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 용이 있다
페르난도 레온 데 아라노아 지음, 김유경 옮김 / (주)태일소담출판사 / 2015년 8월
평점 :
품절


『여기 용이 있다』, 책 제목이 참 독특하다. 과연 이 제목의 의미는 무엇일까? 이 제목의 문구는 고대 지도에 적혀 있던 문구라고 한다. 항해하기에 위험한 지역 등에는 ‘여기 용이 있다’는 은유적 표현을 적음으로 그곳에 가까이 가기를 금한 표현이란다. 마치 우리의 “개조심!”처럼 말이다. 하지만, 오히려 이 문구, ‘여기 용이 있다’란 문구는 위대한 정신의 탐험가들에게는 관심의 대상이 되었을 것이다. 어쩌면, 이런 문구가 적혀 있는 곳만을 찾아다니며 탐험을 즐긴 사람들도 있으리라.

 

그렇다면, 이 책 역시 이런 의미가 있겠다. 이 책 안에는 위험한 사상이나 생각, 이야기들이 가득할 수 있으니 펼치는 것을 다시 한 번 생각해보라고. 하지만, 진짜 의미는 이것이다. 그러니 어서 책을 펼치고 그 안에 담긴 신비한 세계를 탐험하고 즐기라고. 그러면 생각지도 못한 열매들을 거두게 될 것이라고 말이다.

 

그럼, 이 책 안에는 어떤 위험한 이야기들이 있을까? 저자는 도합 113편의 이야기를 전하고 있다. 200여 페이지에 불과한 책 안에 113편의 이야기가 실려 있으니, 하나하나의 이야기가 얼마나 짧은 이야기일지를 알 수 있다. 그리고 그 이야기들은 픽션이다. 그러니 작가가 지어낸 짧은 이야기들이라고 보면 될 것이다.

 

이 짧은 이야기들 가운데는 물론, 어떤 주제에 대한 작가의 단상을 적어 놓은 에세이 형식의 글들도 있다. 또한 어떤 글들은 작가의 통찰력을 엿볼 수 있기도 하다. 대부분의 글들에는 풍자, 해학, 위트 등이 담겨져 있다. 이러한 풍자나 해학, 유머는 많은 경우 냉소적 표현이나 희화적 표현으로 전달되기도 하며, 많은 글이 세상의 부조리에 대한 풍자를 담고 있기도 하다. 이러한 세상을 향한 풍자의 글들을 읽으며, 때론 비웃음을 유발하는 부분도 있고, 때론 분노를, 때론 슬픔과 아픔을 느끼게도 된다.

 

참 다양한 글들이 각기 짧은 분량으로 실려 있는데, 어떤 글들은 이런 내용을 확장하여 소설을 써가도 좋겠다 싶은 글들도 보인다. 또 어떤 글은 완전히 똑같은 글이 두 번 실려 있기도 하다. 처음엔 왜 두 번 실렸을까? 편집의 실수일까 싶었는데, 글의 내용을 보니, 일부러 두 번 실었음을 알게 된다. 같은 글이지만, “흐른 시간과 바뀐 공간에 따라 새로운 의미를 찾고 다른 해석을 할 가능성이 더 크”기 때문에 이렇게 두 번 실었다(그런데, 이 글의 제목은 「경고」다. 그리고 마지막엔 이런 내용으로 맺는다.

 

“그리고 사람들은 같은 내용을 반복해서 읽지 않게 되는 바로 그 순간부터 자신에게 끔찍한 불행이 쏟아질 거라는 것은 잘 알지 못한다.”(44, 91쪽)

 

그러니, 두 번 읽으라는 것?(그래서 두 번 읽었다^^ 처음엔 어, 똑같은 글이 또 있네 하고 넘어갔다가 다시 돌아와 읽었다).

 

또한 같은 제목, 같은 시작, 다른 결말을 보이는 글들도 있다. 그러니, 이 책안에 실린 113편은 모두 별개의 내용이면서도 어쩌면 작가가 말하는 것처럼 퍼즐처럼 서로 연결되고 맞춰질 수 있는 그런 내용이기도 하다.

 

또 어떤 글은 아무것도 없는 백지이기도 하다. 그 글의 제목은 「어느 기억상실증 환자의 기억」이다. 그러니 아무것도 적을 수 없을밖에.^^

 

아무튼 참 독특한 소설집을 읽었다. 그 많은 이야기들 가운데 두 가지만 남겨본다.

 

하나는 「두 개의 심장」이란 이야기다. 심장을 두 개씩 가진 어느 가족이 있었다. 하나는 사랑을 위한 심장, 또 하나는 미움을 위한 심장을 가졌다. 그래서 이들은 아침에는 자녀들을 아주 많이 사랑해주면서도, 저녁이 되면 전쟁터에서 사람들을 죽일 수 있었다. 물론, 이야기는 다른 내용을 이야기하지만, 이 부분이 마음에 남는다. 이들은 심장이 둘이기에 그런 모습을 보인다. 하지만, 오늘 우리는 하나의 심장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두 마음을 아주 쉽게 품고 살아가는 경우가 많지 않은지 돌아보게 된다.

 

또 하나는 「폭발장치」라는 글인데, 이 글 안에서는 폭발사고들을 언급한다. 그리고 이런 폭발사고가 뉴스에 나온다. 글은 이렇게 끝맺는다.

 

“그 뉴스를 본 사람들은 평소처럼 책을 읽다가 가족과 저녁을 먹고 개를 데리고 산책에 나섰다.”(163쪽)

 

어쩌면, 이처럼 어떤 끔찍한 일이라 할지라도 나와 전혀 상관없는 그 일에 꿈쩍도 하지 않고 여전히 평상의 삶을 살아가는 우리들 삶의 자세, 그 삶의 공간이야말로 결코 가까이 가서는 안 되는 위험한 용이 있는 곳이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