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계급이 뭐예요? - 2016 볼로냐 라가치 상 논픽션 대상 수상작 내일을 위한 책 2
플란텔 팀 지음, 호안 네그레스콜로르 그림, 김정하 옮김, 배성호 추천 / 풀빛 / 2017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그림책 사회 계급이 뭐예요?그림책의 노벨상이라고 불리는 볼로냐 라가치상 수상작입니다. 2016년 논픽션 부분 대상 수상작인 <내일을 위한 책> 시리즈 4권 가운데 두 번째 책입니다. 이 책은 1978년에 처음 나왔고, 2015년에 그림이 새롭게 그려졌어요.

 

대한민국은 결코 계급사회가 아닙니다. 하지만, 정말 그런 걸까요? 2016년을 달군 화두 가운데 하나는 아마 금수저 흙수저이야기가 아닐까 싶어요. 이것 자체가 우리 사회는 철저한 계급사회라는 의미겠죠. 책에도 이런 그림이 나와요. 누군가는 태어나면서부터 진짜 말을 타죠(심지어 누군가는 이 말도 공짜로 선물 받고요.). 하지만, 누군가는 목마를 탈 수 있음에 만족해야만 하죠.

    

문제는 이렇게 한번 정해진 계급에서 상위계급으로 올라서기가 이제는 하늘의 별을 따는 것보다 더 어려워진 시대라는 것 아닐까요. 이미 개천에서 용 나는 시대는 지나버렸으니 말입니다.

 

힘 있는 몇몇 사람들이 사회 전반의 많은 것들을 독식하는 사회. 그렇기에 책은 이런 문제제기로 시작하고 있습니다. 모든 사람은 평등하다 말하지만 결코 평등하지 않은 세상이라고 말입니다.

    

그리고 책은 이렇게 끝나고 있습니다.

 

이 책이 처음 나왔을 무렵, 사람들은 앞으로 부자와 가난한 사람 사이의 차이가 점점 줄어들고 평등한 세상이 올 것이라고 꿈을 꾸었어요. 하지만 그 바람과는 반대로, 최근 들어 차이는 더욱 심해졌어요. 중간 계급의 사람들이 말도 안 되게 가난해졌고 수많은 노동자 계급의 사람들이 일자리를 찾지 못하고 있지요. 안타깝지만 이것이 현실이에요. 평등한 세상은 언제쯤 이루어질까요?

 

정말, 평등한 세상은 언제쯤 이뤄질까요? 젊은이들은 이제 다른 곳에 눈을 돌릴 수 없어요. 오로지 취업, 그리고 취업, 그 다음도 취업이죠. 그나마 이들에게 주어지는 일자리는 비정규직이 태반이고요. 고용의 기회를 늘리겠다는 허울 좋은 명분은 비정규직으로 젊은 인력들을 마음껏 쓰고 폐기처분해도 되는 명분을 만들어줬죠. 젊은이들은 낭만이 무엇인지, 잊은 지 오랩니다. 연애를 포기한 세대, 결혼을 포기한 세대, 출산을 포기한 세대가 되어버렸습니다.

 

물론, 누군가는 이게 무슨 말인가 싶겠지요. 아니, 부모의 부가 자신의 능력이라고, 부모의 입김이 센 것 역시 자신의 능력이고 말하는 자들에게, 오늘 젊은이들의 고민, 힘겨움은 무능력자들의 넋두리, 푸념으로 치부할 지도 모르죠.

 

평등한 세상은 정말 언제쯤 이루어질 수 있을까요? 어쩌면, 이런 좋은 책을 우리 자녀들이 어려서부터 보고, 건강한 가치관을 가진 아이들이 성장한다면, 그리고 건강한 가치관을 가진 아이들이 많아진다면, 그 아이들이 어른이 되었을 즈음에는 지금보다 더 건강한 사회, 평등한 세상, 살기 좋은 세상이 만들어질 수 있지 않을까요? 그럴 수 있기만을 바랍니다. 제발~ 아니 반드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