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여 마땅한 사람들
피터 스완슨 지음, 노진선 옮김 / 푸른숲 / 2016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마지막 페이지를 넘기는 순간, 어느새 당신은 살인자를 응원하고 있었음을 깨닫게 된다.”

 

바로 이러한 문구와 함께 『죽여 마땅한 사람들』이란 다소 섬뜩한 제목의 소설을 만났다. 과연 정말 살인자를 응원하게 될까? 답은 그렇다. 물론 처음엔 살인에 대한 접근에 거부감이 없지 않았지만 말이다.

 

소설은 총 3부로 구성되어 있다. 1부는 테드와 릴리, 2부는 릴리와 미란다, 3부는 릴리와 킴볼(살인 사건을 쫓는 형사). 이렇게 각기 이들의 시점(1인칭 주인공 시점)으로 소설은 진행된다. 각 부는 두 사람씩 서로 각 단원이 교차되며 진행된다. 1부를 예로 든다면 테드, 릴리, 테드, 릴리, 이런 식으로 말이다.

 

성공한 사업가 테드는 어느 날 아내 미란다가 바람 난 것을 알게 된다. 그럼에도 감쪽같이 거짓말을 하는 미란다를 보며, 테드는 만남부터 지금까지 아내가 한 번도 자신에게 진실한 적이 없었음을 깨닫게 된다. 그런 테드는 공항에서 한 여인(릴리)을 만나게 되고, 장차 다시 만날 일이 없을 것이라 여긴 이 여인에게 자신의 사연을 이야기한다. 아내와 정부를 둘 다 죽이고 싶다는 말과 함께. 그리고 릴리는 테드의 살인계획을 돕겠다고 한다. 진지하게 말이다.

 

이렇게 둘의 살인 계획은 시작된다. 릴리는 어떻게 처음 만난 남자의 살인 계획에 동조하게 된 걸까? 사실, 릴리는 미란다를 알고 있었다. 대학 시절 둘은 한 남자를 사이에 두고 있던 악연이 있다. 릴리는 또한 미란다라는 여인이 어떤 여인인지를 알고 있다. 살아 있을 가치가 없는 여인임을 말이다.

 

과연 둘의 살인 계획은 성공할 수 있을까? 놀랍게도 소설에 등장하는 주인공들은 대부분 과거 살인의 경력이 있거나 현재 살인을 벌이기도 한다(테드, 릴리는 과거에, 미란다와 브래드는 현재에). 이처럼 살인이 보편화 되어 있다고 생각하니 다소 이질감이 느껴지기도 한다.

 

처음 소설을 읽어나가면서, 아무래도 살인에 대한 주인공들의 견해에 동조하기가 쉽지는 않다. 예를 들면 이런 논리를 편다.

 

솔직히 난 살인이 사람들 말처럼 그렇게 나쁘다고는 생각하지 않아요. 사람은 누구나 죽어요. 썩은 사과 몇 개를 신의 의도보다 조금 일찍 추려낸다고 해서 달라질 게 뭔가요? 게다가 예를 들어, 당신 부인은 죽어 마땅한 부류 같은데요.(48쪽)

- 릴리의 말 가운데

 

내 아내와 잔 것에 대한 벌이라서가 아니라 지구상에서 브래드가 사라지는 것은 좋은 일이기 때문이다. 그의 존재로 인해 조금이라도 삶이 나아지는 사람이 누가 있을까. 그의 아이들도, 전 부인도 아니다. 술집의 폴리도 아니다. 그녀는 아마도 자기가 브래드의 여자 친구라고 생각할 것이다. 브래드는 머저리였고, 이 세상에서 머저리 하나가 사라지는 것은 모두에게 좋은 일이다.(141쪽)

- 테드의 생각

 

아무래도 이런 논리에 동조하기 쉽지 않다. 어차피 죽으니 조금 일찍 도려낸다고 해서 뭐가 문제인가라는 논리가 다소 뻔뻔하게 느껴지기도 한다. 게다가 죽어 마땅한 부류라는 판단은 과연 누가 내릴 수 있는가. 그리고 그 사람에게 그런 판단의 권위가 주어지는 걸까. 또한 머저리와 같은 인생이라고 해서 살아갈 가치가 없는 걸까. 누군가에게 도움이 되지 못하는 인생은 죽어 마땅한 존재라는 논리가 과연 정당한가. 등 살인에 대한 이런 접근에 거부감이 여전하다.

 

그럼에도 소설에 빠져들기 시작하며, 출판사에서 선전한 문구처럼, 자신도 모르게 이들 주인공(릴리, 테드)의 살인이 성공하길 응원하고 있음을 발견하게 된다. 그만큼 소설에 빠져들었다는 반증일 것이다.

 

하지만, 그렇다고 하여 혹 비윤리적인 소설 아니냐 걱정할 필요는 없다. 소설은 독자의 안타까움을 일으킬 만한 결말을 맺고 있으니 말이다. 완전범죄를 꿈꾸었고, 완전범죄에 성공하게 되지만, 결국 생각지도 못한 결말이 기다리고 있음으로 결말을 맺으니 말이다.

 

그러니, 독자들은 윤리적 강박관념을 잠시 내려놓고 소설을 즐기자. 아울러 소설을 읽은 후엔 소설은 소설일 뿐임을 잊지 말자. 장마 뒤에 또 다시 우릴 엄습할 무더위 가운데 이런 재미난 소설 한 권 읽어봄이 어떨까? 무더위 속에서 읽을 소설로 추천할만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