보이는 승객들을 본다. - P10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Fish Can Sing (Paperback) Vintage Classics 445
Halldor Laxness / Vintage Classics / 200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얼마 전 아이슬랜드를 다녀왔다.

그곳에서 하들도르 킬랸 락스네스(Halldór Kiljan Laxness)의 책들을 만났다.



딱 눈높이에 맞춰 진열된 락스네스의 소설들.


전 국민 5명 중 1명이 책을 출간한 이력이 있고,

깡시골에도 서점은 있다는,

아이슬랜드 서점들의 눈높이 지점은 단연, 락스네스의 자리다.


(진짜로, 아이슬랜드에서는 시골에도, 도시에도 서점 찾기가 제일 쉬웠다)



Halldór Kiljan Laxness

아이슬랜드의 추앙받는 국민작가.

1955년 노벨 문학상을 조국 아이슬랜드에 안겨 주었다.


이런 저런 사유로(특히 마케팅의 이유겠지만),

자국의 언어 대신 북유럽 언어로 출간되는 인근나라들 틈에서

그는 조국의 언어를 고집했다.


아이슬랜드어.


한국에는 아이슬랜드어 전공자가 없는 건가,

영어로 번역된 그의 소설을 이중번역이라도 할 의지를 지닌 출판사가 없는 건가.


그의 수많은 소설은 단 한권도 한국어로 번역되지 못했다.


독자들이 가늠해 보는 이유 중 하나는,

그가 사회주의를 꿈꾸었기 때문이라는데...


빙하

화산

오로라

검은 해변


극한의 냉기와 극한의 열기를 함께 품은 땅, 아이슬랜드에서 

사회주의 꿈꾸었던 락스네스는 어떤 소설을 썼을까.


Fish Can Sing

출판사 책 소개

The orphan Alfgrimur has spent an idyllic childhood sheltered in the simple turf cottage of a generous and eccentric elderly couple. Alfgrimur dreams only of becoming a fisherman like his adoptive grandfather, until he meets Iceland's biggest celebrity. The opera singer Gardar Holm’s international fame is a source of tremendous pride to tiny, insecure Iceland, though no one there has ever heard him sing.

다분히 아이슬랜드'적'인 이야기같다.


첫문장이 예사롭지 않은데.

'고아'인 메인 캐릭터가 화자.

A wise man once said that next to losing its mother, there is nothing more healthy for a child than to lose its father.

이제는 대한민국도 락스네스를 만나봐야 할 때가 되고도 남지 않았나?


문학에 이념이라...


에라이, 밥 잘 먹다가도 한숨 나올 지경.

A wise man once said that next to losing its mother, there is nothing more healthy for a child than to lose its father.
- P3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바람돌이 2022-09-07 21:5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처음 이름듣는 작가인데 정말 번역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젤소민아 2022-09-07 22:04   좋아요 1 | URL
네. 저도 처음 들었어요.
아이슬랜드 서점 어딜가나 제일 작품이 많은 작가인데, 전혀 모른다는 게 신기했지요.

한국에서는 왜 이리도 락스네스를 외면하는 걸까요.
자그마치 노벨문학상인데요.

레삭매냐 2022-09-07 21:57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엉뚱하게도 서가의
아이 헤잇 돌핀스가
눈에 들어오네요.

돌고래를 싫어하기도
하는가 봅니다.

젤소민아 2022-09-07 22:03   좋아요 2 | URL
Hugleikur Dagsson=아이슬랜드에서 현재 제일 핫한 작가 중 한 명입니다.
비쥬얼 아티스트인데요. 카툰이라고 해야 할까요. 한 장에 카툰 하나, 대사 한 두개, 있습니다.
영어본이어서 앉은 자리, 아니 선 자리에서 한 권 다 봤는데요 ㅎㅎ
아이슬랜드 서점 어딜 가나 제일 눈에 띄는 자리에 락스네스의 책과 함께~.

그림이 아주 재미있는데, 굉장히 야~~합니다.
모든 걸 그쪽으로 엮어오는 능력이 탁월하더군요.

계속 낄낄거리며 봤는데, 주변을 의식할 필욘 없었어요.
그들도 저처럼 낄낄거리고 있더라고요. ㅎㅎ
 
마음 현암사 나쓰메 소세키 소설 전집 12
나쓰메 소세키 지음, 송태욱 옮김 / 현암사 / 2016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자네는 아마 나를 만나도 여전히 어딘가 외로운 기분이 들 거네.

나한테는 자네를 위해 그 외로움을 근본적으로 없애줄 만한 

힘이 없으니까 말이야.

자네는 조만간 다른 방향으로 팔을 벌려야 하겠지.

그러면 곧 이 집으로는 발길이 향하지 않을 거네.


이런 적이 있었다.


외로워서

내 외로움을 없애줄 만한 힘을 찾아 나섰고

손을 뻗었드랬다.


누구나 예상할 수 있듯이,

그(녀)는 내 외로움을 없애줄 만한 힘을 갖고 있지 않았다.


놀랍게도,

그(녀)는 누구보다 그걸 제일 잘 알고 있었다.


'마음'의 선생님처럼.


자신의 외로움을 없애줄 사람을 찾아 다니는 사람들.

그리고 그걸 알아보는 사람들.


외로움을 없앨 요량으로 자신에게 다가옴을 알아보는 사람들.


그렇게까지 티가 나는 이유는,

외로움은 쉬이 외로움을 알아보기 때문에.


