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에게도 말하지 마! 갈매나무 청소년문학 2
야나 프라이 지음, 장혜경 옮김 / 갈매나무 / 201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주인공 새미에게 갑자기 여러 고민들이 생기기 시작한다. 먼저, 엄마에게 애인이 생겼다. 산부인과 의사라는데, 새미의 마음에 들지 않는다(사실, 누구였든 마음에 들지 않았을 것이지만). 그런데, 그 애인과 결혼하겠단다. 사춘기를 겪는 새미의 인생에 갑자기 새아버지가 끼어든 것.

 

하지만, 뭐니 뭐니 해도 가장 큰 고민은 새미의 마음을 훔쳐간 소녀가 생겼다는 것이다. 바로 카를로타라는 빨간머리 소녀다. 그런데, 문제가 생겼다. 새미의 절친인 레안더와 카를로타가 커플이 되어 버린 것이다. 자신이 카를로타에게 마음이 있다는 것을 알고 있던 레안더인데 말이다. 이에 새미는 레안더를 향한 미움을 키운다. 아니, 새미는 예전과 달라진 엄마에게도, 자신의 삶에 갑자기 끼어든 엄마의 애인에게도, 그리고 자신의 마음을 받아주지 않은 카를로타에게도, 미움의 마음을 키워간다. 이런 미움의 마음은 새로운 형태로 새미를 휘어잡게 된다. 바로 폭력이란 형태로 말이다.

 

새미는 덩치가 작은 녀석이다. 그런 새미에게 새 친구가 생겼다. 바로 라파엘이란 친구인데, 좋은 녀석이 아니다. 이 녀석을 통해, 새미는 점차 변해간다. 무엇보다 폭력이 주는 달콤한 권력의 힘을 알아가며, 점점 다른 이들에게 폭력을 휘두르는 작은 악마가 되어 간다. 이런 새미의 모습은 불안 불안한 외줄타기를 보는 것처럼 위태롭기만 하다. 과연 새미가 맛들인 폭력의 끝은 어디일까?

 

이 책, 『아무에게도 말하지 마!』는 학교폭력에 대해 이야기하는 청소년소설이다. 사실 폭력은 인류의 역사 가운데 언제나 함께 해왔던 인간의 한 단면이다. 그만큼 폭력은 우리에게서 몰아내기가 쉽지 않은 한 본성이라는 말이다. 물론, 그렇기 때문에 폭력은 어쩔 수 없는 것이라며 정당화 하자는 말은 결코 아니다. 도리어 우린 어떤 폭력도 배척해야만 한다. 왜냐하면 폭력이란 피해자에게도 가해자에게 인간으로서의 존엄성을 앗아가는 행위이기 때문이다. 이야기 속의 새미와 그 일당들은 다른 친구들이나 동생들에게 폭력을 휘두르면서 피해자로 하여금 인간의 존엄성을 누리지 못하게 한다. 그러니 그들은 타인의 존엄성을 앗아가는 못된 녀석들이다. 하지만, 피해자들의 존엄성만이 빼앗겼을까? 그렇지 않다고 여겨진다. 폭력의 노예가 되어가는 가해자들 역시 자신도 모르게 서서히 인간성을 상실해가기 시작한다. 그러니 폭력의 가해자들에게도 인간으로서의 존엄성은 존재하지 않는다. 새미는 폭력의 가해자이면서 또한 폭력이라는 악마적 속성의 피해자이기도 한다.

 

이처럼 폭력에 대해 이야기하는 소설, 『아무에게도 말하지 마!』의 제목이 갖는 의미를 생각해본다. 그 안에는 교차적 의미가 있다고 여겨진다.

 

“아무에게도 말하지 마!”라는 이 문장은 주인공 새미가 폭력을 행하며, 피해자들에게 윽박지르는 말이다. 그러니 이 말은 폭력의 악마적 모습을 그대로 내포하고 있는 문장이기도 하다.

 

그러나, 소설의 제목에 담겨진 또 하나의 의미, 반어적 의미가 담겨 있다고 여겨진다. 그건 바로 새미의 폭력의 출발이 아무에게도 말하지 못한 상황에서 주어졌던 것이다. 새미가 폭력에 물들게 되는 그 시작은 대화의 단절에 있었다. 새미가 겪는 고민, 아픔, 그리고 외로운 심경을 아무에게도 털어놓을 수 없던 상황이 그 출발이다. 물론, 누군가에게 자신의 아픔을 이야기 할 수 없다고 해서, 대화의 창구가 닫혀 있다고 해서, 폭력을 그 탈출구로 삼음이 정당화 될 수는 없겠다. 하지만, 그럼에도 새미가 남몰래 아픔을 겪고 힘겨워할 때, 어느 누구도 새미의 마음을 열지 못하고, 그 입술을 열지 못했음을 우린 기억해야 한다.

 

그러니, “아무에게도 말하지 마!”란 이 문장은 새미가 점차적으로 폭력의 악마성에 물들어가고, 그 폭력이 부여하는 권력에 탐닉하게 되는 출발을 돌아보게 하는 문장이기도 하다. 아무에게도 내 아픔을 말할 수 없는 상황은 극단적 결말을 낳을 수 있음을 이 소설은 우리에게 경고하는 것이 아닐까?

 

솔직히 이 소설은 폭력의 민낯을 그대로 보여주기에 자꾸만 책장을 덮고만 싶은 소설이다. 어쩌면 읽고 싶지 않은 소설일 수도 있겠지만, 우리가 이런 아픔의 모습들을 직시함으로 이건 아니라는 생각을 끌어낼 수 있다면 좋겠다. 특히, 청소년들이 이러한 소설을 통해, 깨닫고 이젠 누군가를 괴롭히고, 아프게 하기 위해 손을 내밀 것이 아니라, 힘겨워하는 친구를 위해 넘어진 친구를 위해 손을 내미는 인생들이 된다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