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화를 찾는 인간
롤로 메이 지음, 신장근 옮김 / 문예출판사 / 2015년 6월
평점 :
절판


우리는 신화는 허구에 불과하다고 여기곤 한다. 왜냐하면, 우린 어려서부터 합리적으로 생각하도록 훈련받았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신화는 비합리적인 이야기에 불과하다고 치부한다. 또한 신화는 케케묵은 낡은 이야기에 불과하다고 여기기도 한다. 한 마디로 신화는 오늘 우리의 삶과는 관계없는 옛 이야기로 여기는 것이다.

 

하지만, 『신화를 찾는 인간』의 저자 롤로 메이는 책에서 말한다. 신화는 오히려 오늘 현대인들에게도 의미 있는 이야기일뿐더러, 신화가 현대인을 건강하게 만들며, 건강한 사회로 만들게 되는 중요한 언어라고 말이다.

 

저자는 현대인들은 신화의 부재 때문에 불안, 고독, 중독, 자살 등의 몰락으로 치닫게 되는 것이라고 말한다. 진정한 신화가 없을 때 사람들은 사이비 종교를 찾기도 하고, 진정한 신화가 없을 때 약물을 통해 위로를 받게 되며, 진정한 신화가 없기에 거짓 신화와 마술적 신앙으로 치닫게 된다고 말한다. 그렇기에 건강한 사회란 신화가 제 역할을 감당하는 사회이며, 이런 건강한 사회는 신화를 통해, 사회 구성원들이 죄책감이나 불안 등을 완화하게 된다고 말한다.

 

이러한 접근은 저자가 정신과 의사이기 때문이기도 할 것이다. 저자는 신화가 우울증이나 불안함, 죄책감 등에 시달리는 현대인에게 어떤 역할을 감당하게 되는지에 관심을 기울인다. 그러면서 저자는 현대(1970년대 미국사회) 사회의 불안한 상태는 신화의 부재에서 오기에 각자 자신의 부조리, 불안, 모순 등을 설명해 줄 신화를 찾아갈 때, 그 신화를 통해 살이 치유됨을 이야기한다.

 

따라서 저자에게 있어 신화는 케케묵은 옛 이야기가 아니라, 오늘 우리의 삶에 여전히 영향력을 발휘하는 이야기이다. 어쩌면 이는 당연할지도 모르겠다. 신화란 것이 우리 인간의 다양한 모습들에 대한 원형의 이야기이기 때문이다. 인간의 근원, 탄생, 삶, 죽음에 대한 원형의 이야기가 신화 아닌가! 그렇기에 신화는 죽은 옛 이야기가 아니라, 여전히 오늘 우리의 삶 속에 현존하는 살아 있는 이야기이다.

 

그러니, 저자의 말처럼, 오늘 나의 삶을 더욱 건강하게 해줄 나만의 신화를 찾아야 할 것이다. 내 삶의 모습, 내 삶의 근원, 내 삶의 모순마저 설명해 줄 수 있는.

 

물론, 그 찾아야 할 신화는 허무맹랑하거나 거짓 신화여서는 안 될 것이다. 다시 책의 첫머리로 돌아가 보면, 책은 이렇게 시작된다.

 

신화는 의미 없는 세계에서 의미를 만들어내는 방법이다. 신화는 우리 실존에 의미를 부여하는 이야기 방식이다. 그 실존의 의미가 사르트르의 주장대로 단지 우리가 용기를 내서 우리 삶에 부여한 것이든지, 키르케고르의 주장처럼 우리가 발견해야 할 의미가 존재하는 것이든지 간에 결과는 동일하다. 즉 신화는 우리가 실존의 의미와 중요성을 발견하는 방식이다. 그런 면에서 신화는 밖으로 드러나지 않지만, 집을 지탱시켜서 그 안에 사람이 살게 해주는 들보와 같다.(15쪽)

 

키르케고르의 주장에 더 마음이 끌린다. 신화는 만들어진 허무맹랑한 이야기가 아니라, 이미 존재하는 의미를 신화라는 이야기 안에 투영해야 한다. 거짓 신화가 아닌, 진정한 신화 말이다. 이러한 진정한 신화들을 내 삶 속에서 찾아가며, 내 삶 속에서 재구성해나가는 노력이 필요하리라 여겨진다.

 

신화를 통해, 건강한 사회, 건강한 삶을 이야기하는 이 책, 『신화를 찾는 인간』은 조금은 어렵게 느껴질 수도 있다. 그럼에도 생각처럼 어렵진 않다. 솔직히 조금은 산만한 느낌도 없지 않다. 하지만, 그럼에도 신화가 오늘 현대인의 삶 속에 얼마나 중요한지를 이야기하는 좋은 책임에 분명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