외로움을 알아봐 달라는 소설

외로움을 알아주려 했던 소설

대상이 없으니까 움직이는 거라네. 있으면 마음이 가라앉을 거라고 생각하니까 움직이고 싶어지는 거지. - P46

자넨 검고 긴 머리카락으로 결박당했을 때의 심정을 알고 있나? - P47

난 지금보다 한층 외로울 미래의 나를 견디는 대신에 외로운 지금의 나를 견디고 싶은 거야. - P50

논쟁은 싫어요. 남자들은 툭하면 논쟁을 벌인다니까요, 재미있다는 듯이요. 빈 잔으로 어쩌면 그렇게 질리지도 ㅇ낳고 술잔을 잘도 주고 받을 수 있는 건지. - P55

그이는 세상을 싫어하거든요. 세상이라기보다 요즘은 인간이 싫어진 걸 거예요. 그러니 인간의 한 사람인 저를 좋아할 리 없지 않겠어요? - P57

가을의 애수는 늘 곤충의 격렬한 소리와 함께 마음속 깊은 속에 스며드는 것 같았다. - P12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물고기는 존재하지 않는다 - 상실, 사랑 그리고 숨어 있는 삶의 질서에 관한 이야기
룰루 밀러 지음, 정지인 옮김 / 곰출판 / 202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소설인 줄 알았다. 


논픽션이라더니, 주인공이 있지 않나 말이다.


데이비드 조던.

뉴욕주 북부의 한 사과 과수원에서 1851년,

한 해 중 가장 어두운 시간에 태어난 사람. 

별에 몰두하는 사람. 


가을 저녁 옥수수 껍질을 벗기던 중 천체의 이름과 의미에 관해 호기심이 생겼다.


누구는 밤 하늘의 별을 보며 낭만을 이야기할 때,

그는 별들에게서 혼란스럽게 흩어진 혼돈을 보았고

그만, 질서를 부여하고 싶다는 열망에 빠진다.


밤하늘 전체에 질서를 부여하는 데 5년 정도밖에 걸리지 않았다.


그리고 급기야 자신의 미들네임으로 'Star'를 욱여 넣는다.


그가 어떻게 5년 만에 천체에 질서를 부여했는지는 안 나온다.

몹시 궁금하구마는...


그 엄청난 절차를 훌쩍 건너 뛰고 그는 지상으로 내려온다.


독실한 청교도인 홀다와 히람(부모)은 그가 열성을 보이던 지도를 죄 없애 버린다. 


이미 지도가 존재하는 땅들의 지도를 만든다고 시간을 허비하는 일은 경거망동이자 하루의 쓸모에 대한 모욕으로 보였을 것이다.


데이비드는 어머니의 말을 들었다.

그러나 한편, 듣지 않았다.

진정한 의미에서는.


그 이후, 데이비드는 꽃에 관심을 갖는다. 

아름다운 꽃이 아니라 무미건조하고 못생긴 꽃들.


숨어 있는 보잘것 없는 것들.


여기까지 '미리 보기'로 읽고 책을 구매하기로 결심했다.

이런 저런 책 소개나 요란한 북튜버들의 찬사는 가급적 피했다.


이 책은 논픽션이지만 

소설의 형태를 띠고 있고

그렇다면 스포일러는 피해야 하니까.


소설의 형태를 빌렸다면,

시작의 작은 일렁임이 후반에 가서 걷잡을 수 없는 돌풍이 되게 마련.


그 돌풍을 온전히 맞으려면 모른 채 읽어야 하리라.


그래서 리뷰도 여기까지.


다 읽고 나서 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984 에디터스 컬렉션 1
조지 오웰 지음, 김승욱 옮김 / 문예출판사 / 202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떤 의미에서 당이 강요하는 세계관을 가장 훌륭하게 받아들이는 사람은

그 세계관을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들이었다. 당이 그들에게 도저히 말로 표현할 수 없을 만큼 현실과 어긋나는 주장을 주입할 수 있는 것은, 그것이 얼마나 엄청난 주장인지 그들이 결코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는 데다가 주위에서 벌어지는 일들을 알아차릴 만큼 시사 문제에 관심도 없기 때문이었다. 


이처럼 이해가 부족한 덕분에 그들은 제정신을 유지할 수 있었다. 그들은 무엇이든 그냥 받아들여 꿀꺽 삼켰고, 그로 인해 피해를 입지도 않았다. 곡식 한 알이 새의 몸속에서 전혀 소화되지 않은 채 소화관을 통과하듯이, 당이 강요한 주장이 그들에게 아무런 찌꺼기를 남기지 않기 때문이었다.(238p)


누군가의 어떤 말을 가장 훌륭하게 받아들이는 사람은

어쩌면 그 사람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해서일 가능성이 크다.


정말로, 진실로 그 사람과 그 사람의 말과 그 사람의 의도를 이해한다면

의문을 가져야 옳다.


이해하면 의문을 가져야 옳다.


이해한다는 것과 그 사람이 '옳다'는 것은 별개일 수 있으므로.


그 사람이 '옳다' 하더라도 '나'는 그 사람이 아니니까.

그 간극에 질문이 남게 마련이다. 


하다못해, 어떻게 그 사람이 그런 생각을 하게 됐는지,

그것에라도 질문해야 한다.


어떤 사람에 대해 타인으로서 우리가 할 일은 공감일 지 모르나

'공중'으로서 우리가 할 일은, 의문이다. 


소화되지 않은 찌꺼기에 대한, 응시다.


질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