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작은 집 -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이달의 책 상수리 그림책방 5
김선진 글.그림 / 상수리 / 2016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김선진 작가의 그림책 나의 작은 집을 만났습니다.

 

작가 및 책에 대해 책은 이렇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대학에서 서양화를 공부했습니다. 그림책 작가로 활동하면서 작업실을 다섯 번이나 옮겼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문득 제가 머무는 작업실에 살다가 떠난 사람들이 궁금해졌습니다. 나의 작은 집은 그 숨은 이야기를 상상하며 쓰고 그린 그림책입니다. 천 인형과 뜨개질, 자수 등 조물조물 무언가 만드는 것을 좋아하고, 느린 시간과 오래된 것들, 손때 묻은 물건들도 좋아합니다. 앞으로 나의 작은 집처럼 소박하고 따뜻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그림책에 담으며 살고 싶습니다.

 

이 소개 글에 책에 대한 정보가 오롯이 담겨 있습니다.

 

그림책은 작가의 작업실인 집에 예전에는 어떤 사람들이 살았을까 하는 상상에서부터 시작됩니다. 낡고 소박한 작은 집이지만, 이곳에서 많은 사람들이 한때 꿈꾸며 그 꿈을 키워나가며 땀 흘렸을 것이라 생각하며, 그 흔적들을 상상 속에서 만들어 갑니다.

  

  

자신이 만든 멋진 자동차를 타고 사랑하는 사람과 여행하는 꿈을 꾸며 자동차를 수리하는 일을 하는 아저씨가 처음 이 작은 집에서 살고 있었답니다. 그런데, 이 아저씨가 꿈을 이룬 대목을 보면, 아저씨는 자신이 만든 삼일-에 사랑하는 사람을 태우고 여행을 떠나는 장면이 나옵니다. 사랑하는 사람은 당연히 사랑하는 연인일 거라 생각했답니다. 그런데, 그림을 자세히 보면, 사랑하는 사람은 아저씨의 노모입니다. 아마도 늙도록 자녀들을 위해 헌신하고 여행다운 여행 한 번 해보지 못했을 늙은 어머니를 곁에 태우고 여행을 떠나는 아저씨의 모습이 가슴을 훈훈하게 덥혀 줍니다.

  

  

다음번엔 사진사 아저씨의 사진관이 되었답니다. 그런데, 그림 속 초원사진관풍경은 군산에 있는 초원사진관과 비슷한 느낌을 줍니다. 아무튼 이 아저씨가 찍고 싶은 사진은 마을 사람들이랍니다. 정겨운 사람들, 함께 호흡하며 수시로 인사를 나누고 정을 나누는 사람들을 사진 속에 남겨 놓고 싶은 게 아저씨의 꿈인가 봐요.

 

이런 식으로 그림책은 이어집니다.

 

, 이 그림책의 또 하나의 특징은 책을 넓게 눕혀서 보는 방식이랍니다. 페이지를 위로 올려가며 그림책을 살펴보게 되어 있답니다.

  

  

마지막엔 오랫동안 방치된 낡고 작은 집에 한 아가씨가 들어옵니다. 그리고 그곳을 가꾸어서 찻집으로 만들어요. 이 찻집에 수많은 사람들이 찾아와요. 그림을 유심히 살펴보면, 찾아오는 사람들 속엔 이전에 작은 집에 살았던 사람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삼일카센터 사장님도, 사진관 아저씨도, 모자를 만들던 청년들도, 인근 길고양이를 돌보던 할머니도 모두 한 장의 그림 속에 다 들어 있습니다. 진정한 화합이 이루어지는 모습입니다. 분명 시간적 차이가 있는 사람들이 한 자리에서 어우러질 수 있는 건 바로 나의 작은 집덕분입니다.

 

작가는 자신의 작은 집이 이처럼 과거와 현재의 사람들을 서로 연결하는 신비로운 공간이라 말고 있는 듯합니다. 그리고 바로 여기에 진정한 따스함이 담겨 있습니다. 물론 집은 현재 그곳에 사는 개인의 사적 공간입니다. 하지만, 그 공간은 시간을 관통하며 이전 사람과 다음 사람을 연결하고 있다는 생각을 하자 특별한 의미가 부여되는 느낌입니다. 왠지 알 수 없는 추억의 아련함과 따스함이 말입니다.

 

같은 시간에 같은 지역에 살고 있는 이들이 서로 연결되는 것뿐 아니라, 시간을 초월하여 같은 공간에 살던 사람들이 연결된다면 어쩌면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은 단절을 뛰어넘어 더 따스한 공간이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해보게 됩니다.

 

나의 작은 집을 통해, 지금 내가 살던 집의 옛 주인들은 어떤 삶을 살았을까 괜스레 한동안 상상해 봤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