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유물 속에 살아있는 동물이야기 2 ㅣ 배움가득 우리 문화역사 2
박영수 지음 / 풀과바람(영교출판) / 2005년 6월
평점 :
절판
<유물 속에 살아있는 동물 이야기> 시리즈는 우리의 자랑스러운 유물 속에 담겨진 동물들에 대해 이야기한다. 그 1권 「상상의 동물, 하늘의 초능력자」가 모두 실재하는 동물이 아닌 상상 속의 동물들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면, 2권은 현실 세상 속에 실재하는 동물들을 다루고 있다. 실제 삶의 공간에 만날 수 있는 동물들이지만, 이런 동물들이 어떤 의미로 신격화 되었는지. 그리고 이런 동물들을 유물 속에 담아내면서 그 형상에 어떤 희망, 소망을 투영했었는지 책은 말한다. 2권의 부제는 「네 발 짐승, 인간 곁의 수호신」이다.
이 책에서 다루고 있는 동물들은 말, 박쥐, 사슴, 개, 원숭이, 고양이, 사자, 쥐, 양, 돼지, 토끼, 코끼리 등이다. 우리의 조상들은 이런 동물들을 어떻게 생각했던 걸까? 이들 동물의 형상은 어떤 이유로 여러 사물들에 그 모습을 그리거나 새기게 되었을까? 우리 조상들이 여러 동물들을 새기거나 만든 가장 주된 이유는 이들 동물을 통해 소망하는 바가 있었기 때문이다. 그럼 우리 조상들이 동물을 통해 무엇을 소망했던 걸까?
그 한 예로 박쥐를 들어보자. 박쥐는 복을 상징했다고 한다. 한자로 박쥐를 의미하는 글자가 ‘복(蝠)’이다. 그러니 ‘복(福)’과 음이 같아 박쥐는 복을 가져다 주는 동물로 여겼단다. 박쥐는 풍년, 다산, 행복, 장수 등의 복을 준다고 여겼다. 이처럼 복이란 동음어를 가진 짐승, 그리고 그 짐승이 거꾸로 달라 붙어 있는 성질이 만나, 하나의 풍속을 만들어 낸다. 한자로 福자를 써서 거꾸로 붙여놓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단다. 박쥐처럼 복이 착 달라 붙어 있으라는 의미로 말이다. 물론 이는 중국의 풍습이지만 말이다.
하지만 중국뿐 아니라 우리 조상들에게도 박쥐는 혐오스러운 동물이 아닌, 수호신처럼 여겨졌단다. 복, 풍년, 다산, 행복, 건강, 장수 등의 의미를 담아서 말이다. 신선로의 손잡이로 박쥐 형상을 만들어 놓은 것은 이 음식을 먹고 건강하게 장수하기를 바라는 소망을 투영한 것이다. 여성들의 경대 서랍 손잡이 역시 박쥐 형상으로 만들었다고 한다. 이는 다산 신앙의 투영이다.
책을 읽다보면, 이처럼 우리의 유물에서 발견하는 동물들이 어떤 의미를 가지고 그려지거나 새겨져 있는지를 알게 된다. 뿐더러 우리 조상들이 이들 동물을 어떤 시선으로 바라봤는지를 알게 된다. 이 외에도 왜 우린 고양이를 먹지 않는지. 왜 고사를 지낼 때 돼지 머리를 올려놓는지. 왜 왕관이 사슴뿔 모양인지. 달의 토끼상이 처음엔 떡방아 찧는 형상이 아닌 다른 의미로 받아들여졌다는데 그것이 무엇인지. 등 재미나고 흥미로운 여러 내용들을 만나는 재미도 있다.
무엇보다 이런 동물들을 통해 우리 조상들은 어떤 희망을 투영했는지를 알게 되는 것은 의미 있는 작업이다. 각자의 종교, 신앙의 형태에 따라 이런 희망이 어리석게 여겨질 수도 있겠다. 하지만, 그럼에도 뭔가를 희망한다는 것, 그 희망의 모습들을 만난다는 것은 언제나 기분 좋은 만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