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태안 오늘은 시리즈
김미정.전현서 지음 / 얘기꾼 / 201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태안반도는 잘 알려진 여행지다. 바로 그곳 태안반도에 대한 여행책자가 나왔다. 이 책, 『오늘은 태안』은 여행서적이다. 하지만, 여행지에 대한 정보를 전해주는 책은 아니다. 태안 해변길 굽이굽이에서 느낄 수 있는 감정, 작가가 그곳에서 품었던 생각을 우리에게 전해주는 여행 에세이다. 그렇기에 여행지에 대한 정보 수집을 위해 읽기보다는 그곳에서 누린 감정, 행복한 느낌이 나의 것이 되길 바라며 읽으면 좋겠다.

 

이 책을 읽는 가운데 독자들은 작가가 전해주는 태안의 감춰진 비밀의 정원에 초대받게 된다. 물론, 그곳은 모두에게 알려진 곳들이다. 어떤 곳은 언제나 많은 이들로 붐비는 곳이기도 하다. 하지만, 작가의 글을 읽는 가운데, 왠지 태안반도에 가면 나만을 위해 준비된 공간이 기다릴 것만 같은 느낌을 드는 이유는 무엇일까?

 

이는 작가의 능력이다. 작가는 바닷가의 여유로움, 어촌 마을의 한적함을 극대화하여 우리에게 전해준다. 물론, 그 안을 들여다보면 어느 공간인들 치열한 삶이 왜 없겠나? 하지만, 작가는 그 삶의 치열함마저 여유로 치환하여 우리에게 들려준다. 아울러 어촌 마을에서 만나는 할아버지 할머니 얼굴에 새겨진 주름은 결코 한적한 삶이 아닌, 굴곡진 삶의 흔적이다. 그럼에도 그 굴곡진 삶의 주름마저 괜스레 포근하게 느껴지는 것은 왜일까? 어쩌면 이것이야말로 『오늘은 태안』을 통해 작가가 오늘 우리에게 전해 주는 고마운 선물이 아닐까?

 

태안반도를 거닐며 만나게 되는 아름다운 풍광, 삶의 흔적, 사람 냄새 등 이 모든 것들은 작가의 손끝을 통해, 때론 한 편의 시가 되어 가슴을 적시기도 하고, 때론 반가운 이가 보낸 편지를 읽는 설레는 마음을 선물하기도 하며, 어린 시절 할머니에게 듣던 옛 이야기를 듣는 것 마냥 즐겁기도 하다.

 

이러한 작가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는 가운데, 이 책의 독자들은 설령 그곳에 한 번도 가본 적이 없더라도, 그곳이 마치 고향과 같은 포근함을 느끼게 될 것이다. 그리고 그곳을 사랑하게 될 것이다. 이제 책을 덮은 후, 꿈을 꾸게 된다. 태안의 호적하고 여유로운 여행이 나의 것이 되길.

 

이 책을 읽고 난 후엔 괜스레 불편한 여행을 하고 싶다. 이젠 어딜 가도 직접 차를 끌고 운전하는 것이 당연하게 되어버렸지만, 학창시절 흔들리던 완행열차를 비록 입석으로 가면서도 행복하던 순간이 문득 그리워진다. 무더운 날씨에도 들뜬 마음으로 버스를 기다리던 시절이 그리워진다. 조금은 귀찮고 불편하겠지만, 새로운 여행지에서 만날 행복한 시간들을 기대하며 설레는 마음으로 버스를 기다리는 순간을 다시 누려보고 싶다(아마도 책장을 열며 시작되는 이야기가 터미널에서 버스를 기다리던 이야기이기 때문일 듯. 책의 마지막 이야기 역시 기다림으로 끝난다). 언젠가부터 자연스레 잃어버린 이러한 불편함과 귀찮음이 허락하는 여행의 재미, 즐거움을 다시 찾고 싶은 마음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